周易

[스크랩] 58_태위택(兌爲澤)

bindol 2018. 7. 14. 09:11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58_태위택(兌爲澤)

 

兌(태) : 태는

亨(형) : 형통하니

利貞(이정) :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兌說也(태열야) : 태는 기뻐하는 것이니,

剛中而柔外(강중이유외) : <강>효가 중정하고 <유>효가 바깥해서,

說以利貞(열이이정) : 기뻐하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是以(시이) : 이로써

順乎天而應乎人(순호천이응호인) : 하늘에 순하고 사람에게 응해서,

說以先民(열이선민) : 기뻐함으로써 백성에게 먼저 하면

民忘其勞(민망기로) : 백성이 그 수고로움을 잊고

說以犯難(열이범난) : 기뻐함으로써 어려움을 범하면

民忘其死(민망기사) : 백성이 그 죽음을 잊나니,

說之大民勸矣哉(열지대민권의재) : 기뻐함의 큰것이 백성이 권하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麗澤兌(려택태) : 걸린 못이 태괘의 괘상이니

君子以朋友講習(군자이붕우강습) : 군자가 친구와 강습하느니라.


初九(초구) : 초구는

和兌吉(화태길) : 화해서 기뻐함이니 길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和兌之吉(화태지길) : '화태지길'은

行未疑也(행미의야) : 행하는데 의심하지 않음이라.


九二(구이) : 구이는

孚兌吉(부태길) : 미더워해서 기뻐함이니 길하고

悔亡(회망) : 뉘우침이 없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孚兌之吉(부태지길) : '부태지길'은

信志也(신지야) : 뜻을 믿음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來兌凶(래태흉) : 와서 기뻐함이니 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來兌之凶(래태지흉) : '래태지흉'은

位不當也(위불당야) : 자리가 당치 않음이라.


九四(구사) : 구사는

商兌未寧(상태미녕) : 기쁨을 헤아려서 편안치 아니하니,

介疾有喜(개질유희) : 분별해서 불의를 미워하면 기쁨이 있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九四之喜(구사지희) : '구사지희'는

有慶也(유경야) : 경사가 있음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孚于剝有厲(부우박유려) : 깍는데 믿으면 위태함이 있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孚于剝(부우박) : '부우박'은

位正當也(위정당야) : 자리가 정당함이라.


上六(상육) : 상육은

引兌(인태) : 이끌어서 기뻐함이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上六引兌(상육인태) : '상육인태'는

未光也(미광야) : 빛나지 못함이라



출처: http://hwalove.tistory.com/entry/58태위택兌爲澤?category=343349 [빈막(賓幕)]

출처 : 석양길 나그네
글쓴이 : bindol 원글보기
메모 :

'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56_화산여(火山旅)  (0) 2018.07.14
[스크랩] 57_손위풍(巽爲風)  (0) 2018.07.14
[스크랩] 59_풍수환(風水渙)  (0) 2018.07.14
[스크랩] 60_수택절(水澤節  (0) 2018.07.14
[스크랩] 61_풍택중부(風澤中孚)  (0) 2018.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