周易

[스크랩] 第八章

bindol 2018. 7. 15. 04:36

第八章

聖人 有以見天下之賾而擬諸其形容 象其物宜 是故謂之象

聖人 有以見天下之動而觀其會通

以行其典禮繫辭焉 以斷其吉凶 是故謂之爻

言天下之至賾而不可惡也 言天下之至動而不可亂也

擬之而後言 議之而後動 擬議 以成其變化


 

(風澤中孚 : 九二爻)

鳴鶴在陰 其子和之

我有好爵 吾與爾靡之

子曰

君子居其室 出其言 善則千里之外應之

況其邇者乎

居其室 出其言 不善則千里之外違之 況其邇者乎

言出乎身 加乎民

行發乎邇 見乎遠

言行 君子之樞機 樞機之發 榮辱之主也

言行 君子之所以動天地也 可不愼乎

 

 

(天下同人 : 九五爻)


同人 先號咷而後笑

子曰

君子之道 或出或處或黙或語

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之言 其臭如蘭

 

 

(澤風大過)


初六藉用白茅 无咎

子曰

苟錯諸地而可矣 藉之用茅 何咎之有

愼之至也 夫茅之爲物 薄而用 可重也

愼斯術也 以往 其无所失矣


     

(地山謙 : 九三爻)


勞謙 君子有終

子曰

勞而不伐 有功而不德 厚之至也 語以其功下人者也

德言盛 禮言恭 謙也者 致恭 以存其位者也


     

(重天乾 : 上九爻)

亢龍 有悔

子曰

貴而无位 高而无民 賢人 在下位而无輔

是以動而有悔也

 

 

(水澤節 : 初九爻)


不出水澤節戶庭 无咎

子曰

亂之所生也則言語以爲階

君不密則失臣 臣不密則失身 幾事不密則害成

是以君子愼密而不出也

 

 

(雷水解 : 六三爻)

子曰

作易者-其知盜乎

易曰 負且乘 致寇至

負也者 小人之事也 乘也者 君子之器也

小人而乘君子之器 盜思奪之矣

上慢下暴 盜思伐之矣

慢藏誨盜 冶容誨淫

易曰 負且乘致寇至 盜之招也

----------------------------------------------------------------------------------------

8장은 계사전 전체의 본론에 해당하며 역학의 체계를 설명하고 있다.
괘상과 괘사 효사는 하늘의 뜻을 자각한 성인의 기록이고, 그것을 실천하면 군자이고 실천하지 않으면 소인임을 밝히고 있다. 

  

繫辭上傳 8

聖人有以見天下之賾하야 而擬諸其形容하며 象其物宜是故謂之象이오  
성인이 천하의 그윽하고 지극한 이치를 보고서 그 형용(형체와 모양)을 (모두) 헤아려, 그 물건에 마땅함을 형상하였다. 이런 까닭에 그것을 일러 상(유형의 상, 64괘)이라 하였고,


聖人이 有以見天下之動하야 而觀其會通하야 以行其典禮하며 繫辭言하야 以斷其吉凶이라 是故謂之爻니
성인이 천하의 동함을 봄에 있어서, 그 모이고(또는 막히고) 통함을 관찰하고(자각하여) 그 전례(법도와 예)를 행하며, 말을 달아 이로써 그 길흉을 판단하였다. 이런 까닭으로 그를 일러 효(384효)라고 하니, (以明吉凶)


성인이 64계와 384효를 기록하였고, 천하의 움직임을 보고 禮와 문물제도로 삼았으며 繫辭言하여 吉凶을 밝혔다는 것이다.


言天下之至賾호대 而不可惡也며 言天下之至動호대 而不可亂也니
천하의 지극히 심오한 것을 말했기 때문에 가히 싫어할 수 없으며, 천하의 지극히 동함을 말했으니 가히 어지럽힐 수 없으니,


擬之而後言하고 議之而後動이니 擬議하야 以成其變化하니라
(성인이 기록한 하늘의 뜻을) 모의한(헤아린) 이 후에 말하고, 의논한 이 후에 동하니, 헤아리고 의논하여(성인이 기록한 것을 행하여) 그 변화를 이룬다.


성인의 말씀을 헤아리고 의논하여 변화를 이루는 자는 군자이고, 자기 생각으로 변화를 이루는 자는 소인이다.


1 중부괘
鳴鶴이 在陰이어늘 其子和之로다 我有好爵하야 吾與爾靡之라하니

子曰 君子居其室하야 出其言 善이면 則千里之外 應之하나니 況其邇者乎아 居其室하야 出其言 不善이면 則千里之外 違之하나니 況其邇者乎아 言出乎身하야 加乎民하며 行發乎邇하야 見乎遠하나니 言行은 君子之樞機니 樞機之發이 榮辱之主也라 言行은 君子之所以動天地也니 可不愼乎아
우는 학이 그늘에 있거늘 그 새끼가 화답하도다. 내게 좋은 벼슬(중도에 대한 믿음)이 있어 내가 너와 더불어 얽힌다(함께 한다), 하니
공자 왈, 군자가 그 집에 거하여 그 말이 나감에 선하면 천리 밖에서도 응하니, 하물며 그 가까운 자여(말할 것도 없다)! 그 집에 거하여 말을 냄에 불선이면 곧 천리 밖에서도 멀리하나니(어기니), 하물며 그 가까운 자여!  말은 몸에서 나와 백성에게 가해지며, 행실은 가까운데서 발하여 멀리까지 나타나니, 언과 행은 군자의 추기(기준)이니, 추기가 발함은 영과 욕의 주(주요한 원인)가 된다. 언과 행은 군자가 이로써 천지를 움직이는 이치니, 가히 삼가지 아니할 수 있겠는가?.


[本義] 釋中孚九二爻辭니라


風澤中孚卦는 어떤 괘인가?

중부는 중도(하늘의 도)에 대한 믿음을 말한다. (중용의 중과 그 의미가 다름)
이 孚의 믿음은 誠, 敬, 信 의 3가지를 알을 품는 마음으로 해야 함이 내포되어 있다.


복희의 괘를 보고 문왕은 다음과 같이 풀이함
中孚 豚魚 吉 利涉大川 利貞
중부는 돼지와 물고기이니(미련한 돼지나 물고기까지 믿는 믿음) 길하고,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롭다(중부의 믿음이면 큰 내를 건너도 문제없다. 즉 어떤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다.). 마음이 곧으면 이로울 것이다.


공자의 仁은 매우 조건적이라고 본다면 주역도 利貞이라는 말이 많이 나오는데, 이 해석이 구구하지만 바르면 이라는 조건으로 많이 주석하고 있다. 그러나 그 믿음에는 종교의 믿음처럼 절대성에 매우 가깝다. 미물인 돼지나 고기까지 믿을 수 있는 믿음이라면 무조건적이 아닐까. 


문왕의 괘사를 보고 공자는 다음과 같이 풀이함
彖曰 中孚 柔在內而剛得中 說而巽孚 乃化邦也
단 왈, 중부는 유가 안에 있고 강이 중을 얻으니, 기뻐하고 겸손함이 孚이다.
이에(마침내) 나라를 감화시킨다.
豚魚吉 信及豚魚也, 利涉大川 乘木 舟虛也, 中孚以利貞 乃應乎川也
豚魚吉은 믿음이 돼지나 물고기에 까지도 미치기 때문이다.
利涉大川은 성인의 말씀으로 만든 배를 타고 나를 비우는 것이다.
중도의 믿음으로 바르게 하면 이롭다는 것은 곧 하늘에 응하는 것이다.


------------------------------------------------------------------------------------

 

2. 同人卦 

同人先號咷而後笑라하니 子曰 君子之道 或出或處或黙或語二人同心하니 其利 斷金이로다 同心之言其臭 如蘭이로다

동인이 먼저는 부르짖어 울다가 뒤에는 웃는다(동인을 하는 것이 처음에는 힘들지만 나중에는 웃게 된다). 하니
공자 왈, 군자의 도는 혹 나가기도 하고 혹 처하기도 하고 혹 침묵하고 혹 말하기도 하나, 두 사람의 마음이 같으니 그 날카로움이 쇠를 끊도다.
같은 마음의 말은 그 향기가 난초와 같다

.

[本義] 釋同人九五爻義니라 言君子之道 初若不同이나 而後實无間이니라 斷金如蘭은 言物莫能間而其言有味也니라
군자의 도가 처음에는 같지 않은 것 같으나 뒤에는 실로 간격이 없음을 말한 것이다. 금을 절단함과 난초와 같다는 것은 다른 물건이 능히 끼지 못하여 그 말이 맛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天火同人卦는 어떤 卦인가?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모여 힘을 합쳐서 일을 하는데 대한 도를 말하고 있다. 성인의 말(하늘의 뜻)을 헤아리고 의논하여 사람들과 함께 하라는 것이다.



복희씨의 괘를 보고 문왕은 다음과 같이 풀이함(괘사).
同人于野니 亨하고 利涉大川하니 利君子貞하니라
들에서 사람을 같이 하니(숨기지 말고 넓은 곳에서 하늘의 뜻을 함께하니) 형통하고, 대천을 건너는 것이 이로우니(어떤 어려움도 다 해 낼 수 있으니), 군자는 바르게 함(그것을 실천을 해야)이 이롭다.


문왕이 기록한 괘사를 공자가 보고 아래와 같이 풀이함
彖曰 同人은 柔得位하야 得中而應乎乾할새 曰 同人이라
同人曰 同人于野亨利涉大川은 乾行也오 文明以健하고 中正而應이 君子正也니
唯君子아 爲能通天下之志하나니라
단왈, 동인은 柔가 位를 얻고 中을 얻어서 건(하늘)에 응하니 동인이라 한다.
同人于野亨利涉大川라고 말한 것은 힘차게 행함이요(하늘의 운행이요), 문명하여 굳세고 중정하여 응함이 군자의 바름이니,
오직 군자만이 천하의 뜻을 통할 수 있다.


62는 位를 얻고(正位) 또 得中이니 즉 中正이 되니 應乎乾 하늘이 응한다는 것이다.
中正은 중도(하늘의 뜻)을 정도(사람이 해야 할 도)로 실천한다는 의미이다.(中正之道)

주역의 핵심 요지가 中正之道이다.
사람들이 모여 일을 함께 할 때 하늘의 뜻(성인의 말)과 함께하면 만사가 형통하고 어떤 어려움도 다 해낼 수 있으며 爲能通天下之志 한다는 것이다.


 -------------------------------------------------------------

 

 3. 大過卦 

初六은 藉用白茅니 无咎라하니
子曰 苟錯諸地라도 而可矣어늘 藉之用茅하니 何咎之有리오 愼之至也라 夫茅之爲物이 薄而用은 可重也니 愼斯術也하야 以往이면 其无所失矣리라

초육은 자리를 까는데 흰 띠 풀을 쓰니 허물이 없다, 하니
공자 왈, 진실로 저 땅에 두더라도 가한데 까는데 띠를 쓰니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 삼가 함이 지극한 것이다. 무릇 띠 풀의 물건 됨이 하찮은 것이나 쓰임은 가히 중하니, 이 같은 방법으로 삼감으로써 나아가면 그 잃을 바가 없을 것이다. 


택풍대과괘 초육의 효사로 군자의 겸손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대과괘의 호괘는 건괘가 된다. 초육은 건도를 모시기 위해 자리로 이용되는 모양이다. 하늘의 뜻에 삼가고 겸손하면 잃을 바가 없다는 것이다.


[本義] 釋大過初六爻義니라


澤風大過卦는 어떤 卦인가?

대과는 욕심이 과중하여 크게 지나쳐서 중정지도에 벗어난 것을 말한다. 그리고 큰 과실로 인한 대들보가 내려앉는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해법에 대해서 말한다.


1. 위아래는 약하고(본과 말이 약해서) 가운데는 무거워서 견디지를 못하여 대들보가 내려앉는 모양이다.

2. 본과 말이 약해 뒤집어지는 때이므로 천명과 성인에 대한 진실한 믿음으로 대과에서 벗어나야 함을 말한다.

3. 손 목 위에 연못이 있어 연못 물 속에 나무가 잠겨서 죽는 현상. 물은 나무를 위해 꼭 필요한 것이나 아무리 필요한 것이라도 너무 많으면 그것으로 망하게 되는 것이다.

4. 잡괘전에는 大過 顚也 본말이 전도되는 상이라고 표상하고 있다.


용마루가 무너지고 연못 속에는 나무가 말라죽는 어려움을 헤쳐 나가기 위해서는 하늘의 뜻에 겸손하고 성인지도를 기쁨 마음으로 실천하면 마침내 형통해지고 하늘이 도와서 이롭지 않음이 없다. 성인지도에 순종하고 기쁨마음으로 행하는 것이 대과괘의 어려움을 헤쳐 나갈 수 있는 방법이다.


괘상을 보고 문왕이 풀이한 글
大過는 棟이 橈이나 利有攸往이라야 亨하니라
대과는 용마루가 꺾임이나 나아갈 바가 있어(있는, 의지할 바가 있는) 이로움이라야 형통하니라.

즉 성인의 말씀을 헤아리고 의지하면 형통하다는 의미


공자가 문왕이 괘상을 풀이한 글을 주해한 것
彖曰 大過는 大者 過也니 棟橈는 本末이 弱也이니라.
단 왈, 대과는 큰 것이 지나친 것이니, 대들보가 휘는 것은 근본과 말단이 약하기 때문이다.

剛過而中하고 巽而說行이라 利有攸往하야 乃亨하니 大過之時 大矣哉라
강이 지나치나(하늘은 지나칠 수 있음을 의미), 중도에 임하고 겸손하고 기쁜 마음으로 행함이라 갈 바가 있는 것이(하늘이 뜻에 의지하는 것) 이롭다 하야 이에 형통하니 대과의 時宜는 크기도 하다.


논어 자로와 공자의 곤궁할 때의 대화 : 군자는 궁하고 소인은 넘친다. 또는 맹자 진심장에서 이는 하늘이 크게 쓰고자 하는 자는 어려운 시련으로 단련시키고자 함이다(剛過).
대개 큰 어려움이 닥치면 하늘을 원망하는데 이러한 때에 중도에 임하여 겸손하고 기쁨마음으로 행한다면 모든 어려움을 이길 수 있다는 의미


공자가 대과괘의 상을 풀이한 글
象曰 澤滅木이 大過ㅣ니
君子ㅣ 以하야 獨立不懼하며 遯世无悶하나니라
상 왈, 못이 나무를 멸하는 것이 대과이니(풍은 나무이고 택은 못),
군자는 이로써(자각을 해서) 홀로 서 있어도 두려워하지 아니하고 세상을 피해서 숨어 살아도 근심하지 아니한다.


논어 : 德不孤 必有鄰
계사상편 12장 : 易曰 自天祐之 吉无不利


주공이 육효를 풀이한 글
初九 藉用白茅 无咎
象曰 藉用白茅 柔在下也
부드러운 것이 아래에 있음이라.
건도에 순종하고 겸손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九二 枯楊生稊 老夫得其女妻 无不利
象曰 老夫女妻 過以相與也
노부여처는 과하게 서로 더불어 사는 것이다.(서로 같이 사는 것이 보통보다 지나치다.)


九三 棟橈 凶
象曰 棟橈之凶 不可以有輔也
기둥이 흔들리는 흉은 돕는 이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九四 棟隆吉 有它吝
象曰 棟隆之吉 不橈乎下也
구(양)가 음자리에 있어 높이 솟아(마땅함) 길인데, (또) 딴 마음을 가지면 인색하다.
기둥이 높이 솟으면 길한 것은 아래로 휘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九五 枯楊生華 老婦得其士夫 无咎 无譽
象曰 枯楊生華 何可久也 老婦士夫 亦可醜也
마른 버드나무에 꽃이 피었으니, 어찌 오래 갈 수 있으며 늙은 부인이 젊은 남편을 얻었으니 또한 추하게 여길 만하다.


上六 過涉滅頂凶 无咎
象曰 過涉之凶 不可咎也
지나치게 건너 흉함은 탓할 데가 없는 것이다(모두가 자기 탓이다).

 

---------------------------------------------------------------------------------------

 

4. 謙卦 
勞謙이니 君子有終이니 吉이라하니
子曰 勞而不伐하며 有功而不德이 厚之至也니 語以其功下人者也라 德言盛이오 禮言恭이니 謙也者는 致恭하야 以存其位者也라

수고로운 겸손이니(공로가 있으면서도 겸손하니) 군자가 마침이 있으니 길하다, 하니
공자 왈, 수고하고도 자랑하지 않으며, 공이 있어도 덕으로 여기지 않음은 후덕함이 지극한 것이니, 그 공으로써 남에게 낮춤을 말한 것이다(그 공을 다른 사람의 아래에 둔다). 덕으로 말하면 성대하고, 예로 말하면 공손이니, 겸손은 공손함을 이루어 그 자리를 보존하는 것이다.


보통 경전에서 言은 혼자가 한 이야기, 語는 많은 사람이 한 이야기임


[本義] 釋謙九三爻義니라 德言盛禮言恭은 言德欲其盛이오 禮欲其恭也니라

謙卦 九三爻의 뜻을 해석한 것이다.

으로 말하면 盛大하고, 로 말하면 恭遜하다는 것은 하고자 하고 恭遜하고자 함을 말한 것이다.


地山謙卦는 어떤 卦인가?

 땅 속에 산이 있어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괘.

 겸손은 자기에게 도덕과 재능,
 큰 공적이 있어도 이를 드러내지 않는 것이다.



복희의 괘를 보고 문왕이 풀이하여 기록한 것
謙은 亨하니 君子有終이리라
겸은 형통하니, 군자는 마침이 있다.


공자가 문왕의 풀이를 주석한 것
彖曰 謙亨은 天道下濟而光明하고 地道卑而上行이라
天道 虧盈而益謙하고
地道 變盈而流謙하고
鬼神 害盈而福謙하고
人道 惡盈而好謙하나니
謙은 尊而光하고 卑而不可踰니 君子之終也라
단왈, 겸이 형통하다는 것은 하늘의 도가 아래로 흘러(교제하여) 광명하고, 땅의 도가 낮은데서 위로 행(교제)함이다.
천도는 가득 찬 것은 이지러지게 하고 겸손에는 더해 주며,
지도는 가득 찬 것은 변하게 하여 겸손한 곳에 흐르게 하고,
귀신은 가득 찬 것을 해치고 겸손에는 복을 주고,
인도는 가득 찬 것을 싫어하고 겸손을 좋아하나니,
겸은 높고 빛나며(높은 이는 빛나고, 또는 상대방을 높이면 내가 빛나고) 낮아도(낮은 이도) 가히 넘을 수 없으니, 군자의 마침이다(이것이 군자의 有終의 美이다).


공자가 복희의 괘상을 보고 풀이한 것
象曰 地中有山이 謙이니 君子 以하야 裒多益寡하야 稱物平施하나니라
상 왈, 땅 속에 산이 있음이 겸이니, 군자는 이를 법 받아 많은 것은 덜어서 적은 것에 보태어 사물을 저울질하여 고르게 베푼다.


地山謙卦는 다스리는 자(治者)의 겸손이라면, 重風巽卦의 겸손은 申命行事로 명을 펴서 일을 행하다. 즉 하늘에 대한 겸손이다.


주공이 六爻를 풀이한 것
初六은 謙謙君子니 用涉大川이 吉하니라
초육은 겸손하고 또 겸손한 군자이니, 대천을 건너도 길하다.
象曰 謙謙君子는 卑以自牧也라
상 왈, 겸겸군자는 낮춤으로써 스스로 다스린다.


六二는 鳴謙이니 貞코 吉하니라
육이는 소문난 겸손이니 바르고 길하다.
象曰 鳴謙貞吉은 中心得也라
상 왈, 명겸정길은 중심에 얻음이다(마음에 저절로 나온 것, 억지로 힘써 한 것이 아님).


九三은 勞謙이니 君子有終이니 吉하니라
구삼은 공로가 있어도 겸손함이니 군자가 마침을 둘 수 있어 길하다.
象曰 勞謙君子는 萬民服也라
상 왈, 노겸군자는 만백성이 복종한다.


六四는 无不利撝謙이니라
육사는 겸손을 행하(언행이 겸손하니)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象曰 无不利撝謙은 不違則也라
상 왈, 무불리휘겸은 법칙을 어기지 않기 때문이다.


六五는 不富以其鄰이니 利用侵伐이오 无不利하니라
육오는 부유하지 않아도 그 이웃을 얻으니, 침벌하여 이롭고(겸손이 통하지 않는 자는 정벌을 할 수 있음을 뜻함), 이롭지 않음이 없다.
象曰 利用侵伐은 征不服也라
상 왈, 이용침벌은 불복한 자를 정벌하는 것이다.


上六은 鳴謙이니 利用行師나 征邑國이니라
상육은 소문난 겸손함이니 군사를 움직이는 것이 이로우나 읍국을 정벌한다.
象曰 鳴謙은 志未得也니 可用行師나 征邑國也라
상 왈, 명겸은 뜻이 아직 얻지 못함이니, 군사를 움직여 읍국을 정벌할 수 있다.

----------------------------------------------------------------------------------

 

5. 乾卦 
亢龍이니 有悔라하니
子曰 貴而无位하며 高而无民하며 賢人이 在下位而无輔라 是以動而有悔也니라

높이 올라간 용이니 후회가 있다, 하니
공자 왈, 귀하나 지위가 없고, 높으나 백성이 없으며, 현인이 하위에 있어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로써 동함에 후회가 있는 것이다.


항룡은 교만함의 극치에 이른 사람이라 자기 생각대로 행하며 자문을 구하려 하지 않는다.
언행이 지나쳐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음을 말하고 있다 소인지도의 대표적인 예가된다.


[本義] 釋乾上九爻義니라 當屬文言이니 此蓋重出이니라


重天乾卦는 어떤 卦인가?

 1 음효는 하나도 섞이지 않는(사심이 없는) 양효로 구성된 괘이다.

   양은 강건하며 적극적이다.
 2 건괘에서 천도 성인의 도를 설명하는데 용을 인용함


괘상을 보고 문왕이 풀이한 것
乾은 元코 亨코 利코 貞하니라
건은 원하고 형하고 리하고 정하니라(건의 도를 따르면 크게 형통하고 바르면 이롭다).


육효를 주공이 풀이함
初九는 潛龍이니 勿用이니라
초구는 잠긴 용이니 쓰지 말지니라.


九二는 見龍在田이니 利見大人이니라

구이는 나타난 용이 밭에 있으니 대인을 봄이 이로우니라.


九三은 君子終日乾乾하야 夕惕若하면 厲하나 无咎하니라
구삼은 군자가 종일토록 굳세고 굳세어 저녁에 두려워하면 위태로우나 허물이 없으리라.


九四는 或躍在淵하면 无咎리라
구사는 혹 뛰어 못에 있으면 허물이 없으리라.


九五는 飛龍在天이니 利見大人이니라
구오는 나는 용이 하늘에 있으니 대인을 봄이 이로우리다.


上九는 亢龍이니 有悔리라
상구는 높이 올라간 용이니 후회함이 있으리라.

 

-------------------------------------------------------------------------------------

 

 6. 節卦

不出戶庭이면 无咎라하니
子曰 亂之所生也 則言語 以爲階니
君不密則失臣하며
臣不密則失身하며
幾事不密則害成하나니
是以君子 愼密而不出也하나니라
 

문밖을(뜰에) 나가지 않으면 허물이 없다, 하니
공자 왈, 어지러움이 일어나는 바는 언어가 실마리가 되는 것이니,
인군이 주밀하지 못하면 신하를 잃으며,
신하가 주밀하지 못하면 몸을 잃으며,
기밀한 일이 주밀하지 못하면 해를 이루나니,
이로써 군자는 삼가고 주밀하여 나가지 않는 것이다. 

節制(삼가고 주밀함)에 자신이 없으면 나가지 않은 것이 좋으며, 나간다는 것은 남과 어울리는 것이니, 이때 말과 행실에 삼가고 주밀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 幾微(주역에서 강조한 부분)에 대해서도 언급을 했다. 神則先機而知, 聖則見機而作, 愚則失機違時

공자는 또 나가지 않아도 (반드시) 통함과 막힘을 알아야 한다.’고 했으며, 통하면 나가고 막히면 멈춰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면 尾生之信의 꼴이 되니 그러므로 군자는 貞固함을 지키되 작은 에는 집착하지 않는다.


[本義] 釋節初九爻義니라 


水澤節卦는 어떤 卦인가.

 爲卦澤上有水 澤之容有限 故爲節
 節制는 適中을 귀하게 여기니 지나치면 바르게 되지 않는다.



주공이 六爻를 풀이하여 기록한 爻辭
初九는 不出戶庭이면 无咎리라
초구는 문밖에(뜰에) 나가지 않으면(나가지 아니하니) 허물이 없다. (潛龍勿用의 자리)
象曰 不出戶庭이나 知通塞也니라
상왈 불출호정이나 통하고 막힘은 알아야 한다. (尾生之信이 되어서는 안 된다.)


九二는 不出門庭이라 凶하니라
구이는 문정을(집밖에) 나가지 않으니 흉하다.(見龍在田 利見大人의 자리)
象曰 不出門庭凶은 失時 極也일새라
상왈 불출문정흉은 때를 잃음이 극하기 때문이다.


六三은 不節若이면 則嗟若하리니 无咎니라
육삼은 절제하지 않으면(못하여) 탄식할 것이니, 허물할 데가 없다.
象曰 不節之嗟를 又誰咎也리오
상왈 절제하지 못한 한탄을 또 누구를 허물하겠는가.(君子終日乾乾의 자리)


六四는 安節이니 亨하니라
육사는 절제에 편안함이니 형통하다. (或躍在淵의 자리)
象曰 安節之亨은 承上道也라
상왈 안절지형은 위의 도를 받들기 때문이다.


九五는 甘節이라 吉하니 往하면 有尙하리라
구오는 감미로운 절제이다. 길하니 가면 숭상함이 있다. (飛龍在天의 자리)
象曰 甘節之吉은 居位中也일새라
상왈 감절지길은 처한 자리가 중이기 때문이다.


上六은 苦節이니 貞이면 凶하고 悔면 亡하리라
상육은 괴로운 절제이니, 고집하면 흉하고 뉘우치면 없어질 것이다.
象曰 苦節貞凶은 其道窮也일새라
상왈 고절정흉은 그 도가 궁하기 때문이다. (亢龍의 자리) 


----------------------------------------------------------------------------------------- 

 

 7. 解卦

子曰 作易者 其知盜乎인저

易曰 負且乘이라 致寇至라하니

負也者小人之事也

乘也者君子之器也小人而乘君子之器

盜 思奪之矣

盜 思伐之矣慢藏誨盜冶容誨淫이니

易曰 負且乘致寇至라하니 盜之招也

) -->공자 왈, 역을 지은 자는 그 도적을 아는 자일 것이다.

역 왈, 져야 할 것이 도리어 타고 있는지라 도적이 옴을 이룬다 하니,

지는 것은 소인의 일이요,

타는 것은 군자의 기물이니, 소인이 군자의 기물을 타고 있다.

도적이 빼앗을 것을 생각하니, 위에게 거만하고 아래에게 포악하고,

도적이 칠 것을 생각하니, 보관을 허술히 함이 도적을 가르치며, 모양을 치장함이 간음을 가르치는 것이다.

역왈, 질 것이 도리어 타고 있는지라 도적이 옴을 이룬다, 하니 도적을 불러들이는 것이다.

자신의 잘못으로 를 부르는 自業自得을 말한 것이다.

 

[本義] 釋解六三爻義니라

 

) -->

雷水解卦는 어떤 인가?

水는 진리, 뇌는 움직임, 진리로 움직이어야 모든 것이 풀린다.​

진리로 소인의 도를 제거함으로써 맺힌 모던 것이 풀리는 것으로 해결, 해원, 해동 해산, 해방 등의 의미가 있다.


 ) -->문왕이 풀이한 뇌수해괘의 괘사

利西南하니 无所往이라 其來復하니 有攸往이어든 하면 하리라

해는 서남이 이로우니(모든 것이 풀린 곳이니) 갈 필요가 없다. 그 되돌아옴이 길하니, 갈 바가 있거든 빨리 해야 길하다.

) --> 

, (), , ()는 음(획이 짝수)으로 서남인데, 는 진리 는 기쁨으로 서남은 진리로써 기뻐하는 곳이므로 갈 필요가 없다는 의미, 그렇다고 자만이나 방심하지 말고 갈 바가 생기면 빨리 가야한다는 것이다.

) --> 

공자가 문왕의 괘사를 보고 주석한 것

彖曰 解險而動이니 動而免乎險

解利西南往得重也

其來復吉乃得中也

有攸往夙吉往有功也

天地解而雷雨作하고 雷雨作而百果草木皆甲拆하나니

解之時 大矣哉

단 왈, 해는 하고 하니, 동하여 험함에서 면함이 해이다.

해리동남은 가서 무리를 얻음이요,

기래복길은 이애 중을 얻음이요,

유유왕숙길은 가서 공이 있음이다. (성인의 도를 실천하여 해결하는 공)

천지가 풀림에 우뢰와 비가 일어나고, 우뢰와 비가 일어남에 백과초목이 모두 갑탁(껍질이 터져서 싹이 남)하나니,

해의 때가 크도다.

) --> 

공자가 뇌수해괘의 괘상을 보고 풀이한 것

象曰 雷雨作君子 以하야 赦過宥罪하나니라

상 왈, 우뢰와 비가 일어나는 것이 해니, 군자는 이를 법 받아 잘못을 용서하고 죄를 경감해 준다.

   <!--[endif]--> 

주공이 雷水解卦六爻를 풀이한 爻辭

初六无咎하니라

초육은 허물이 없다.

象曰 剛柔之際義无咎也니라

상왈, 강과 유가 만나니 의리에 허물이 없다.

) --> 

九二田獲三狐하야 得黃矢하야 토다

구이는 사냥에 세 마리 여유를 잡아서 누런 화살을 얻으니, 정해야 길하다.

象曰 九二貞吉得中道也일새라

상왈, 구이정길은 중도를 얻었기 때문이다.

) --> 

六三負且乘이라 致寇至이라도 하리라

육삼은 짐을 져야하나 타고 있다. 도적이 오게 되니 정해도 부끄러운 일이다.

象曰 負且乘亦可醜也自我致戎이어니 又誰咎也리오

상왈, 부차승은 또한 가히 추한 것이며 나로부터 도적이 이르니 또 누구를 허물하겠는가.

) --> 

九四解而拇朋至하야 斯孚리라

구사,는 너의 엄지발까락(소인)을 풀어버리면(멀리하면) 벗이 이르러 이에 믿을 것이다.

象曰 解而拇未當位也일새라

상왈, 해이무는 위가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 --> 

六五君子 維有解하니 有孚于小人이리라

육오는 군자가 오직 풀어버림이 있으면(소인을 멀리 하면) 길하니 소인에게 징험함이 있을 것이다.

象曰 君子有解小人退也

상왈, 군자유해는 소인이 물러나는 것이다.

) --> 

上六公用射隼于高墉之上하야 獲之无不利로다

상육은 공이 높은 담 위에서 새매를 쏘아 잡으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象曰 公用射隼以解悖也

상왈, 공용석준은 패란을 풀려는 것이다.


第八章이라

[출처] 계사전상 8장|작성자 주양일


출처 : 석양길 나그네
글쓴이 : bindol 원글보기
메모 :

'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河圖 洛書와 팔괘  (0) 2018.07.25
[스크랩] 계사상전 1-7장  (0) 2018.07.15
[스크랩] 계사상전 第九章~第十二章  (0) 2018.07.15
[스크랩] 계사전 하 1-2장  (0) 2018.07.15
[스크랩] 계사전 하 3-5장  (0) 2018.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