- 성 공(子-1)임 자(子-0)시 시(言-6)
"小子何莫學夫詩? 詩, 可以興, 可以觀, 可以群, 可以怨. 邇之事父, 遠之事君, 多識於鳥獸草木之名."(소자하막학부시? 시, 가이흥, 가이관, 가이군, 가이원. 이지사부, 원지사군, 다식어조수초목지명)
"너희는 어찌 저 시를 배우지 않느냐? 시는 마음을 일으키게 하고, 사물을 살필 수 있게 하고, 사람들과 어우러질 수 있게 하고, 응등그러진 마음을 알게 한다. 가까이로는 어버이를 섬기고 멀리로는 임금을 섬길 수 있으며, 날짐승과 길짐승, 풀과 나무들의 이름을 많이 알 수 있다."
'논어' '陽貨(양화)'편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詩(시)를 感情(감정)의 표현으로 여긴 점에서는 새삼스러울 게 없다. 그러나 시를 통해 어버이를 섬기고 임금을 섬길 수 있다고 한 것은 시에 人道(인도)를 이해하는 중요한 정보가 담겨 있다는 뜻으로 한 말이다. 게다가 짐승들과 초목들의 이름도 알 수 있다고 했으므로 天道(천도)와 아무런 상관없이 사물 자체를 이해할 필요성에 대해 역설한 셈이다. 이는 시를 통해서 '格物(격물)'을 한다는 뜻이다. 공자의 이런 인식은 전국시대 말의 순자에게서 훨씬 깊어져서 격물의 참뜻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순자'의 '天論(천론)'에 나온다.
"하늘의 운행에는 일정한 법칙이 있으니, 요임금 때문에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桀(걸) 때문에 없어지는 것도 아니다. 인간이 다스림으로 응하면 길하고, 어지러움으로 응하면 흉하다. 근본(농사)에 힘쓰고 절도 있게 쓰면 하늘도 가난하게 만들 수 없고, 몸을 잘 기르고 때맞게 움직이면 하늘도 병들게 할 수 없으며, 도를 닦아 어긋나지 않으면 하늘도 재앙을 내릴 수 없다. 그러므로 장마와 가뭄도 사람을 굶주리거나 목마르게 할 수 없고, 더위와 추위도 사람을 병들게 할 수 없으며, 요상하고 괴이한 일도 사람을 불행하게 할 수 없다. … 별이 떨어지고 나무가 울면 사람들은 모두 두려워한다. 무슨 까닭인가? 아무것도 아니다. 이는 천지의 변화요 음양의 조화로, 드물게 생기는 일이다. 괴이하게 여기는 것은 괜찮지만, 두려워하는 것은 잘못이다.
무릇 일식이나 월식이 생기고 비바람이 때맞지 않게 일고 요상한 별이 가끔 나타나는 것은 어느 시대에나 늘 있었던 일이다. 군주가 밝아서 정치가 공평하면 그런 일이 세상에 잇달아 일어나도 해로울 게 없으나, 군주가 어둡고 정치가 비뚤어지면 그런 일이 한 번도 일어나지 않아도 아무 보탬이 없다. 무릇 별이 떨어지고 나무가 우는 것은 천지의 변화요 음양의 조화로, 드물게 생기는 일이다. 괴이하게 여기는 것은 괜찮지만, 두려워하는 것은 잘못이다."
고전학자
'정천구의 대학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천구의 대학에서 정치를 배우다 <63> 世上物情 (0) | 2021.06.02 |
---|---|
정천구의 대학에서 정치를 배우다 <62> 知者樂水 (0) | 2021.06.02 |
정천구의 대학에서 정치를 배우다 <60> 吉凶由人 (0) | 2021.06.02 |
정천구의 대학에서 정치를 배우다 <59> 天人感應 (0) | 2021.06.02 |
정천구의 대학에서 정치를 배우다 <58> 物格 또는 格物 (0) | 2021.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