推 測
*밀 추(手-11, 5급)
*잴 측(水-12, 5급)
‘I should suppose him to be fifty.’는 ‘내 ○○으로는 그는 50세 가량이다’란 뜻이다. 공란에 적절한 말은? ①假定 ②推側 ③假說 ④推測. ‘推測’에 대해 미루어 살펴보자.
推자는 ‘손 수’(扌=手)가 의미요소이고, 隹(새 추)는 발음요소다. ‘밀어내다’(push out)가 본뜻인데, 후에 ‘밀어주다’(recommend) ‘받들다’(uphold) ‘짐작하다’(suppose) 등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測자를 ‘水+貝+刀’의 구조로 보기 쉽다. 실은 ‘(물의 깊이를) 재다’(sound)는 뜻이었으니, ‘물 수’(水)가 의미요소로 쓰였고, 則(본받을 측)이 발음요소임은 側(곁 측)도 마찬가지다. ‘재다’(measure) ‘헤아리다’(calculate) 등으로도 쓰인다.
推測은 ‘미루어 생각하여 헤아림’을 이른다. 모든 일에는 선후가 있기 마련이다.
‘생각이 앞서고 행동이 뒤따르는 자는 창성하고, 행동이 앞서고 생각이 뒤따르는 자는 망한다.’ (先謀後事者昌 선모후사자창, 先事後謀者亡 선사후모자망 - 중국 속담).
'전광진의漢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70]探險(탐험) (0) | 2020.12.03 |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69] 援護(원호) (0) | 2020.12.03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67]持續(지속) (0) | 2020.12.03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66] 招來(초래) (0) | 2020.12.03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64]抗拒(항거) (0) | 2020.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