告子章句 上 11. 求放心章 孟子曰 仁人心也 義人路也 맹자 왈, 인은 사람의 마음이요, 의는 사람의 길이다.
仁者心之德 程子所謂心如穀種 仁則其生之性 是也 然但謂之仁則人不知其切於己 故反而名之曰人心 則可以見其爲此身酬酌萬變之主而不可須臾失矣 義者行事之宜 謂之人路則可以見其爲出入往來必由之道而不可須臾舍矣 인은 마음의 덕이다. 정자가 이른바 마음은 곡식의 종자와 같고, 인은 바로 生의 性이다 라고 말한 것이 이것이다. 그러나 다만 인이라 말하면 사람들이 자기에 그 절실한 줄을 알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돌이켜 이름 하기를 왈, 人心이라 하니 곧 이 몸이 만 가지 변화를 酬酌하는 주인이 되어 감시라도 잃어서는 안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義는 일을 행하는 마땅함이다. 이것을 人路라 하니 그렇다면 출입왕래에 반드시 따르는 길이 되어서, 잠시라도 버려서는 안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舍其路而不由 放其心而不知求 哀哉 그 길을 버리고 따르지 아니하며, 그 마음을 내버려두고 찾을 줄을 모르니 슬프다!
哀哉二字 最宜詳味 令人惕然有深省處 哀哉 두 글자를 가장 마땅히 자세히 음미해야 하니, 사람으로 하여금 惕然히 깊이 살핌이 있게 하는 곳이다.
人有鷄犬放則知求之 有放心而不知求 사람이 닭과 개가 있어 달아나면 찾을 줄을 알면서도, 마음을 내버려두고 찾을 줄을 모른다.
程子曰 心至重 鷄犬至輕 鷄犬放則知求之 心放則不知求 豈愛其至輕而忘其至重哉 弗思而已矣 정자 왈, 마음은 지극히 무겁고, 계견은 지극히 가볍다. 계견이 도망가면 찾을 줄을 알지만 마음이 떠나가도 찾을 줄을 모르니, 어찌 그 지극히 가벼운 것을 아끼고 그 지극히 무거움을 잊는 것인가? 생각하지 않을 뿐이다.
愚謂 上兼言仁義而此下專論求放心者 能求放心則不違於仁而義在其中矣 내가 이르건대 위에서는 인의를 겸하여 말하였고, 이 아래에서는 오로지 放心을 찾는 것을 논한 것은, 방심을 찾을 만하면 仁에 멀지 않으며 義가 그 가운데 있는 것이다.
學問之道無他 求其放心而已矣 학문의 길은 다른 것이 아니다. 그 放心을 찾는 것일 뿐이다.
學問之事 固非一端 然其道則在於求其放心而已 蓋能如是則志氣淸明 義理昭著而可以上達 不然則昏昧放逸 雖曰從事於學而終不能有所發明矣 학문의 일은 진실로 한 가지가 아니나, 그 道는 바로 그 放心을 찾는 데 있을 뿐이다. 대개 이와 같이 잘 하면 志氣가 청명해 지고 義理가 밝게 드러나 上達 할 수 있고, 그렇지 못하면 혼미하고 방일하여 비록 배움에 종사한다 하더라도 끝내 發明하는 바가 있을 수 없을 것이다.
故程子曰 聖賢千言萬語 只是欲人將已放之心約之 使反復入身來 自能尋向上去 下學而上達也 此乃孟子開示切要之言 程子又發明之 曲盡其指 學者宜服膺而勿失也 그러므로 정자 왈, 성현의 천 마디 만 마디 말씀이 다만 사람들이 이미 잃어버린 마음을 가져와 묶어서, 돌이켜 다시 몸에 들어오게 하고자 한 것이니, 스스로 위를 향해 찾아갈 수 있으면, 하학상달이 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맹자가 열어서 보인 절실하게 필요한 말씀이다. 정자가 또 그것을 발명하여 그 뜻을 곡진히 하였으니, 학자는 마땅히 가슴 속에 새겨두고 잃지 말아야 할 것이다. |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익학당] 개성이 이데아(Idea)다!(170720)_A510 (0) | 2018.04.26 |
---|---|
[홍익학당] 대학에서 배우는 철학의 요결(170204)_A466 (0) | 2018.04.26 |
必須 暗記章 / 中庸 (0) | 2018.04.08 |
必須 暗記章 / 大學經 (0) | 2018.04.08 |
必須 暗記章 / 盡心章, 求放心章 (0) | 2018.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