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자키 도텐(宮崎滔天·1871~ 1922)은 메이지 시대 일본의 사상가이다. 그는 신분 사회를 타파하고 농지를 경작자에게 분배함으로써 인민의 자유와 생존권을 보장하는 '농본적 민본 사회'를 꿈꿨다. 도텐의 사상은 일본을 넘어 동아시아적 맥락에서 혁명의 의미와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아시아주의로 확장된다. 특히 중국 인민들이 청조(淸朝)를 타도하고 서구 제국주의에 대항하는 동아시아 민본 혁명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1922년 도텐이 세상을 떠나자 상하이에서 추도식이 열린다. 식을 주재한 손문은 '도텐이 없었으면 신해혁명도 없었 을 것'이라며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난징(南京) 중국근대사박물관에는 손문과 나란히 걷고 있는 도텐의 동상이 서 있다. 중국인들은 국적을 초월하여 중국 변혁의 불쏘시개가 되어준 이 일본인에게 지금도 경의를 표한다. 근현대 중·일 관계사는 단순하지도 일방적이지도 않다. 거기서 연유하는 복잡 미묘한 역사 감각을 선악 이분법 역사관으로 이해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
'신상목의스시한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상목의 스시 한 조각] [52] 100년 전 일본의 바이오 벤처 (0) | 2020.08.01 |
---|---|
[신상목의 스시 한 조각] [51] 겐신·요안이 뿌린 日 노벨상 씨앗 (0) | 2020.08.01 |
[신상목의 스시 한 조각] [49] 군국주의와 공산주의의 합작 (0) | 2020.08.01 |
[신상목의 스시 한 조각] [48] 미·일·중, "영원한 敵은 없다" (0) | 2020.08.01 |
[신상목의 스시 한 조각] [47] 인천상륙작전에 쓰인 일본의 지도 (0) | 2020.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