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유림) 한자이야기 45

不敢請固所願

不敢請固所願(불감청고소원) 감히 청하지는 못하나 원래부터 바라던 바라는 뜻으로 먼저 나서서 행동하지는 못하지만 진심으로 원하는 일을 일컫는 말이다. 不 : 아니 불 敢 : 감히 감 請 : 청할 청 固 : 굳을 고 所 : 바 소 願 : 원할 원 고소원불감청(固所願不敢請)이라고도 한다.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장에 유래하는 말이다. 맹자가 벼슬을 내놓고 떠날 때 왕이 맹자를 찾아뵙고 말하였다. ‘지난날에 뵙기를 원했으나 그렇게 하지 못하다가, 모실 수 있게 되자 조정에 함께 있는 사람들이 매우 기뻐하였습니다. 그런데 이제 또 과인을 버리고 돌아가시니, 이후로 계속하여 선생님을 뵐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맹자가 대답하였다. ‘감히 청하지는 못할지언정 저도 진실로 원하는 바입니다.’ [孟子致爲臣而..

[유림 속 한자이야기] (126)敎育(교육)

[유림 속 한자이야기] (126)敎育(교육) 儒林 (616)에는 ‘敎育’(가르칠 교/기를 육)이 나오는데,孟子(맹자)‘盡心上(진심상)’편의 ‘得天下英才而敎育之’(득천하영재이교육지:천하의 영재를 얻어 교육한다)에서 나온 말이다. ‘敎’는 ‘가르치다’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爻’(효)와 어린아이를 본뜬 ‘子’(자)와 ‘ ’(복:오른손에 막대기를 들고 있는 모양)을 합친 글자이다.用例(용례)에는 ‘敎權(교권:스승으로서의 권위),敎鞭(교편:교사가 수업이나 강의를 할 때 필요한 사항을 가리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가느다란 막대기),宗敎(종교:신이나 초자연적인 절대자 또는 힘에 대한 믿음을 통하여 인간 생활의 고뇌를 해결하고 삶의 궁극적인 의미를 추구하는 문화 체계)’등이 있다. ‘育’은 ‘毓’의 略字(약자)로,‘出..

[儒林 속 한자이야기] (114)四古紙(사고지)

[儒林 속 한자이야기] (114)四古紙(사고지) 유림(554)에는 ‘四古紙’(넉 사/예 고/종이 지)가 나온다.四古紙는 習字(습자)나 告祀(고사)를 지낼 때 燒紙(소지)로 쓰는 작은 白紙(백지)로, 보통 韓紙(한지)보다 더 얇다. ‘四’의 원래 字形(자형)은 네 가닥의 줄을 그은 형태였다. 그러던 것이 음이 똑같은 짐승의 얼굴 형태를 나타낸 四로 대체되었다.用例(용례)에는 ‘四顧無親(사고무친:의지할 만한 사람이 아무도 없음),張三李四(장삼이사:이름이나 신분이 특별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등이 있다. ‘古’의 字源(자원)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여러 사람의 입을 통해 전해온 이야기’‘타악기의 일종’이라는 異說(이설)이 분분하다. ‘古今獨步(고금독보:고금을 통틀어도 비교할 만한 사람이 없을 만큼..

[유림 속 한자이야기]<106>溫故知新(온고지신)

[유림 속 한자이야기]溫故知新(온고지신) 儒林(515)에는 ‘溫故知新’(익힐 온/예 고/알 지/새 신)이 나오는데,‘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안다.’는 뜻이다. ‘溫’자는 중국 귀주성(貴州省)에 있는 강 이름을 지칭하는 것이었으나 假借(가차)하여 ‘따듯하다’는 뜻을 나타내게 되었다.用例(용례)에는 ‘溫習(온습:이미 익힌 것을 다시 익힘),溫柔敦厚(온유돈후:성격이 온화하고 부드러우며 인정이 두터움),溫情(온정:따듯한 마음)’ 등이 있다. ‘故’는 본래의 뜻이 무엇인지는 확실치 않다.故의 의미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여러 사람의 입을 통해 전해온 이야기’라는 주장에서부터 아직도 의견이 분분하다.故에는 ‘일부러, 죽다, 본래, 오래되다, 까닭, 친구’와 같은 여러 가지 뜻이 있다.用例로는 ‘故事(고..

[유림 속 한자이야기] (101) 花石亭(화석정)

[유림 속 한자이야기] (101) 花石亭(화석정) 儒林 (484)에는 ‘花石亭’(꽃 화/돌 석/정자 정)이 나온다.花石亭은 坡州市(파주시) 栗谷里(율곡리)의 臨津江(임진강)가 벼랑에 자리 잡고 있는 亭子(정자)이다. 원래는 冶隱(야은) 길재(吉再)의 遺址(유지)였다고 한다.1443년 栗谷의 5대조가 세운 것을 1478년에 栗谷(율곡)의 曾祖父(증조부)가 보수할 당시 이숙함에 依賴(의뢰)하여 花石亭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그 후 栗谷이 重修(중수)한 이래 여러 번의 火魔(화마)를 거쳐 오늘에 이른다. ‘花’자는 풀의 상형인 ‘艸’와 ‘ (인:바로선 사람을 뜻함)’,‘匕(비:거꾸로 서있는 사람)’가 어우러진 글자이다.花는 ‘華(화)’의 俗字(속자)였으나 花는 ‘꽃’,華는 ‘화려하다’는 뜻으로 分化(분화..

[유림 속 한자이야기] <98> 靑出於藍(청출어람)

[유림 속 한자이야기] 靑出於藍(청출어람) 儒林 (469)에는 ‘靑出於藍’(푸를 청/날 출/어조사 어/쪽 람)이 나오는데,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나 후진이 스승이나 선배보다 더 뛰어남’을 이르는 말이다. ‘靑’자는 ‘풀’처럼 푸른색의 鑛石(광석)을 의미한다.用例(용례)는 靑山流水(청산유수:막힘없이 썩 잘하는 말),靑天霹靂(청천벽력:맑게 갠 하늘에서 치는 날벼락이란 뜻으로, 뜻밖에 일어난 큰 변고나 사건)’ 등이 있다. ‘出’자를 산을 겹쳐놓았다거나 풀이 자라는 모양을 본뜬 것이라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甲骨文(갑골문)을 보면 위쪽은 발바닥의 상형(止)이며, 아래쪽은 움집 형태를 나타내는 ‘ ’(감)의 변형으로,‘걸어서 움집 밖으로 나감’을 뜻한다.‘出納(출납:돈이나 물..

[儒林 속 한자이야기] <96>絶長補短(절장보단)

[儒林 속 한자이야기] 絶長補短(절장보단) 儒林 (464)에는 ‘긴 것을 잘라 짧은 것을 보충’한다는 뜻의 ‘絶長補短’(끊을 절/긴 장/기울 보/짧을 단)이 나오는데,‘長點(장점)이나 넉넉한 것으로 短點(단점)이나 부족한 것을 補充(보충)함’을 뜻한다. ‘絶’은 ‘무릎을 꿇고 앉아 바느질을 하는 아낙네가 칼을 들고 실을 끊는 모습’을 나타냈고, 여기서 ‘끊다’라는 뜻이 나왔다.用例(용례)에는 ‘杜絶(두절:통이나 통신 따위가 막히거나 끊어짐),謝絶(사절:요구나 제의를 받아들이지 않고 사양하여 물리침)’ 등이 있다. ‘長’자는 머리를 길게 늘어뜨린 노인이 지팡이를 들고 있는 모습을 그려 ‘길다’라는 뜻을 나타냈다.‘웃어른’‘우두머리’‘자라다’같은 뜻으로도 쓰인다.‘長物(장물:불필요한 물건, 또는 남는 물건)..

[儒林 속 한자이야기] (92)符信(부신)

[儒林 속 한자이야기] (92)符信(부신) 유림 속 한자이야기] 符信(부신) 儒林 (442)에는 ‘符信’(부절 부/믿을 신)이 나온다. 이것은 ‘나뭇조각이나 두꺼운 종이에 글자를 기록하고 證印(증인)을 찍은 뒤, 두 조각으로 쪼개어 한 조각은 상대자에게 주고 다른 한 조각은 자기가 가지고 있다가 나중에 서로 맞추어서 證據(증거)로 삼던 물건’을 말한다. ‘符’자는 옛날 행정 사무의 證據나 信標(신표)로 삼기 위한 대나무 쪽을 가리킨다. 후에 ‘도장’‘맞다’ 등의 뜻이 派生(파생)하였다.活用(활용) 예로는 符合(부합:符信이 꼭 들어맞듯 사물이나 현상이 서로 꼭 들어맞음),符號(부호:일정한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따로 정하여 쓰는 기호) 등이 있다. ‘信’자는 본디 ‘성실하다’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考案(고안..

[유림 속 한자이야기] <91> 封建(봉건)

[유림 속 한자이야기] 封建(봉건) 儒林 (438)에는 ‘封建’(봉할 봉/세울 건)이 나오는데, 이 말은 ‘천자가 나라의 토지를 나누어주고 제후를 봉하여 나라를 세우게 하던 일’을 가리킨다. 封자의 왼쪽은 한 그루 나무의 상형과 흙이 결합된 형태로 ‘나라끼리 영토를 구분하기 위해 경계선에 심은 나무’를 뜻한다. 여기에 손의 상형인 ‘又’(또 우)에 점을 찍은 ‘寸’(마디 촌)을 덧붙여 지금의 ‘封’자가 되었다.用例(용례)에는 ‘開封(개봉:봉하여 두었던 것을 떼거나 엶),封鎖(봉쇄:굳게 막아 버리거나 잠금)’ 등이 있다. 建자는 원래 ‘도로를 설계하다’란 뜻을 나타냈다.‘세우다’‘일으키다’ 등은 여기서 派生(파생)했다.‘建設(건설:새로 만들어 세움),建議(건의:개인이나 단체가 의견이나 희망을 내놓음, 또는..

[儒林 속 한자이야기](83)見利思義(견리사의)

[儒林 속 한자이야기](83)見利思義(견리사의) 儒林(유림)(385)에는 見利思義(볼 견/이로울 리/생각 사/옳을 의)가 나온다. 일찍이 孔子(공자)는 “눈앞의 利益(이익)을 보면 먼저 正義(정의)를 생각하고(見利思義),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바칠 수 있고(見危授命), 오랜 약속일지라도 평소에 잊지 않는다면(久要不忘平生之言), 또한 완성된 인간이라고 말할 수 있다(亦可以爲成人矣).”고 하였다.正當(정당)하게 얻은 富貴(부귀)가 아니면 취하지 말고,義를 보거든 勇氣(용기)를 내어 實踐(실천)해야 함을 강조한 말이다. ‘見’자는 ‘무엇을 명확히 보다’의 뜻을 나타내었다.‘見地(견지:어떤 사물을 판단하거나 관찰하는 입장),見解(견해: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자기의 의견이나 생각) 등에 쓰인다. ‘利’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