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봉교수의
김태봉 <서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신춘(新春)이나 신년(新年)이란 말에는
새로운 시작이나 출발의 뜻이 내포되어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에 새로운 시작이나 출발이 있을 수 있을까?
시간은 언제 시작해서 언제 끝나는 것일까?
모든 사물은 존재하는 순간부터 시간의 흐름과 함께 변해간다.
그러나 시간 자체는 그저 흐를 뿐 시작이니 출발이니 하는 개념이 있을 수 없다.
따라서 시간에 ‘새롭다(新)’라는 형용사를 붙이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이처럼 새해니 새봄이니 하는 말은 그저 사람이 오랜 관습 속에서
편의상 하는 말버릇에 불과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따르고 그렇게 느낀다면,
이 또한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당(唐)의 시인 한유(韓愈)가 새해를 맞이하여 느낀 소회는 참으로 감각적이다.
◈ 봄눈(春雪)
新年都未見芳華(신년도미견방화) 갓 새해엔 언제나 향기로운 꽃 아직 보이지 않고
二月初驚見草芽(이월초경견초아)이월에야 처음으로 풀싹을 보고 놀란다네
白雪嫌春色晩(백설각혐춘색만)흰 눈이 도리어 봄빛 늦음을 미워하여
故穿庭樹作飛花(고천정수작비화)그래서 뜰 나무를 뚫고 날아다니는 꽃이 되었다네
※ 여기서 새해는 물론 음력 새해이므로 양력으로는 보통 2월 중순 이후에 해당한다.
양력 새해보다는 봄에 가깝지만, 음력 새해 정초에도 언제나 아직 꽃은 눈에 띄지 않는다.
한 달 뒤인 2월이 되어서야 비로소 풀싹이 보이는 것이 고작이다.
꽃이 아닌 풀싹이 보이는 것만으로도 워낙 예기치 못했던 일인지라 깜짝 놀라기까지 한다.
그것도 처음으로 말이다.
새해가 왔건만 도무지 봄은 오지 않을 것 같은 절망적 예감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이러한 시인의 절망감은 뜻하지 않게 겨울의 상징인 흰 눈으로 그 불똥이 튀었다.
온 세상을 새하얗게 덮고 있는 흰 눈은 겨울의 무한함을 확신이라도 하는 듯이,
자신의 적수(敵手)인 봄이 늦게 오는 것이 밉다고 조롱하며 한껏 거드름을 피운다.
흰 눈의 거드름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자신이 있는 한 봄은 오지 않을 것이고,
봄의 주인공인 꽃 또한 피지 못할 것이기 때문에
그는 스스로가 꽃이 되어 봄의 분위기를 연출하기로 한다.
그래서 뜰에 있는 나무들 사이를 뚫고 여기저기 흩날리는 것이니,
이쯤 되면 스스로가 꽃 노릇을 한 게 아니고 무엇이냐고 으스댄다.
여기까지 시의 겉을 살폈으니 이제는 시의 속을 들여다 볼 차례이다.
과연 시인은 봄을 기다리는 것일까?
아니면 흰 눈의 세상이 계속되기를 바라는 것일까 정답은 둘 다이다.
새해를 맞이한 시인에게 향기로운 꽃(芳華)은 아직 보이지 않는다.
여기서 주의할 말은 도(都)와 미(未)이다.
도(都)는 모두라는 뜻으로 시인이 맞은 새해가 여러 차례였고
그 때마다 모두 꽃이 없었음을 말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다음의 미(未)는 부정사(否定詞)지만 여느 부정사(否定詞)와는 뜻이 다르다.
아직은 아니라는 것은 얼마 안 있어 곧 그렇게 될 것이라는 것을 강조한 것에 불과하다.
이런 의미에서 미(未)의 함의는 부정(否定)이 아니라 긍정(肯定)이다.
그것도 확신에 가까운 긍정(肯定)이다.
새해 정초엔 매번 꽃이 아직 보이지 않는다고 푸념했지만, 사실은 푸념한 게 아니다.
여러 차례 새해에 대한 경험을 통해 봄이 곧 올 것임을 확신하면서도
짐짓 봄이 아득하다고 배부른 투정을 하는 시인의 모습은 천진난만한 개구쟁이와도 같다.
겉으로 드러난 것은 절망감이지만, 그 속에는 기대감이 숨어 있다.
뜰 안의 나무 사이로 흩날리는 눈이 봄이 늦음을 미워해 꽃이 되었다고 한 것도
사실은 시인의 성급한 기대감을 표현한 것에 다름 아니다.
시인의 눈에 마당의 흰 눈은 화사한 봄꽃으로 보이니 말이다.
새해가 된 순간 봄은 머지않다. 머지않아 뜰엔 흰 눈 대신 봄꽃이 만발할 것이다.
'김태봉의 漢詩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천지(雪天地) 별천지(別天地) (0) | 2021.01.04 |
---|---|
설니홍조 (0) | 2021.01.04 |
산중설야(山中雪夜) (0) | 2021.01.04 |
세모에 그리운 사람 (0) | 2021.01.04 |
한겨울에 봄을 묻다 (0) | 2021.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