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성격 괴팍하여 멋진 시구만 탐닉한 탓에 시어로 경탄을 자아내지 못하면 죽어도 그만두는 법이 없었지 늘그막엔 시를 되는대로 짓다 보니 봄날 꽃과 새를 보고도 깊은 고심은 없어졌네 새로 만든 강 난간에서 낚싯대 드리우거나 낡은 뗏목 엮어 배 삼아 들락거릴 뿐 어찌하면 도연명 사령운 같은 시상을 배워 저들과 더불어 시 지으며 노닐어 볼거나
거침없이 쏟아냈던 이백과 달리 두보는 정형시의 正格을 지키는 데 치밀하고 신중했다. 역대 문인들이 두시(杜詩)를 교과서 삼아 학습한 이유다.
좋은 시구를 얻으려 시인은 고심을 거듭했다. 시어가 남들의 경탄을 자아내지 못하면 죽어도 그만두는 법이 없었다는 명구에 그런 엄격함이 함축돼 있다.
젊은 날의 감흥이 사라진 때문인지 늘그막엔 꽃과 새를 보고도 별 고심 없이 되는대로 시를 지었다. 자조인 듯 자기 연민의 독백인 듯도 한 이 탄식은 어디서 비롯되었을까.
초야에 묻혀 울적한 나날을 보내던 두보, 낚시와 뱃놀이가 즐거운 소일거리였을 리 만무하다. 하물며 마주한 강물이 바다처럼 드센 기세를 드러내고 있음에랴.
더러 이 대목을 ‘늘그막엔 시가 저절로 이루어져 꽃과 새를 보면 고심하는 법이 없었다로 해석하여 시인의 원숙한 경지를 보여준다고도 하지만 맥락상 부합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