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음訓音
榮 영화 영 / 業 업 업 / 所 바 소 / 基 터 기
籍 문서 적 / 甚 심할 심 / 無 없을 무 / 竟 마침내 경
▶ 풀이
영화로운(榮) 사업(業)의 기초(基)가 되는 바(所)이고,
그 쌓음(籍)이 대단하여(甚) 끝(竟)이 없다(無).
▶ 자원字源
榮 : 나무 목木, 덮을 멱冖, 불 화火가 결합했다. 나무에 꽃이 무성하게 피어 아름답다는 데서 '영화榮華'를 뜻한다. 꽃이 나무에 피는 것이 榮이고, 풀에 피는 것이 華이다.
業 : 종과 북 같은 악기를 걸어 보관하기 위한 널빤지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이후 기록하는 널빤지, 문서라는 데서 '일'을 뜻하게 됐다.
所 : 집 호戶(한쪽만 있는 문, 호→소), 도끼 근斤이 결합했다. 한쪽 문에 농기구, 도끼 등을 걸어 두었다는 데서 '장소'를 뜻한다. '바(방법 또는 방도)'는 뜻이 없는 허사虛辭이다.
基 : 흙 토土, 그 기其(벼나 곡식의 껍데기를 걸러내던 키)가 결합했다. 터를 다지기 위해 키나 바구니로 흙을 퍼 나르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터', '기초' 등을 뜻한다.
籍 : 대나무 죽竹, 짓밟을 적耤(가래 뢰耒, 예 석昔의 합자 → 농민의 수를 기록했던 명부가 오래되어 많아졌음)이 결합했다. 죽간으로 만든 명부라는 데서 ‘문서’, ‘호적’ 등을 뜻하게 됐다. 깔 자藉(자자藉藉하다)와 혼용하여 쓰인다. 이 구절에서는 '명성이 자자하다(藉)'보단 '업적을 쌓는다(籍)'를 나타내기 위해 籍으로 표현했으나 藉로 나타내도 문제는 없을 듯하다.
甚 : 달 감甘(입 안에 음식이 들어있는 모습), 비수 비匕(수저)가 결합했다. 수저로 입에 음식을 가득 집어넣으려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심하다'를 뜻한다.
無 : 춤추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글자의 아랫부분은 두 발 벌려 춤을 추는 모습이며, 윗부분은 옷의 소매에 주술도구를 붙이고 두 손을 벌리는 모습이다. 이후에 가차되어 '없다'라는 뜻이 됐다.
竟 : 소리 음音(악곡樂曲), 어진사람 인儿(음악을 연주하는 사람)이 결합했다. 음악의 1절이 끝났다는 데서 '마침내', '끝' 등을 뜻한다.
▶ 참고參考
영업소기적심무경榮業所基籍甚無竟에서의 기초(基)는 앞 구절인 자부사군왈엄여경資父事君曰嚴與敬, 효당갈력충즉진명孝當竭力忠則盡命, 림심리박숙흥온청臨深履薄夙興溫凊, 사란사형여송지성似蘭斯馨如松之盛, 천류불식연징취영川流不息淵澄取映, 용지약사언사안정容止若思言辭安定을 이른다. 유학에서는 전인적全人的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이러한 방식의 교육은 결함 있는 천재보다 결함 없는 범재를 위한 것이다. 즉, 유학의 교육 대상은 대중을 지향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교육열이 높은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을까 한다. 또한 이것은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죽어야 나라가 살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千字文 工夫'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0) 존이감당存以甘棠 거이익영去而益詠 (0) | 2022.06.12 |
---|---|
(039) 학우등사學優登仕 섭직종정攝職從政 (0) | 2022.06.12 |
(037) 독초성미篤初誠美 신종의령愼終宜令 (0) | 2022.06.12 |
(036) 용지약사容止若思 언사안정言辭安定 (0) | 2022.06.12 |
(035) 천류불식川流不息 연징취영淵澄取映 (0) | 2022.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