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철 - 중앙일보 기자
news.joins.com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그칠 줄 모르는 권력 추구는 그 끝이 어디인가. 2012년 11월 중국 공산당 총서기로 선출돼 중국의 1인자가 됐지만 8년이 지난 지금에도 시 주석의 권력 강화 행보는 쉼 없이 계속되고 있어 눈길을 끈다. 무얼 더 얻으려는 걸까. 5중전회서 총서기 권한 대폭 강화 시진핑은 2012년 11월 중국 공산당 총서기가 돼 중국의 1인자가 됐지만 8년이 지난 지금도 계속 권력 강화를 꾀하고 있다. [중국 신화망 캡처] 시 주석은 현재 9200만 중국 공산당의 리더인 당 총서기, 14억 중국인을 대표하는 국가주석, 중국 공산당의 무력 기반인 인민해방군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등 당, 정, 군 3권을 모두 장악하고 있다. 시진핑의 끝없는 권력 강화.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명실상부한 중국의 1인자건만 시 주석은 26일부터 29일까지 나흘간 개최되는 제19기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5중전회)를 통해 또 한 번의 권력 강화에 나선다. 당초 5중전회의 주요 의제는 경제 관련이었다. 중국 공산당은 26일부터 29일까지 열리는 제19기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에서 당 총서기 권한을 대폭 강화한 ‘중공중앙위원회 공작조례’를 심의해 통과시킬 예정이다. [중국 신화망 캡처] 1년에 약 한 번 열리는 중앙위원회 전체회의(中全會)는 1중전회의 경우 공산당에 대한 주요 인사, 2중전회는 국가기구 지도부를 확정한다. 3중전회는 경제개혁과 관련한 중대 결정, 4중전회는 당 건설, 5중전회는 경제계획을 심의하는 게 보통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우의는 각별하다. 두 사람 모두 장기 집권을 꾀하고 있다는 점도 비슷하다. [뉴시스] 모두 8장 35조로 된 이 공작조례의 핵심은 총서기의 권한 강화에 있다. 중공 당장은 ‘중앙서기처는 정치국과 상무위원회 판사기구’로 ‘총서기는 정치국 회의와 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를 소집하고, 중앙서기처 업무를 주재한다’고 돼 있다. 리커창 중국 총리는 권력 서열 2위이나 과거 총리처럼 경제 전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또 시진핑 주석에게 매년 업무 보고를 해야 하는 등 상하 관계가 분명해졌다. [중국 신화망 캡처] 이 같은 총서기 위상 강화는 시사하는 바 크다. 총서기의 개념이 바뀌기 때문이다. 중국 공산당은 1921년 7월 창당 시 당원이 50여 명에 불과했다. 수가 많지 않았기에 3명으로 구성된 중앙국(中央局)을 만들고 그 책임자를 서기(書記)라고 불렀다. 중국의 각 당 대회 별 최고 영도자 호칭 변화.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중국 공산당이 최고 지도자를 ‘서기’라고 부른 건 서기가 당시 가장 낮은 관직이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서기는 오늘의 ‘비서’에 해당한다. 낡은 사회와 결별하고 새로운 출발을 한다는 결심이 작용했다. 중국 공산당 창당의 핵심 인물 천두슈는 1921년 1차 당 대회 때 최고 지도자인 ‘서기’에 올랐다. 이후 '위원장'과 '총서기' 등으로 신분을 바꿔가며 중국 공산당 초기 시대를 이끌었다. [중국 바이두 캡처] 또 절대로 백성을 억압하는 관료가 되지 않겠다는 다짐도 있었다. 이후 조직이 커지자 여러 명의 서기를 두게 되고 그 총책임자를 ‘총서기’라고 일컫게 됐다. 그러나 1943년 마오쩌둥(毛澤東)이 정치국 및 서기처 주석이 되며 총서기는 사라진다. 마오쩌둥은 1943년 중국 공산당의 모든 업무에 책임을 지는 정치국의 주석에 오르며 76년 사망할 때까지 무소불위의 권력을 누렸다. [중국 바이두 캡처] 마오쩌둥은 중국 공산당 주석으로서 전권을 행사했고, 그 폐해는 ‘잃어버린 10년’이란 말을 듣는 문화대혁명의 비극을 낳았다. 중국의 2세대 지도자 덩샤오핑(鄧小平)은 ‘괴물 황제’와도 같은 마오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집단지도체제를 꾀했다. 중국의 2세대 리더 덩샤오핑은 마오쩌둥의 1인 집권이 낳은 폐해가 다시는 반복돼선 안 된다는 생각에 5~11인으로 구성된 정치국 상무위원회가 중국을 이끌어가는 집단지도체제를 구성했다. [중국 바이두 캡처] 마오쩌둥 1인 집권의 상처가 너무나 컸기 때문이다. 1982년의 일이다. 이후 총서기는 중국 공산당 1인자긴 하지만 다른 정치국 상무위원과 같은 파워를 가진 것으로 간주됐다. 상무위원 중 첫 번째라는 의미의 ‘동급자 중 첫 번째(first among equals)’ 신분이었다.
|
'新聞colum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병상의 코멘터리]시진핑 '한국전 승리,중국역사 분수령'[출처: 중앙일보] (0) | 2020.10.26 |
---|---|
[노트북을 열며] 35년 동지가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출처: 중앙일보] (0) | 2020.10.26 |
[전영기의 시시각각] 문 대통령이 윤석열에게 준 메시지[출처: 중앙일보] (0) | 2020.10.26 |
[송호근 칼럼] 안정세라니까요![출처: 중앙일보] (0) | 2020.10.26 |
[조용헌 살롱] [1268] 장흥 高씨 (0) | 2020.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