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5>공휴일궤(功虧一(竹+貴)

bindol 2021. 10. 28. 05:25

功: 공 공 虧: 이지러질 휴 一: 한 일 竹+貴: 삼태기 궤

 

사소한 방심으로 거의 완성된 사업이 헛될 수도 있다는 의미다. 구인일궤(九(人+刃)一(竹+貴)), 미성일궤(未成一(竹+貴))라고도 한다. 궤(竹+貴)는 광(筐)자와 같으며 흙을 담는 도구로, 대나무로 만든다. 상서(尙書) ‘여오(旅獒)’편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주나라 무왕(武王)이 은나라를 멸망시킨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일이다. 남방의 이족인 만족(蠻族)은 주나라의 세력이 강해지자 앞 다투어 공물을 바쳐 친교를 맺으려고 했다. 그 가운데 여(旅)라는 나라에서 오(獒)라는 개를 바쳤는데, 키가 넉 자나 되며 사람의 말귀도 알아듣는 명견이었다. 무왕은 이 선물을 받고 매우 기뻐했다. 이때 무왕의 동생 소공(召公) 석(奭)이 무왕의 느슨해진 마음을 경계하여 다음과 같이 노래했다. “아, 밤낮으로 근면하지 않을 수 없으니/사소한 행동에 힘쓰지 않으면/끝내 큰 덕을 이루지 못하리라./아홉 길의 흙산을 만들다가/공은 한 삼태기 흙으로 이지러진다.(嗚呼. 夙夜罔或不勤. 不矜細行, 終累大德, 爲山九(人+刃), 功虧一(竹+貴).)”

맨 마지막 두 구절에 나와 있듯이 천하통일이 눈앞에 있는데, 조금이라도 빈틈이 있으면 이룰 수 없음을 경고하여 말한 것이다. 여기서 ‘구인’은 63척인데, 일설에는 72척이라고도 하며 높은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논어 ‘자한(子罕)’편에서 공자도 자신이 학문하는 것에 대해 이런 말을 하였다.

 

“비유하자면 산을 쌓는 것과 같으니, 한 삼태기의 흙을 이루지 못하고 그만두어도 내가 그만둔 것이다. 비유하자면 땅을 고르는 것과 같으니, 한 삼태기의 흙을 부어서 나아갈지라도 내가 나아가는 것이다.(譬如爲山, 未成一(竹+貴), 止,吾止也, 譬如平地, 雖覆一(竹+貴),進, 吾往也.)”

 

학문이란 사소한 방심으로도 쉽게 무너질 수 있음을 비유한 말이다. 아울러 공자는 강조하고 있다. 시종여일(始終如一)이란 말도 따지고 보면 맨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초심을 유지하여 끝맺기가 그토록 어려움을 나타낸 것이다. 일의 성패란 차이도 따지고 보면 누가 끝까지 최선을 다해 마침표를 찍는가에 달려 있지 않은가.

김원중 건양대 중국언어문화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