繫辭上傳5章 一陰一陽之謂道. 繫辭上傳5章 一陰一陽之謂 道 한 번 陰하고 한 번 陽하게 함을 道라 이르니, 1) 한번 陰하고 한번 陽하는 것을 이르되 道라고 하니,
〔本義〕 陰陽迭運者 氣也 其理則所謂道 陰陽이 번갈아 運行함은 氣이고, 그 이치는 이른바 道라는 것이다. 繼之者 善也 成之者 性也 계속하여 함은 善이요, 갖추어 있음은 性이다.
1) 잇는 자는 善이요, 이루는 자는 性稟이라.繼 : 發의 뜻 成: 具의 뜻 〔本義〕 道具於陰而行乎陽 繼 言其發也 善謂化育之功 陽之事也 成言其具也 性 謂物之所受 言物生則有性而各具是道也 陰之事也 周子程子之書 言之備矣 道는 陰에 갖추어져 있고 陽에 행해지니, 繼는 그 발함을 말한 것이요 善은 化育의 功을 이르니 이는 陽의 일이다. 成은 갖추고 있음을 말한 것이요 性은 물건이 받은 것을 이르니, 물건이 나면 性을 간직하고 있어 각기 이 道를 갖춤을 말한 것이니, 이는 陰의 일이다. 周子와 程子의 책에 말씀한 것이 자세하다. 仁者 見之 謂之仁 知者 見之 謂之知 百姓 日用而 不知 故 君子之道 鮮矣 仁者는 이를 보고 仁이라 이르고, 智者는 이를 보고 智라 이르며, 백성들은 날마다 쓰면서도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君子의 道가 드문 것이다.
1) 어진자가 봄에 '어질다' 이르며, 지혜로운 자가 봄에 '智慧지혜라' 이르고, 백성은 날마다 써도 알지 못함이라. 그러므로 군자의 도가 적으니라. 2) 뜻풀이
〔本義〕 仁陽知陰 各得是道之一隅 故隨其所見而目爲全體也 日用不知 則莫不飮食鮮能知味者 又其每下者也 然 亦莫不有是道焉 或曰上章 以知 屬乎天 仁 屬乎地 與此 不同 何也 曰彼 以淸濁言 此 以動靜言
仁의 陽과 智의 陰은 각각 이 道의 한 쪽만을 얻었다. 그러므로 그 보는 바에 따라 전체라고 지목하는 것이다. 날마다 쓰면서도 알지 못한다는 것은 음식을 먹고 마시지 않는 이가 없으나 맛을 아는 자가 적으니, 또 매번 낮은 것이다. 그러나 또한 이 道가 있지 않음이 없다. 혹자는 말하기를 “上章에서는 智를 하늘에 소속시키고 仁을 땅에 소속시켜서 여기와 같지 않음은 어째서인가?” 하기에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저것은 淸濁으로 말하였고 이것은 動靜으로 말한 것이다.” 顯諸仁 藏諸用 鼓萬物而不與聖人同憂 盛德大業 至矣哉 仁에 드러나며 用에 감추어져 萬物을 鼓舞하되 聖人과 함께 근심하지 않으니, 성한 德과 큰 業이 지극하다.
1) 저 仁을 나타내며 저 用을 감춰서, 만물을 鼓動하되 성인과 더불어 한가지로 근심하지 아니하나니,
성한 덕과 큰 업이 지극함이라. 顯: 나타낼 현 諸저: 어조사 저 (제) 藏: 감출 장 땅속에 있던 仁이 봄을 맞아 밖으로 나와 커서 (顯諸仁현저인) 열매 맺고, 다시 땅속으로 감춰지고
(藏諸用장저용) 하는 음양의 조화를 말한다.
〔本義〕 顯 自內而外也 仁 謂造化之功 德之發也 藏 自外而內也 用 謂機緘之妙 業之本也 程子 曰天地 无心而成化 聖人 有心而无爲
緘 봉할 함 ㉡꿰매다 ㉡묶다 ㉣새끼줄 ㉤서류함 ㉥봉투 ㉦편지(便紙ㆍ片紙) ㉧서신(書信) 機緘(기함) : 기미, 작용 顯은 안으로부터 밖에 나옴이요, 仁은 造化의 功을 이르니 德의 발로이다. 藏은 밖으로부터 안으로 들어감이요, 用은 機緘의 妙를 이르니, 業의 근본이다. 程子가 말씀하였다. “天地는 마음이 없으나 造化를 이루고, 聖人은 마음이 있으나 위함이 없다.” 富有之謂 大業 日新之謂 盛德 풍부히 소유함을 大業이라 이르고, 날로 새로워짐을 盛德이라 이르고,
1) 富有부유한 것을 大業 대업이라 하고, 날로 새로운 것을 盛한 德이라 이름이요
〔本義〕 張子 曰富有者 大而无外 日新者 久而无窮 張子가 말씀하였다. “‘富有’는 커서 밖이 없는 것이요, ‘日新’은 오래어 無窮한
것이다.” 生生之謂 易 낳고 낳음을 易이라 이르고,
1) 生하고 生함을 이르되 易이요
〔本義〕 陰生陽 陽生陰 其變 无窮 理與書 皆然也 陰은 陽을 낳고 陽은 陰을 낳아 그 변화가 無窮하니, 이치와 책(易)이 모두 그러하다.
成象之謂 乾 效法之謂 坤 象을 이룸을 乾이라 하고 法을 드러냄을 坤이라 하고,
1) 形象을 이룬 것을 乾이라 이르고, 法을 본받는 것을 坤이라 이르며,效: 본받을 효
〔本義〕 效 呈也 法 謂造化之詳密而可見者 效는 드러냄이요, 法은 造化가 상세하고 치밀하여 볼 수 있음을 이른다. 極數知來之謂 占 通變之謂 事 數를 지극히 하여 미래를 앎을 占이라 하고, 變을 통함을 일이라 하고, 1) 數를 極해서 오는 것을 아는 것을 占이라 이르고, 通變하는 것을 일이라 이르며, 2) 뜻풀이 #2 通變之謂 事 통변지위사: 음이 양, 양이 음되는 것을 '變변 (변화의 통칭)'이라 하고, 이것이
계속하여 순환하는 것을 '通통'이라 한다. 음양이 通變통변하여 만물이 生하고 盛하는 것을 大業이라하며, 占에 따라 피흉취길하여 행동하는 것을
事業이라 한다.
〔本義〕 占 筮也 事之未定者 屬乎陽也 事 行事也 占之已決者 屬乎陰也 極數知來 所以通事之變 張忠定公 言公事 有陰陽 意蓋如此 占은 蓍草占이니 일이 아직 결정되지 않은 것은 陽에 속하며, 일은 행하는 일이니 점이 이미 결단된 것은 陰에 속한다. 數를 지극히 하여 미래를 앎은 일의 변을 통하는 것이다. 張忠定公이 “公事에도 陰陽이 있다.”
하였으니, 뜻이 이와 같은 것이다. 陰陽不測之謂 神 陰하고 陽하여 측량할 수 없음을 神이라 한다. 1) 陰과 陽에 헤아리지 못함을 신이라 하니라.
〔本義〕 張子 曰兩在 故不測 張子가 말하길 “두 가지가 있으므로 측량할 수 없는 것이다.” 右第五章 이상은 제5장이다. 〔本義〕 此章 言道之體用 不外乎陰陽而其所以然者則未嘗倚於陰陽也 이 章은 道의 體用은 陰陽에서 벗어나지 않으나, 그 所以然은 일찍이 陰陽에 의지하지 않음을 말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