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劉十九 / 白居易
綠蟻新醅酒 녹의신배주
紅泥小火爐 홍니소화로
晩來天欲雪 만래천욕설
能飮一杯無 능음일배무
푸르스름한 거품 이는 갓 빚은 술
불꽃 벌겋게 핀 자그마한 질화로
저녁 되자 하늘은 눈이라도 내릴 듯
술이나 한잔 같이할 수 있을는지?
류십구에게 묻는다(문류십구·問劉十九)’ 백거이(白居易·772∼846)
`````````````````````````````````````````````````
벌겋게 숯불이 타는 질화로 곁에서 보글보글 술 익는 소리를 들으며 한껏 들떴을 시인.
보나마나 술독 안에선 푸르스름한 밥알들이 개미 떼처럼 동동 떠오르고 있을 것이다.
새로 익은 술을 핑계 삼아 친구를 맞을 기대에,
눈이 내릴 듯 우중충한 저문 하늘조차 그저 정겹게만 느껴졌을 테다.
보글거리는 동동주의 숨소리조차 귀에 쏙쏙 담기는
이 호젓한 밤을 친구와 함께한다면 그 술맛이, 그 도타운 우정이 오죽이나 각별하랴.
스무 자짜리 초대장에 시인의 부푼 기대가 남실댄다.
‘술이나 한잔 같이할 수 있을는지’라며 조심스레 건네는 말 속에,
급작스러운 초대를 저어하는 시인의 세심한 배려가 숨겨져 있는 듯도 싶다.
친구는 이 제안을 달콤한 권주가로 받아들여 한달음에 달려오지 않았을까.
‘함께 동동주 비울 사람이 없어,
저녁 까마귀 울 때까지 기다리네’라 했던 두보의 씁쓸한 시구를
애써 떠올릴 겨를도 없이 말이다.
류십구(劉十九)는 백거이가 남쪽 강주(江州)로 좌천되었을 때
자주 어울렸던 초야의 선비로, 백거이가 다른 시에서
‘바둑 두고 술내기 하느라 날 새는 줄 몰랐다’고 할 정도로 절친한 사이였다.
류십구는 류씨 집안의 열아홉째 자손이라는 뜻.
과거 대가족이 한 울타리 안에 살 때,
친동기건 사촌이건 상관없이 출생순으로 번호를 붙여 이름 대신 부르기도 했다.
다만 순번을 매길 때 남녀는 구분했다.
시인 원진(元유)을 원구, 류우석(劉禹錫)을
류이십팔이라고도 부르듯 이런 호칭은 꽤 흔하게 쓰였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이준식의 한시한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歲夜詠懷 / 劉禹錫 (0) | 2021.12.31 |
---|---|
시인의 소신[이준식의 한시 한 수]〈140〉 (0) | 2021.12.24 |
연모의 노래[이준식의 한시 한 수]〈138〉 (0) | 2021.12.10 |
시인의 일탈[이준식의 한시 한 수]〈137〉 (0) | 2021.12.03 |
시름겨운 밤배[이준식의 한시 한 수]〈136〉 (0) | 2021.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