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속의 삶의 智慧 181

古典속의 삶의 智慧 - 以暴易暴[이포역포]

酒古典속의 삶의 智慧 - 以暴易暴[이포역포] 以 : 써 이, 暴 : 사나울 포, 易 : 바꿀 역, 暴 : 사나울 포 :《사기》 〈백이열전(伯夷列傳)〉1권 : 폭력을 폭력으로 다스린다는 뜻으로 정치를 하는데 있어 힘에 의지하는 것을 비유한 말. 정치의 요체를 덕으로 하지 않고 힘으로 한다는 의미다. 구조: 以/暴 易/暴 포악을 폭력으로 바꾸다. •以/暴: 포악을 -以 ~을 가지고 (수단방법의 전치사) -暴 포악 은나라 주왕(紂王)의 포악성(간접목적어) •易/暴: 폭력으로 바꾸다 -易 으로 바꾸다(동사) -暴 무왕(武王)의 폭력성을 비판함(간접목적어)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는 고죽국(孤竹國) 왕의 장남과 삼남이었다. 왕은 막내 숙제를 후계자로 지명하고 죽었는데, 숙제는 형제간 위계질서를 핑계 삼아 왕위를..

古典속의 삶의 智慧 - 日暮途遠(일모도원)

日暮途遠 酒古典속의 삶의 智慧 -日暮途遠(일모도원) 日 : 날 일 暮 : 저물 모 途 : 길 도 遠 : 멀 원 [출전] : 史記 [풀이] : 나이가 늙어서도 할 일이 많음. 날은 저물고 갈 길은 멀다. 초(楚)의 평왕(平王) 때 오사(伍奢)는 태자(太子) 건(建)의 태부(太傅-왕자의 양육관)였고, 비무기(費無忌)는 소부(少傅-太傅 다음 벼슬)로 있었다. 비무기(費無忌)는 간신이었다. 한 번은 태자(太子)를 위하여 진(秦)에서 데려온 여자를 평왕(平王)에게 권하고 아첨하여 왕(王)의 신임을 얻었다. 이 사실을 안 태자(太子)의 보복이 두려워 태자(太子)를 참소하였다. 여자에 빠져 버린 평왕(平王)은 비무기(費無忌)의 말만 곧이 듣고 태자(太子)를 국경으로 쫓아 버렸다. 또 평왕(平王)은 태자(太子)가 반기..

古典속의 삶의 智慧 - 酒池肉林(주지육림)

古典속의 삶의 智慧 - 酒池肉林(주지육림) 酒 : 술 주 池 : 못 지 肉 : 고기 육 林 : 수풀 림. [출전] : 《史記》〈殷本紀〉,《帝王世紀》,《十八史略》 [풀이] : 술로 못[池]을 이루고 고기로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극히 호사스럽고 방탕한 주연(酒宴)을 일컫는 말. 고대 중국의 하(夏)나라 걸왕(桀王)과 은(殷)나라 주왕(紂王)은 원래 지용 (智勇)을 겸비한 현주(賢主)였으나 그들은 각기 매희(妹喜)와 달기(妲己)라는 희대(稀代)의 두 요녀독부(妖女毒婦)에게 빠져서, 사치(奢侈)와 주색(酒色)에 탐닉(眈溺)하다가 결국 폭군 음주(暴君淫主)라는 낙인(烙印)이 찍힌 채 나라를 망치고 말았다. 하(夏)나라 걸왕은 자신이 정복한 오랑캐의 유시씨국(有施氏國)에서 공물 (供物)로 바친 희대의 요녀 매희에..

古典속의 삶의 智慧 - 曲肱之樂(곡굉지락)

古典속의 삶의 智慧 - 曲肱之樂(곡굉지락) 曲 : 굽을 곡 肱 : 팔뚝 굉 之 : 어조사 지(...의) 樂 : 즐거울 락, 풍유 악, 좋아할 요 가난하지만 正道를 걷는 삶. 돈과 명예를 일컫어 부귀라고 한다. 인생 최대의 목표였던 만큼 누구나 열심히 일해 돈 많이 벌고 또 높은 자리에 앉고 싶어한다. 그래서인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황금을 돌같이 보았다든가, 고관대작을 분토(糞土)로 여긴 자는 그리 많지 않았다. 공자도 예외는 아니었다. [論語]에 보면 "부자가 될 수 있다면 마부 노릇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대목이 나온다. 지성인 그가 이러할진대 하물며 범인들이야…. 그러나 그가 부귀를 맹목적으로 추구하는 것에는 반대했다. "부귀는 누구나 원하는 것이지만 부정한 방법으로 얻은 것이라면 가지지 말 것이며, ..

古典속의 삶의 智慧 - 大義滅親(대의멸친)

古典속의 삶의 智慧 - 大義滅親(대의멸친) 大:클 대. 義:옳을 의. 滅:멸할 멸. 親:친할‧육친 친. [출전] : 《春秋左氏傳》〈隱公三‧四年條〉 [풀이] : 대의를 위해서는 친족도 멸한다는 뜻으로, 국가나 사회의 대의를 위해서는 부모 형제의 정도 돌보지 않는다는 말. 춘추 시대인 주(周)나라 환왕(桓王) 원년(元年:B.C.719)의 일이다. 위(衛)나라에서는 공자(公子) 주우(州吁)가 환공(桓公)을 시해하고 스스로 군후의 자리에 올랐다. 환공과 주우는 이복 형제간으로서 둘다 후궁의 소생이었다. 선군(先君) 장공(莊公) 때부터 충의지사로 이름난 대부 석작(石碏)은 일찍이 주우에게 역심(逆心)이 있음을 알고 아들인 석후(石厚)에게 주우와 절교하라고 했으나 듣지 않았다. 석작은 환공의 시대가 되자 은퇴했다...

古典속의 삶의 智慧 - 易子而敎之(역자이교지)

古典속의 삶의 智慧 - 易子而敎之(역자이교지) 易 : 바꿀 역 子 : 아들 자 而 : 어조사 이(...지만) 敎 : 가르칠 교 之 : 어조사 지(...의) [출전] : 孟子 離婁上 [풀이] :자식을 서로 바꾸어 가르친다는 뜻으로 결국 부모가 직접 자기 자식을 가르치기 어렵다는 말. 맹자와 제자 공손추(公孫丑)와의 사이에 다음과 같은 문답이 행해지고 있다. "군자가 자기 아들을 직접 가르치지 않는 것은 어떤 이유에서입니까?" 하고 공손추가 물었다. 논어에 보면 공자가 그의 하나밖에 없는 아들 이를 직접 가르치지 않은 이야기가 나온다. 맹자도 아마 아들을 직접 가르치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공손추는 그 이유가 궁금했던 것이다. 맹자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형편이 그렇게 될 수 없기 때문이다. 가르치는..

古典속의 삶의 智慧 - 豚蹄一酒(돈제일주)

古典속의 삶의 智慧 -豚蹄一酒(돈제일주) 豚 돼지 돈, 蹄 발굽제, 一 한 일, 酒 술 주 《사기(史記) 〈골계열전(滑稽列傳)〉》 돼지 발굽과 술 한 잔이라는 뜻으로, 작은 물건(物件)으로 많은 물건을 구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행동을 비난하는 뉘앙스가 담겨 있다. 전국 시대 제(齊)나라 위왕(威王) 8년에 초(楚)나라가 갑자기 대군을 휘몰아 쳐들어왔다. 당황한 위왕은 이웃 조(趙)나라에 구원병을 청하기로 하고, 그 임무를 순우곤(淳于髡)에게 맡겨 서둘러 떠나도록 했다. 그와 아울러 조나라 왕에게 보낼 예물을 준비했는데, 황금 100근과 수레 10대에 가득 실은 각종 진귀한 물품들이었다. 그런데, 출발에 앞서 물품을 살펴본 순우곤이 한심한 듯이 껄껄 웃었다. 위왕: 왜 웃는가? 순우곤: 송구합니다. 별다..

古典속의 삶의 智慧 - 黨同伐異(당동벌이)

古典속의 삶의 智慧 - 黨同伐異(당동벌이) 黨 : 무리 당 同 : 한가지 동 伐 : 칠 벌 異 : 다를 이 [출전] : 《後漢書》“黨同傳” [풀이] : 옳고 그르고 간에 같은 사람은 편들고, 다른 파의 사람을 배격하는 것을 말함. 후한(後漢)에서는 제4대 화제(和帝) 이후로 역대 황제가 모두 어린 나이에 즉위했다. 그래서 황태후가 섭정이 되고, 그 일족인 외척이 권력을 손아귀에 넣었다. 그 외척에 대항하여 이를 타도하는 역할을 주로 한 것이 환관의 세력이었다. 그리하여 후한 말기에는 외척과 번갈아 권력을 장악하고 채우는 썩어빠진 정치 상황이 일반이었다. 외척이나 환관에 의한 정치의 사물화(私物化)에 강한 불만을 품은 것은 지방의 호족이나 양반 출신의 지식인들었다. 그들은 중앙과 지방의 강직한 관료를 중심..

古典속의 삶의 智慧 - 鷄鳴狗盜(계명구도)

鷄鳴狗盜(계명구도) 鷄:닭 계. 鳴:울 명. 狗:개 구. 盜:도둑 도. [출전]《史記》〈孟嘗君列傳〉 [풀이]천한 기능을 가진 사람도 때로는 쓸모가 있음의 비유. 전국 시대 중엽, 제(齊)나라 맹상군(孟嘗君)은 왕족으로서 재상을 지낸 정곽군(靖郭君)의 40여 자녀 중 서자로 태어났으나 정곽공은 자질이 뛰어난 그를 후계자로 삼았다. 이윽고 설(薛) 땅의 영주가 된 맹상군은 선정을 베푸는 한편 널리 인재를 모음으로써 천하에 명성을 떨쳤다. 수천 명에 이르는 그의 식객 중에는 문무지사(文武之士)는 물론 ‘구도’(狗盜:밤에 개가죽을 둘러쓰고 인가에 숨어들어 도둑질하는 좀도둑을 말함)에 능한 자와 닭 울음소리[鷄鳴]을 잘 내는 자까지 있었다. 이 무렵(B.C.298), 맹상군은 진(秦)나라 소양왕(昭襄王)으로부터 ..

古典속의 삶의 智慧 - 井中之蛙(정중지와)

古典속의 삶의 智慧 - 井中之蛙(정중지와) 井 : 우물 정 中 : 가운데 중 之 : 갈 지(…의) 蛙 : 개구리 와. [출전] : 《後漢書》〈馬援專〉,《莊子》〈秋水篇〉 [풀이] :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식견이 좁음의 비유. 우물 안 개구리, 즉 견문이 좁아서 넓은 세상의 사정을 모름의 비유. ① 황하의 신(神)인 하백(河伯)이 흐름을 따라 처음으로 바다에 나와, 북해 (北海)까지 가서 동해(東海)를 바라보면서, 그 끝이 없는 넓음에 놀라서 북해의 신(神)인 약(若)에게 말했다. 그러자 북해의 신(神)인 약(若)이 이렇게 말했다. "우물 안에서 살고 있는 개구리에게 바다를 얘기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그들이 좁은 장소에서 살고 있기 때문이며, 여름 벌레에게 얼음을 말해도 알지 못하는 것은, 그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