拾 得
*주울 습(手-9, 3급)
*얻을 득(彳-11, 4급)
분실(紛失)의 반대말을 한자로 쓰시오? 답을 한자로 쓸 줄 알아도 각 글자 속에 담긴 뜻을 모르면 헛일이다. 오늘은 ‘拾得’이란 한자어에 쓰인 두 글자를 샅샅이 뜯어보자. 그래야 뜻을 확실히 알 수 있다. 뜻을 아는 한자는 잘 잊어버리지 않는다.
拾자는 손으로 땅에 떨어진 물건을 ‘줍다’(pick up)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만든 것이었으니 ‘손 수’(手=扌)가 표의요소로 쓰였다. 合(합할 합)은 표음요소였는 데 음이 다소 달라졌다. ‘十’(십)의 갖은자로 쓰일 때에는 [십]으로 읽는다.
得자는 원래 ‘돈’을 가리키는 貝(패)와 ‘손으로 잡다’는 뜻인 又(우)가 합쳐진 꼴로 ‘(돈을 손으로) 줍다’(pick up)는 뜻이었는데, 후에 ‘길거리 척’(彳)이 덧붙여졌다. 따라서 본래부터 不勞所得(불로소득)의 의미가 다소 담겨 있는 셈이다. 후에 일반적 의미의 ‘얻다’(obtain; acquire)로 확대 사용됐다.
拾得은 ‘남이 잃어버린 물건을 주워서[拾] 얻음[得]’을 이른다. 그런데 우리네 삶은 운전과 비슷한 점이 있다. 오늘은 송나라 때 선비(소동파의 동생)가 남긴 명언을 소개해 본다.
“멈춰야 할 데서 멈추지 못하고,
멈추지 말아야 할 데서 멈추는,
이 두 가지는 모두 문제를 일으킨다.”
得已而不已득이이불이,
不得已而已之부득이이이지,
二者皆亂也이자혼란야 - 蘇轍소철.
'전광진의漢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970] 駿馬(준마) (0) | 2021.09.07 |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969] 關鍵(관건) (0) | 2021.09.03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968]衍文(연문) (0) | 2021.09.02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967] 薰陶(훈도) (0) | 2021.09.01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966] 茅屋(모옥) (0) | 2021.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