重風巽卦 巽 : (하늘에) 겸손함은 小亨 : 조금 형통하니, 利有攸往 : 수행함이 이로우며(갈바가 있어서 利롭다,하늘의 섭리에 利롭다) 利見大人 : 대인을 봄이 이로우니라. 彖曰 : 단에 이르기를 重巽 : 거듭한 겸손으로써 以申命 : 명을 펴나니, 剛巽乎中正而志行 : <강>효가 중정에 겸손해서 뜻이 행하며, 柔皆順乎剛 : <유>효가 모두 <강>효에 순응함이라. 是以 : 이로써 小亨 : 小亨하니, 利有攸往 : 수행함이 이로우며 利見大人 : 대인을 봄이 이로우니라. 象曰 : 상에 이르기를 隨風巽 : 따르는 바람이 손괘의 괘상이니, 君子以申命行事 : 군자가 이로써 명을 거듭해서 일을 행하느니라. 初六 : 초육은 進退 : 나아가고 물러남이니, 利武人之貞 : 무인의 바름이 이로우니라. 象曰 : 상에 이르기를 進退志疑也 : '진퇴'는 뜻이 의심함이요, 利武人之貞志治也 : '이무인지정'은 뜻이 다스러짐이라. 九二 : 구이는 巽在牀下 : <손>효가 평상 아래에 있으니, 用史巫紛若 : <사>와 무당을 불러 씀이 많으면 吉无咎 : 길하고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 : 상에 이르기를 紛若之吉 : '분약지길'은 得中也 : 중정을 얻음이라. 九三 : 구삼은 頻巽吝 : 자주 겸손함이니, 인색하니라. 象曰 : 상에 이르기를 頻巽之吝 : '빈손지린'은 志窮也 : 뜻이 궁함이라. 六四 : 육사는 悔亡 : 후회가 없어지니, 田獲三品 : 사냥하여 삼품을 얻도다. 象曰 : 상에 이르기를 田獲三品 : '전획삼품'은 有功也 : 공이 있음이라. 九五 : 구오는 貞吉悔亡 : 바르면 길해서 뉘우침이 없어서 이롭지 않음이 없으니, 无不利无初有終 : 처음은 없고 마침은 있느니라. 先庚三日 : <경>효로 앞서 삼일하며, 後庚三日吉 : <경>효로 뒤로 삼일하면 길하리라. 象曰 : 상에 이르기를 九五之吉 : '九五之吉'은 位正中也 : 위가 바르고 중정함이라. 上九 : 상구는 巽在牀下 : 겸손한 것이 상아래에 있어서, 喪其資斧 : 그 몸에 지닌 도끼를 잃으니 貞凶 : 집착하여 고집함에 흉하니라. 象曰 : 상에 이르기를 巽在牀下 : '손재상하'는 上窮也 : 위에서 궁함이요, 喪其資斧 : '상기자부'는 正乎凶也 : 바르겠는가, 흉함이라 198字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