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집에서 자다가 갑자기 숨진 C사 소속 택배 기사 정모(42)씨는 8년 차 기사였다. 매일 14~15시간씩 일평균 400여개를 날랐다고 한다. 주 6일 70시간 넘게 일하면서 가장의 책임을 다하려 노력했다. 그에겐 초등생·유치원생 자녀가 있었다. 세상을 떠난 날은 5월 4일. 다음 날 어린이날을 맞아 가족 나들이를 계획한 상태였다. 사인은 과로사로 추정된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택배 기사들은 하루 평균 12.7시간, 월평균 25.6일을 일하고 월 순수입 302만원을 올리고 있었다. 22일 오전 서울의 한 택배 물류센터에서 택배기사들이 배송 준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칸 영화제 감독상을 두 번 받았던 켄 로치의 최신작 ‘미안해요 리키’는 영국 택배 기사의 삶을 다뤘다. 원제는 ‘Sorry, We Missed You’. 택배 기사가 수취자 부재 시 남기는 메모다. 주인공은 전 직장에서 해고된 뒤 택배 기사로 재출발한 중년 남성.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쉬지 않고 트럭을 몰고 상품을 나른다. 겨우 생계를 꾸려가지만 녹록지 않다. 압권은 마지막 장면. 배달하다 강도를 만나 물건을 뺏기고 만신창이가 된 주인공은 다음 날 가족들 만류를 뿌리치고 다시 트럭을 몰고 일터로 나간다. 다쳤다고 쉬면 당장 수입이 끊기고 차후 택배 물량 배정에서도 불이익을 받기 때문이다. 영국 택배 업계 실태를 잘 묘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자상거래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택배 시장도 급성장했다. 우리 국민 1인당 연간 택배 이용 횟수는 2000년 5회에서 2019년 99.3회로 급증했다. 그 추세는 코로나 이후 가속화했다. 늘어난 주문량을 제때 소화하려면 택배 기사들이 더 많이 들고 더 빨리 뛰는 수밖에 없다. 팽창한 시장을 잡기 위한 경쟁은 ‘새벽 배송’ ‘총알 배송’ ‘치타 배송’ 같은 선전 문구로 요약된다. 올 들어 국내 3대 택배 업체 매출은 일제히 역대 최고를 기록하고 있지만, 희생도 늘었다. 올해에만 택배 기사들이 숨진 사례가 11건 보고됐다.
택배 기사는 특별한 기술을 요구하지 않는다. 몸 성하게 물건 들고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으면 된다. 서울노동권익센터가 설문 조사해보니 택배 기사로 일하게 된 계기는 전문성 없이 쉽게 구할 수 있다(46.4%)거나 당장 수입이 필요(31.0%)한 경우 등 88.6%가 비자발적 선택이었다. 노동강도는 세지만 견딜 만하면 남고 못 견디면 탈출하는 체계다. “싫으면 관둬라. 너 말고도 할 사람 많다”는 식이다. 이런 일자리는 주변에 널렸다. 대리 기사, 신용카드 회원 모집인, 아파트 경비원, 청소 노동자, 가사 도우미…. 이 사회가 굴러가기 위해 저임금에 보이지 않는 노동을 감수하는 ‘특수 고용’ 노동자들이다. 이른바 ‘고자다(고르기 쉽고 자르기 쉽고 다루기 쉬운)’에 해당하는데 그 규모가 200만명에 달한다. 정치권에선 택배 기사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기업을 압박하고 윽박지르고 있다. 그런데 그런다고 해결될까. 업계 1위 택배 업체 순이익률은 최근 5년간 0.49~1.12%였다. 택배 기사 처우를 개선하고 업무 강도를 낮춰주고 싶지만 그러려면 운임을 인상하는 수밖에 없다. 그럼 그동안 편하게 싼값에 배달을 즐겼던 소비자들이 불편해진다. 정말 문제는 이런 택배 기사 고충도 4차 산업혁명이란 거대한 물결에 휩쓸려 갈 수밖에 없다는 데 있다. 무인(로봇·드론)배송이 본격화하면 택배 기사가 설 자리는 좁아진다. IMF 연구원들은 앞으로 택배 기사를 비롯한 저숙련 노동자 실질 임금은 40% 하락하고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35%에서 10%로 감소한다고 전망했다. 이런 이들에게 지속 가능한 사회 안전망을 마련해주는 노력은 다 같이 고민해야 할 숙제다. 모든 짐을 기업에 떠넘기는 건 부당할 뿐 아니라 근본적인 해결책도 아니다. |
'新聞colum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파원 리포트] 해고 쉬운 복지천국 스웨덴 (0) | 2020.10.23 |
---|---|
[만물상] ‘백신 공포’ (0) | 2020.10.23 |
[사설] “정치가 검찰을 덮어버렸다” “중상모략은 가장 점잖은 단어” (0) | 2020.10.23 |
[사설] 사기꾼과 與·법무장관이 한 팀으로 일하는 대한민국 (0) | 2020.10.23 |
[오병상의 코멘터리]금태섭의 탈당,최장집의 경고..똑같다[출처: 중앙일보] (0) | 2020.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