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 매화 옛 등걸에
중앙일보
입력 2022.02.17 00:16

유자효 시인
매화 옛 등걸에
매화(생몰연대 미상)
매화 옛 등걸에 춘절(春節)이 돌아오니
옛 피던 가지에 피엄즉도 하다마는
춘설이 난분분하니 필동말동 하여라
-병와가곡집
자존감 높았던 조선 기생들
매화는 명기(名妓) 구인(九人) 중의 한 사람으로 『해동가요』에 기록돼 있는 평양 기생이다. 유춘색이란 사람이 평양감사로 부임해와 매화와 가까이 지냈으나 나중에 춘설(春雪)이란 기생과 가까이하자 이를 원망하며 지었다는 유래가 전한다. 매화라는 자기 이름과 꽃의 이름을 이중의 뜻이 되게 한 중의법(重義法)이다. 또한 자신의 늙어진 몸과 고목이 된 매화라는 이중의 뜻을 실은 중의법이기도 하다.
춘절(봄철)과 연적(戀敵) 춘설의 이름을 초장과 종장에 배치한 것도 재미있다. 이 시조는 또한 옛날에 피었던 가지에 다시 꽃이 피듯이 한동안 안 오던 정든 이들이 올 듯도 하지만, 때아닌 봄눈이 어지럽게 흩날리듯 세상이 어지러우니 못 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정치적인 뜻으로도 풀이된다.
조선의 기생들은 신분 규제에서 벗어나 시인을 비롯해 뛰어난 예인(藝人)이 많았다. 명기의 자존심 또한 높았다. 송이(松伊)라는 기생이 역시 자신의 이름에 빗대 쓴 시조 한 수를 읽는다. 나는 깎아지른 절벽의 낙락장송이니 나무꾼의 낫 같은 것으로는 걸어볼 생각도 말라는 기개가 고고하기만 하다.
솔이 솔이라 하여 무슨 솔만 여기는다
천심(千尋) 절벽에 낙락장송 내 긔로다
길 아래 초동의 접낫이야 걸어볼 줄 있으랴
유자효 시인
'시조가 있는 아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3) 풍파(風波)에 놀란 사공 (0) | 2022.03.07 |
---|---|
(112) 조춘(早春) (0) | 2022.02.24 |
(110) 깨진 벼루의 명(銘) (0) | 2022.02.11 |
(109) 호화(豪華)코 부귀키야 (0) | 2022.02.03 |
(108) 선시(禪詩) 34 (0) | 2022.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