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가 있는 아침

(61)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bindol 2022. 1. 28. 15:26

(61)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중앙일보

입력 2021.03.04 00:07

 

유자효 시인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이황(1501∼1570)
제11곡
청산(靑山)은 어찌하여 만고(萬古)에 푸르르며
유수(流水)는 어찌하여 주야(晝夜)에 긋지 아니는고
우리도 그치지 말아 만고상청(萬古常靑) 하리라

- 도산육곡판본(陶山六曲板本)

 

정치의 기반은 철학

조선 유학의 대종(大宗)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벼슬을 버리고 고향 안동에 돌아가 도산서원(陶山書院)을 짓고 후진 양성에 전념하던 63세 때 지은 연시조 12수 가운데 열한 번째 작품이다.

푸른 산은 어찌하여 영원히 푸르며, 흐르는 물은 또 어찌하여 밤낮으로 그치지 않는가? 우리도 저 물같이 그치는 일 없이 저 산처럼 언제나 푸르게 살겠다는 학문 도야와 수양의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만고상청’은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이자 이상으로, 진리가 내면화된 경지라고 하겠다. 도산12곡은 전6곡과 후6곡으로 구성됐는데 전6곡은 사물에 접하는 감흥을 노래한 언지(言志), 후6곡은 학문 수양에 임하는 심경을 노래한 언학(言學)이라고 명명하였다.

퇴계는 우주의 현상을 이(理)와 기(氣)의 이원(二元)으로 설명하였다. 인간의 순수이성은 절대선(絶對善)이며 여기에 따르는 것을 최고의 덕으로 보았다.

조선의 사대부에게는 도학 정치라는 지향점이 있었다. 정치의 기반은 철학이다. 철학이 없는 정치는 사회를 혼탁하게 하고 역사의 지향점을 오도하기도 한다. 오늘날 한국 정치는 어떤 철학에 바탕하고 있는가?

유자효 시인

'시조가 있는 아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63) 삼동(三冬)에 베옷 입고  (0) 2022.01.28
(62) 25시  (0) 2022.01.28
(60) 봄의 의미·2  (0) 2022.01.28
(59) 옥이 흙에 묻혀  (0) 2022.01.28
(58) 비는 마음  (0) 2022.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