周易

[스크랩] 20_풍지관(風地觀)

bindol 2018. 7. 14. 09:32

음양오행의 원리_주역/역경(周易/易經)


                    20_풍지관(風地觀)

 

觀盥而不薦(관관이부천) : <관>은 세수를 하고 제사를 올리지 아니하면,

有孚顒若(유부옹약) : 믿음을 두어서 우러러 보리라.


彖曰(단왈) : 단에 이르기를

大觀在上(대관재상) : 크게 봄으로 위에 있어서,

順而巽(순이손) : 순해서 겸손하고,

中正以觀天下(중정이관천하) : 중정으로 천하를 봄이니,

觀盥而不薦有孚顒若下(관관이부천유부옹약하) : '관관이부천유부옹약'은

觀而化也(관이화야) : 천하의 인민이 보아서 교화된다.


觀天之神道(관천지신도) : 하늘의 신비한 도를 봄에

而四時不忒(이사시부특) : 사시가 어긋나지 아니하니,

聖人以神道設敎(성인이신도설교) : 성인이 신비한 도로써 가르침을 베풂에

而天下服矣(이천하복의) : 천하가 복종하느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風行地上觀(풍행지상관) : 바람이 땅위를 지나는 것이 관괘의 상이니

先王以省方觀民設敎(선왕이성방관민설교) :
선왕이 이로써 방소를 살피고 백성을 살펴서 가르침을 베푸느니라.


初六(초육) : 초육은

童觀(동관) : 아이의 봄이니,

小人无咎(소인무구) : 소인은 허물이 없고

君子吝(군자인) : 군자는 인색하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初六童觀(초육동관) : '초육동관'은

小人道也(소인도야) : 소인의 도라.


六二(육이) : 육이는

窺觀(규관) : 엿보는 것이니,

利女貞(이여정) : 여자의 바름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窺觀女貞(규관여정) : '규관여정'이

亦可醜也(역가추야) : 또한 추함이라.


六三(육삼) : 육삼은

觀我生進退(관아생진퇴) : 나의 생김새를 보아서 나아가고 물러나도다.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觀我生進退(관아생진퇴) : '관아생진퇴'하니

未失道也(미실도야) : 도를 잃지 아니함이라.


六四(육사) : 육사는

觀國之光(관국지광) : 나라의 빛을 봄이니,

利用賓于王(이용빈우왕) : 왕에게 손님대접을 받는 것이 이로우니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觀國之光尙賓也(관국지광상빈야) : '관국지광'은 손님을 숭상함이라.


九五(구오) : 구오는

觀我生(관아생) : 나의 생김새를 보되,

君子无咎(군자무구) : 군자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觀我生觀民也(관아생관민야) : '관아생'은 백성을 봄이라.


上九(상구) : 상구는

觀其生(관기생) : 그 생김새를 보되,

君子无咎(군자무구) : 군자면 허물이 없으리라.


象曰(상왈) : 상에 이르기를

觀其生(관기생) : '관기생'은

志未平也(지미평야) : 뜻이 평안치 않음이라



출처: http://hwalove.tistory.com/entry/20풍지관風地觀?category=343349 [빈막(賓幕)]

출처 : 석양길 나그네
글쓴이 : bindol 원글보기
메모 :

'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18_산풍고(山風蠱)  (0) 2018.07.14
[스크랩] 19_지택임(地澤臨  (0) 2018.07.14
[스크랩] 21_화뢰서합(火雷噬嗑)  (0) 2018.07.14
[스크랩] 22_산화비(山火賁)  (0) 2018.07.14
[스크랩] 23_산지박(山地剝)  (0) 2018.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