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ndol study

周易의 鬼神觀

bindol 2020. 4. 15. 06:23

주역의 鬼神觀


흔히 사람들은 神의 신령스러움은 알지만 그 神이 神이 된 바는 알지 못한다(人이 知其神之神하고 不知其神之所以神이라)고 황제음부경은 말하고 있다.
자연의 신묘한 이치를 알아서 깨우쳐야 함에도 보통 사람들은 이러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어떤 초인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들의 기이한 사술에 현혹되어 중용의 도에서 벗어나기에 공자는 이를 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유로 대개 儒家에서는 신에 관한 얘기를 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그것은 잘 모르는 사람들의 얘기이다. 주역에서 공자는 신을 두루 언급하고 있다.
특히 계사전이나 설괘전을 보면 神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까지 나온다.
계사상전 제9장에 “凡天地之數ㅣ 五十有五ㅣ니 此ㅣ 所以成變化하며 而行鬼神也ㅣ라.
(무릇 천지의 수가 오십오니, 이것으로써 변화하며 귀신을 행하느니라)” 하여 天數와 地數의 합인 55 속에서 음양이 변화를 하고 그것을 귀신이 행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陰이 변하는 것, 즉 음적인 작용은 鬼가 되고,
陽이 변하는 것, 즉 양적인 작용은 神이라고 한다.
鬼는 죽어가는 것(自有而無)을 말하고,
神은 살아나오는 것(自無而有)을 말한다.
앞서 계사상전 제4장에서 “精과 氣가 물건이 되고 혼이 놀아서 변이 되어 이로써 귀신의 정상(情狀)을 안다(精氣爲物이오 游魂爲變이라 是故로 知鬼神之情狀하나니라)”고 한 뜻도 음양의 변화이기에 “신은 방소가 없고 역은 체가 없다(神无方而易无體)”라 하였다. 따라서 ‘음양은 쉽게 헤아리지 못하기에 이를 神이라(陰陽不測之謂ㅣ 神이라 : 계사상전 제5장)’ 정의하였다.
설괘전 제6장(妙神文)을 보면 구체적으로 神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神也者는 妙萬物而爲言者也ㅣ니 動萬物者ㅣ 莫疾乎雷하고 撓萬物者ㅣ 莫疾乎風하고 燥萬物者ㅣ 莫熯乎火하고 說萬物者ㅣ 莫說乎澤하고 潤萬物者ㅣ 莫潤乎水하고 終萬物始萬物者ㅣ 莫盛乎艮하니 故로 水火ㅣ 相逮하며 雷風이 不相悖하며 山澤이 通氣然後에아 能變化하야 旣成萬物也하니라.
(신이라는 것은 만물을 묘하게 함을 말한 것이니
만물을 움직이는 것이 우레보다 빠른 것이 없고,
만물을 흔드는 것이 바람보다 빠른 것이 없고,
만물을 말리는 것이 불보다 말리는 것이 없고,
만물을 기쁘게 하는 것이 못보다 기쁘게 하는 것이 없고 만물을 적시는 것이 물보다 적시는 것이 없고,
만물을 終하여 始하는 것이 艮보다 성한 것이 없으니, 그러므로 물과 불이 서로 따르며, 우레와 바람이 서로 거스르지 아니하며 산과 못이 기운을 통한 후에야 능히 변화하여 만물을 다 이루느니라)
공자는 만물을 묘하게 하는 것이 신이라 하였다.
그래서 ‘신은 묘하다’ 해서 神妙하다고 한다.
위의 건삼련 하늘과 아래 곤삼절 땅, 곧 천지는 곧 하나의 신이 된다. 이 신묘함에서 우레와 바람과 물과 불과 산과 못이 되는 후천 팔괘 방위도의 이치를 설명하고 있다.
즉 건곤괘를 제외하고 나머지 여섯 괘인 자녀괘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다.
神也者라는 속에 건곤이 들어가 있는 것이다.
유가에서 죽은 조상과 부모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은 부모는 신이기 때문이다. 부모의 신묘함으로 아들이 나오고 딸이 나오는 것이기에 경의를 표하는 것이다.
즉 자식은 부모의 신이 아니면 나올 수 없고, 만물은 천지의 신이 아니면 나올 수가 없는 것이다.
妙神文을 다시 한 번 살펴보자. 만물을 움직이는 것은 우레보다 더한 것이 없어 봄에 만물이 약동해 나오는 것을 東方震 우레의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만물을 마구 흔드는 것은 바람보다 더한 것이 없다. 바람은 장녀인 음괘( )이므로 장남인 양괘( ) 우레보다는 움직임이 부드러워 물체를 흔들어준다.
신을 말함에 있어서 우레신은 움직이는 것만 맡고 있으며 바람신은 흔드는 걸 맡고 있다.
만물을 우레와 바람으로서 동요시키는 것이다.
만물을 말리는 것은 불보다 더한 것이 없다.
중녀인 離虛中( ) 불신은 젖은 것을 말려주는 신이다. 만물을 기쁘게 하는 것은 못보다 더한 것이 없으며 소녀인 兌上絶( ) 못신은 기쁨의 신이다.
만물을 불리는 것은 물보다 더한 것이 없다.
중남인 坎中連( ) 물신은 적셔서 윤택하게 해주고 생명을 불려주는 신이다.
만물을 끝내고 만물을 비롯하는 것은 艮보다 더한 것이 없다. 소남인 艮上連( )은 후중히 그치는 신으로 終則有始의 매듭 역할을 한다. 다른 자녀괘들의 경우는 형이하적 괘상인 雷 風火 澤 水를 들어 표현했지만 만물을 종시하는 이 산괘의 경우는 유달리 형이상적인 괘명인 艮으로써 표현하였다.
이 간괘가 선천을 마치고 후천을 여는 근본 핵심 (형이상적인 태극의 역할)이 된다는 것을 공자가 특별히 강조한 듯하다.
여기서 천지는 숨어버렸다. 말하자면 부모가 돌아가서 신으로 화한 것인데 부모는 자식한테 재산도 넘겨주고 혈육의 대까지 넘겨준다. 왕가의 인군으로 말하자면 태자에게 다 넘겨주는 것이다. 저 위에 있던 하늘이 서북방으로 가서 쭈그리고 있고 아래에 있던 땅은 서남방으로 가서 쭈그리고 있다. 이렇게 하여 천지는 서북과 서남에서 신이 되어 움츠리고 있다. 신이 되어 ‘動만물, 撓만물, 燥만물, 說만물, 潤만물, 終만물과 始만물’의 후천적인 用事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선천팔괘의 교역으로 인한 것인데 六坎水( )와 三離火( )의 물과 불이 서로 미치고(水火相逮), 四震雷( )와 五巽風( )의 우레와 바람이 서로 거슬리지 않으며 七艮山( )과 二兌澤( )의 산과 못이 기운을 통하고(山澤通氣) 그런 뒤에야 능히 변화해서 모든 만물을 다 이루게 되고 후천의 이치가 정립되는 것이다. 이것은 곧 만물을 묘하게 하는 신의 작용이라는 설명이다.
다시 말해 천지자연의 지극히 정미롭고도 신묘한 작용에 의해 변화해서 調和를 이루는 이치가 곧 주역에서 말하는 귀신이자 신이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귀신은 가득찬 것을 해롭게 하고 겸손함에는 복을 준다(鬼神은 害盈而福謙이라 : 주역 15번째괘인 地山謙괘 대상전)”하여, 교만한 자에게 재앙과 손해를 입히고 겸손한 자에게 복과 길함을 준다는 것이 우리나라 전통의 기본적인 귀신관이다.


'bindol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地山謙卦  (0) 2020.04.24
雷水解卦  (0) 2020.04.23
不憤不啓 不悱不發  (0) 2020.04.12
天 符 經  (0) 2019.03.03
璇璣玉衡  (0) 2019.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