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 工夫

(108) 교수돈족矯手頓足 열예차강悅豫且康

bindol 2022. 6. 18. 09:42

▶ 훈음訓音

矯 바로잡을 교 / 手 손 수 / 頓 조아릴 돈 / 足 발 족
悅 기쁠 열 / 豫 미리 예 / 且 또 차 / 康 편안 강




▶ 풀이

손(手)을 들고(矯) 발(足)을 구르니(頓)
기쁘고(悅) 즐거우며(豫) 또(且) 편안하다(康).


▶ 자원字源

矯 : 화살 시矢, 높을 교喬(뛰어나다)가 결합했다. 휜 화살을 곧게 만든다는 데서 '바로잡다'를 뜻한다.
手 : 사람의 손을 표현한 데서 '손'을 뜻한다.
頓 : 진칠 둔屯(둔→돈), 머리 혈頁이 결합했다. 머리가 땅에 닿도록 절한다는 데서 '조아리다'를 뜻한다.
足 : 무릎부터 발끝까지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발'을 뜻한다. 발은 몸을 지탱하는 기초라는 데서 '충족하다', '족하다'의 뜻으로 파생됐다.
悅 : 마음 심忄, 바꿀 태兌(입을 벌리고 크게 웃는 모습)가 결합했다. 마음으로 웃는다는 데서 '기쁘다'를 뜻한다.
豫 : 나 여予, 코끼리 상象이 결합했다. 큰 코끼리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코끼리는 조심성이 많아 행동 전에 미리 살펴본다는 데서 '미리', '머뭇거리다', '대비하다' 등을 뜻한다. 대비하여 여유가 있으면 즐겁다는 데서 ‘즐겁다’는 뜻이 파생됐다.
且 :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하는 궤几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본래 '조상'을 뜻했으나 제사를 지낼 때 겹겹이 음식을 놓는다는 데서 '또'의 뜻으로 쓰이게 됐다. 현재 조상 조祖가 '조상'의 뜻을 대신하고 있다.
康 : 별 경庚(탈곡기), 쌀 미米가 결합했다. 탈곡기에서 낱알을 떨어뜨려 먹을 것을 해결한다는 데서 '편안하다'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