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 工夫

(075) 기전파목起翦頗牧 용군최정用軍最精

bindol 2022. 6. 17. 18:07

▶ 훈음訓音

起 일어날 기 / 翦 자를 전 / 頗 치우칠 파 / 牧 칠 목
用 쓸 용 / 軍 군사 군 / 最 가장 최 / 精 정할 정




▶ 풀이

백기(起)와 왕전(翦)과 렴파(頗)와 리목(牧)은
군사(軍) 운용(用)이 가장(最) 정묘했다(精).


▶ 자원字源

起 : 달릴 주走, 몸 기己가 결합했다. 달리기 위해 일어난다는 데서 '일어나다'를 뜻한다.
翦 : 앞 전前(자르다), 깃 우羽가 결합했다. 깃털을 깎는다는 데서 '자르다'를 뜻한다.
頗 : 가죽 피皮(털을 뽑지 않은 채 가죽을 벗기는 모습 → 머리털), 머리 혈頁이 결합했다. 머리털은 한쪽 방향으로 난다는 데서 '치우치다'를 뜻한다. 머리털 숫자가 매우 많다는 데서 '자못'의 뜻으로도 쓰인다.
牧 : 소 우牜, 칠 복攵이 결합했다. 막대기로 소를 때린다는 데서 ‘치다’를 뜻한다.
用 : 나무로 만든 통을 나타낸 데서 본래 ‘나무통’을 뜻하다가 물건을 쓴다는 데서 ‘쓰다’의 뜻이 됐다. 여기에 나무 목木을 결합한 통 통桶이 그 뜻을 대신하고 있다.
軍 : 덮을 멱冖(고를 균勻의 변형), 수레 차車가 결합했다. 전차가 고르게 배치되어 있다는 ‘군사’를 뜻한다.
最 : 가로 왈曰(무릅쓸 모冒의 생략형, 덮치다), 가질 취取(취→최)가 결합했다. 덮어씌워 취한다는 데서 ‘모두’, ‘가장’ 등을 뜻한다.
精 : 쌀 미米, 푸를 청靑(우물 주위로 푸른 초목이 자라는 모습)이 결합했다. 쌀이 깨끗하게 한다는 데서 ‘정하다’를 뜻한다.


▶ 참고參考

백기白起와 왕전王翦은 전국시대 진秦나라의 대표적인 명장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진秦 소양왕 때에 조나라, 위나라, 한나라, 초나라 등의 여러 나라들과 싸워서 많은 승리를 거두고 진나라의 영토를 크게 넓혔다.

렴파廉頗와 리목李牧은 전국시대 조趙나라의 대표적인 명장이다. 렴파는 조나라의 재상 린상여藺相如와의 관계에서 문경지교刎頸之交 고사로 유명하다. 리목李牧은 북쪽의 흉노와 서쪽의 진나라 등을 상대로 많은 전공을 거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