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속의 삶의 智慧

古典속의 삶의 智慧 一 走馬燈(주마등)

bindol 2022. 5. 28. 04:03

古典속의 삶의 智慧 一走馬燈(주마등)
走 : 달릴 주 馬 : 말 마 燈 : 등불 등

 


<풀이> 사물이 덧없이 빨리 돌아감.


중국(中國) 사람들만큼 등(燈)을 즐기는 민족도 드물 것이다. 전국시대(戰國時代)부터 등(燈)을 달았다고 하니 무려 2천5백년의 역사가 되는 셈이다.

명절이나 행사가 있을 때면 으레 길거리에 등불부터 내건다. 대표적인 것이 정월 대보름의 관등(觀燈) 행사다.

중국(中國)은 주(周)나라 때부터 야간통금을 실시했다.
그러다 보니 백성들이 겪는 불편이 많았다.

그래서 통치자들은 백성들의 억압된 심리도 풀어주고 또 태평성대를 과시하기 위해 명절만큼은 통금(通禁)을 해제하고 휘황찬란한 등(燈)을 궁성(宮城) 주위에 내걸게 했다.

이때부터 차츰 등(燈)을 거는 기간도 늘어나 명(明) 태조(太祖) 주원장(朱元璋) 은 10일간이나 걸게 했으며, 지금은 설부터 대보름까지 무려 15일간을 걸어둔다.

이 날 등장하는 등(燈)의 모양도 각양각색이다.
각종 과일과 꽃․물고기 등.
그 중 대표적인 것을 들자면 역시 주마등(走馬燈)이 아닐까 싶다.

등(燈) 위에 둥근 원반(原盤)을 올려놓고 원반(原盤)의 가장자리를 따라 말이 달리는 그림을 붙여 늘어뜨린다.
마치 영화의 필름처럼 연속동작의 그림을 붙여 놓는 것이다.

밑에서 촛불을 밝히면 등(燈) 내부의 공기가 대류현상(對流現狀)을 일으켜 원반을 돌게 한다. 촛불의 밝기에 따라 회전속도도 빨라짐은 물론이다.

원반이 돌아가면 마치 만화영화를 보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된다.
말이 질주 (疾走)하는 모습이 연속동작으로 눈에 들어 오게 된다.
그것이 주마등 (走馬燈)이다.

워낙 빨리 돌았으므로 주마등(走馬燈)은 세월의 빠름이나 어떤 사물이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것을 형용하기도 한다. '마치 주마등(走馬燈)처럼 스쳐 지나 갔다' 는 표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