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항(姜在恒·1689~1756)이 쓴 '현조행(玄鳥行)'이란 시의 사연이 흥미롭다. 제비 한 쌍이 새끼 다섯 마리를 길렀다. 문간방 고양이가 틈을 노려 어미 암컷을 잡아먹었다. 짝 잃은 제비가 슬피 울며 넋을 잃고 지내더니 어느새 다른 짝을 구해 새살림을 차렸다.
위백규(魏伯珪·1727~1798)도 '잡저'에서 말했다. "제비는 암수 중 한쪽이 죽어 새 짝을 얻으면 반드시 가시를 물어다 이전 짝의 새끼에게 먹여 죽인다." 조선시대에 이 같은 생각이 꽤 널리 퍼져 있었다는 뜻이다. 새 아내가 전처소생의 자식을 구박하고 학대하는 일이 워낙 흔하다 보니, 제비의 행동에 이를 투사하여 보았던 셈이다.
|
'정민의 세설신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민의 世說新語] [371] 당면토장(當面土墻) (0) | 2020.08.03 |
---|---|
[정민의 世說新語] [370] 심자양등(深者兩等) (0) | 2020.08.03 |
[정민의 世說新語] [368] 방무운인(傍無韻人) (0) | 2020.08.03 |
[정민의 世說新語] [367] 노인지반(老人之反) (0) | 2020.08.03 |
[정민의 世說新語] [366] 유구기미(唯求其美) (0) | 2020.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