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은 타인과 조직에 해를 줄 수 있고 들통났을 땐 관계와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렇게 나쁘지만 흔한 게 거짓말이기도 한데 하루에 한 사람이 2회 정도의 거짓말을 한다는 통계도 있다. 평균은 그렇지만 대부분은 정직한 소통을 위해 애쓰고 20% 정도 사람이 80% 거짓말을 생산한다고 한다. 상습적으로 거짓말을 하는 사람 중엔 병적으로 거짓말의 쾌감을 즐기는 경우가 있다. 거짓말을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고 남을 속이는 것을 재미있게 생각한다. 그래서 자기의 거짓말이 먹힌 것에 우쭐해져 주변에 자랑하기도 한다. 근처에 있으면 좋지 않은 유형의 사람이다. 거짓말은 나쁜 것이긴 하지만 간단한 인지 과정은 아니다. 실제로 거짓말 잘하는 사람의 경우 지능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자기를 속이는 능력도 뛰어나야 한다. 사람이 거짓말할 때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스스로를 속이는 것으로 되어 있다. 타인을 설득하는 것보다는 나를 설득하는 것이 쉽기 때문이라는 설명인데 나를 속이고 나면 그다음에 타인에 대한 설득은 내 머릿속에서는 거짓이 아닌 셈이다. 일시적 망상 상태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쾌감보다는 감정적인 불안감에 거짓말하는 경우가 더 많다. 예를 들어 직장 상사의 마음을 불편하게 하면 불이익이 있지 않을까 하는 걱정에 거짓 보고를 하는 경우다. 조직이 진실을 말하기 어려운 분위기라면 구성원들의 거짓말 횟수가 늘어나기 쉬운 셈이다. 투명성이 증가하기 위해선 경직된 소통 구조의 변화가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하얀 거짓말이라는 경우도 있다. ‘내 손녀 예쁘지’란 친구의 질문에 내 눈엔 아니더라도 너무 예쁘다고 맞장구치는 것은 선의의 하얀 거짓말이라 할 수 있다. 모든 것에 경직된 진실만 이야기하는 것도 과도한 이기적 행동일 수 있다. 그렇지만 나는 상대방을 위해 선의의 거짓말을 한 경우도 실제로 상대방이 진실을 알게 되었을 때는 분노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내 거짓말로 상대방이 경제적 이득을 얻는 형태의 실험에서도 거짓말은 선택권과 자율성을 임의로 훼손한 것이기에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었다는 것이다. 상대방의 미래를 걱정해 오늘의 위험을 과장해서 이야기하는 것이 훗날 부정적인 감정을 줄 수 있는 이유다. 거짓말이 잘 통했다고 보통 생각하지만 상대방이 이야기를 안 할 뿐 알아차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한다. 상대방을 위한 하얀 거짓말이 필요하다고 고민 될 때 상대방이 거짓임을 알아도 100% 고맙게 여길 것이라고 판단이 서지 않으면 하지 않는 것이 권유된다. |
'新聞colum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건희 별세] 해도해도 안되는 게 있다, 그도 못이룬 두가지[출처: 중앙일보] (0) | 2020.10.27 |
---|---|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597] 긴팔원숭이는 원숭이가 아니다 (0) | 2020.10.27 |
[윤희영의 News English] “중국이 미국에 대들기 시작한 첫 계기는 6·25” (0) | 2020.10.27 |
[기자의 시각] ‘메인 요리’ 숨긴 정부 (0) | 2020.10.27 |
깨알같은 탁구감독 노트에 반한 이건희 “삼성 스포츠단장 하시오” (0) | 2020.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