功: 공 공 虧: 이지러질 휴 一: 한 일 竹+貴: 삼태기 궤
사소한 방심으로 거의 완성된 사업이 헛될 수도 있다는 의미다. 구인일궤(九(人+刃)一(竹+貴)), 미성일궤(未成一(竹+貴))라고도 한다. 궤(竹+貴)는 광(筐)자와 같으며 흙을 담는 도구로, 대나무로 만든다. 상서(尙書) ‘여오(旅獒)’편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주나라 무왕(武王)이 은나라를 멸망시킨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일이다. 남방의 이족인 만족(蠻族)은 주나라의 세력이 강해지자 앞 다투어 공물을 바쳐 친교를 맺으려고 했다. 그 가운데 여(旅)라는 나라에서 오(獒)라는 개를 바쳤는데, 키가 넉 자나 되며 사람의 말귀도 알아듣는 명견이었다. 무왕은 이 선물을 받고 매우 기뻐했다. 이때 무왕의 동생 소공(召公) 석(奭)이 무왕의 느슨해진 마음을 경계하여 다음과 같이 노래했다. “아, 밤낮으로 근면하지 않을 수 없으니/사소한 행동에 힘쓰지 않으면/끝내 큰 덕을 이루지 못하리라./아홉 길의 흙산을 만들다가/공은 한 삼태기 흙으로 이지러진다.(嗚呼. 夙夜罔或不勤. 不矜細行, 終累大德, 爲山九(人+刃), 功虧一(竹+貴).)”
맨 마지막 두 구절에 나와 있듯이 천하통일이 눈앞에 있는데, 조금이라도 빈틈이 있으면 이룰 수 없음을 경고하여 말한 것이다. 여기서 ‘구인’은 63척인데, 일설에는 72척이라고도 하며 높은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논어 ‘자한(子罕)’편에서 공자도 자신이 학문하는 것에 대해 이런 말을 하였다.
“비유하자면 산을 쌓는 것과 같으니, 한 삼태기의 흙을 이루지 못하고 그만두어도 내가 그만둔 것이다. 비유하자면 땅을 고르는 것과 같으니, 한 삼태기의 흙을 부어서 나아갈지라도 내가 나아가는 것이다.(譬如爲山, 未成一(竹+貴), 止,吾止也, 譬如平地, 雖覆一(竹+貴),進, 吾往也.)”
학문이란 사소한 방심으로도 쉽게 무너질 수 있음을 비유한 말이다. 아울러 공자는 강조하고 있다. 시종여일(始終如一)이란 말도 따지고 보면 맨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초심을 유지하여 끝맺기가 그토록 어려움을 나타낸 것이다. 일의 성패란 차이도 따지고 보면 누가 끝까지 최선을 다해 마침표를 찍는가에 달려 있지 않은가.
김원중 건양대 중국언어문화학과 교수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3>비방지목(誹謗之木) (0) | 2021.10.28 |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4>불구심해(不求甚解) (0) | 2021.10.28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6>부마(駙馬) (0) | 2021.10.28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7>녹엽성음(綠葉成陰) (0) | 2021.10.28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8>청천벽력(靑天霹靂) (0) | 2021.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