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週 漢字

[漢字, 세상을 말하다] 原毁<원훼>

bindol 2020. 8. 16. 03:13

옛날 군자는 자신을 질책할 때는 엄중하고 주도면밀했지만, 남을 대할 때는 가볍고 간략했다(其責己也重以周 其待人也輕以約). 엄중하고 주도면밀해 태만하지 않았고, 가볍고 간략했기에 그 사람은 선을 즐겨 행했다(重以周 故不怠 輕以約 故人樂爲善).

 오늘날 군자는 그렇지 않다. 남을 책망할 때 세세하고 자신을 대할 때 너그럽다(其責人也詳 其待已也廉). 세밀하게 따지니 남이 선을 행하기 어렵다(詳 故人難於爲善). 너그럽게 봐주기 때문에 자신은 얻음이 적다(廉 故自取也少). 스스로 훌륭한 점이 없음에도 “나는 이런 걸 잘하니 이것으로 충분해”라 한다. 스스로 잘하는 것이 없어도 “나는 이런 걸 할 줄 아니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한다. 밖으로 남을 속이고 안으로는 스스로를 속인다.

 


 남을 대할 때에는 “그가 비록 이에 능해도 칭찬할 만하지 않다. 그가 비록 이를 잘해도 쓰임은 칭찬하기에 충분치 않다”고 한다. 한 가지 결점만 거론할 뿐 나머지 열 가지 장점은 무시한다. 옛 잘못만 캐낼 뿐 새롭게 변한 모습은 생각하지 않는다. 오직 그의 훌륭한 점이 남들에게 알려질까 두려워할 뿐이다.

 여기에는 근원이 있다. 태만(怠)과 거리낌(忌)이다. 태만한 자는 몸을 수양하지 못한다. 거리끼는 자는 남이 몸을 수양할까 두려워한다. 내가 일찍이 시험해 봤다. 사람들에게 “아무개는 훌륭한 선비다. 아무개는 훌륭한 선비다”라 말해보았다. 인정하는 자는 반드시 그 사람과 같은 편이었다. 혹은 그 사람과 관계가 소원해 아무 이해관계도 함께하지 않았거나 두려워서 인정한 것이었다.

 훌륭한 선비임을 부정한 자들 가운데 권세있는 자는 반드시 말로 노여움을 드러냈다. 나약한 자는 얼굴에 노여움을 나타냈다. 이 때문에 행실을 닦아도 비방하고, 덕이 높아도 폄훼하는 것이다(是故事修而謗興 德高而毁來).

 이상은 당(唐)대 한유(韓愈·768~824)가 비방(誹謗)의 원인을 논한 ‘원훼(原毁)’의 초록(抄錄)이다. 남에게 엄격하고 자신에게 관대하면 제 단점은 감추고 남을 헐뜯게 된다는 논리다. 마치 최근 한국 정치를 보는 듯한 글이다.


신경진 중국연구소·국제부문 기자 xiaoka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