繫 辭 下 傳
第一章 八卦成列 象在其中矣 因而重之 爻在其中矣 剛柔相推 變在其中矣 繫辭焉而命之 動在其中矣 吉凶悔吝者 生乎動者也 剛柔者 立本者也 變通者 趣時者也 吉凶者 貞勝者也 天地之道 貞觀者也 日月之道 貞明者也 天下之動 貞夫一者也 夫乾確然 示人易矣 夫坤隤然 示人簡矣 爻也者 效此者也 象也者 像此者也 爻象動乎內 吉凶見乎外 功業見乎變 聖人之情見乎辭 天地之大德曰生 聖人之大寶曰位 何以守位曰仁 何以聚人曰財 理財 正辭 禁民爲非曰義
계사상편은 무형의 하늘의 도를 自覺한 성인이 유형의 卦象(괘효)으로 표상하여 성인지도를 드려낸 것이라면, 계사하편은 괘효로 드려낸 성인지도를 근원으로 하여 군자가 군자지도를 실천하는 괘효 역학이다.
八卦成列하니 象在其中矣오 因而重之하니 爻在其中矣오 팔괘가 열을 이루니 상(64괘)이 그 가운데 있고, (팔괘로) 인하여 거듭하니 효(384효)가 그 가운데 있고,
太極에서 陰陽으로 陰陽에서 四象으로 四象에서 八卦로 펼쳐져 있다. 그리고 이 八卦에서 象(乾, 兌, 離, 震, 巽, 坎, 艮,坤)이 나타난다.
[本義] 成列은 謂乾一 兌二 離三 震四 巽五 坎六 艮七 坤八之類니라 象은 謂卦之形體也니라 因而重之는 謂各因一卦而以八卦次第加之하야 爲六十四也니라 爻는 六爻也니 旣重而後에 卦有六爻也니라 인하여 거듭하였다는 것은 각기 한 卦로 인하여 八卦의 차례로 더하여 64卦를 만듬을 말하고, 효는 6효이니 이미 거듭하면 한 卦에 6효가 있는 것이다.
剛柔相推하니 變在其中矣오 繫辭焉而命之하니 動在其中矣라 강과 유가 서로 미루니 변함이 그 가운데 있고, 이에 말을 매어서 명하니 동함이 그 가운데 있다.
도가 하늘에 있으면 음양, 땅에 있으면 강유, 사람과 결부되면 인의 강과 유가 서로 옮기는 가운데 그 변화가 있다. 즉 효가 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중천건의 초구가 변하여 지뢰복이 변하는 것을 말한다. 육효 중괘를 통해 강유를 밝히고 괘효를 통해 중도를 근원으로 정도를 행하는 중정지도를 설명. 주역은 바로 중정지도이다.
[本義] 剛柔相推而卦爻之變이 往來交錯하야 无不可見이니라 聖人이 因其如此而皆繫之辭하야 以命其吉凶이니 則占者所値當動之爻象이 亦不出乎此矣리라 성인이 이와 같음으로 인하여 모두 말을 달아서 길흉을 명하니 곧 점치는 자는 만난 바의 마땅히 동해야 할 효상이 다만 이에 벗어나지 않는다.
吉凶悔吝者는 生乎動者也오 길하고 흉하고 후회하고 인색한 것은 움직이는 데서 생기는 것이고,
한 효의 움직임에 따라 길 흉이 결정이 된다.
[本義] 吉凶悔吝은 皆辭之所命也니라 然 必因卦爻之動而後見이니라 그러나 반드시 괘효의 동함으로 인한 뒤에 볼 수 있다.
剛柔者는 立本者也오 變通者는 趣時者也라 강과 유는 근본을 세우는 것이요, 변과 통은 때(시의성)에 따르는 것이다.
시의성은 하늘의 뜻에 비추어서 마땅함을 말한다. 이것은 군자의 행동에 따라 길흉회린이 생기니, 강유(하늘의 도, 성인지도, 천인합일)로서 근본을 세운다는 것이다.
[本義] 一剛一柔가 各有定位하고 自此而彼가 變以從時니라 강과 유는 각각 정한 자리가 있고, 여기로부터 저기로 변하는 것은 때(시의성)에 따른다.
吉凶者는 貞勝者也니 길과 흉은 항상 이기는 것이니,
貞은 正으로 해석, 항상의 의미도 있음. 현재 吉하다고 한다면 吉이 凶을 이긴 것이고, 凶하다고 한다면 凶이 吉을 이긴 것이다.
[本義] 貞은 正也 常也니 物은 以其所正爲常者也니라 天下之事가 非吉則凶이오 非凶則吉하야 常相勝而不已也니라 물은 바름을 항상함으로 삼는다. 천하의 일은 길이 아니면 흉이요 흉이 아니면 길이어서, 항상 서로 이기고 그만 두지 않는다.
天地之道는 貞觀者也오 日月之道는 貞明者也오 天下之動은 貞夫一者也라 천지의 도는 (항상) 바르게 보여주는 것이요, 일월의 도는 (항상) 바르게 밝히는 것이요, 천하의 움직임은 항상 한결 같이하는 것이다(항상 한가지일 뿐이다).
천지의 도는 요행이 없다. 一은 항상의 뜻이 있음 천도가 인도의 근원이 됨을 그것이 중정지도임을 말함
[本義] 觀은 示也니라 天下之動이 其變无窮이나 然 順理則吉하고 逆理則凶하니 則其所正而常者 亦一理而已矣리라 천하의 움직임은 그 변화가 무궁하나, 이치를 따르면 길하고 이치를 거스르면 흉하니, 곧 그 바르고 항상함은 다만 한 이치일 뿐이다.
夫乾은 確然하니 示人易矣오 夫坤은 隤然하니 示之簡矣니 무릇 건은 확연하여 사람에게 쉬움으로 보여주고, 무릇 곤은 순하니 사람에게 간략함으로 보여주니,
중천건괘 : 自强不息, 순할 퇴隤, 계사상편 1장 : 乾知大始 坤作成物
[本義] 確然은 健貌오 隤然은 順貌니 所謂貞觀者也니라 확연은 굳센 모양이고, 퇴연은 순한 모양이이, 이른바 항상 보여준다는 것이다.
爻也者는 效此者也오 象也者는 像此者也라 효라는 것은 이것을 본받는 것이요, 象(유형의 괘상)이라는 것은 이것을 형상(像)한 것이다.
爻는 건곤의 양의 효와 음의 효를 본받는 것이고, 象은 건곤의 음의 상과 양의 상을 형상화한 것이다.
[本義] 此는 謂上文乾坤所示之理니 爻之奇偶와 卦之消息은 所以效而象之니라 이것이란 上文에 건곤이 보여준 바의 이치를 이르니, 효의 奇(홀)와 偶(짝), 괘의 消와 息은 이것을 본받아 형상한 것이다.
爻象은 動乎內하고 吉凶은 見乎外하고 功業은 見乎變하고 聖人之情은 見乎辭하니라 효와 상은 (괘)안에서 움직이고, 길과 흉은 밖에서 나타나고, 공과 업(성인지도의 실천)은 (괘상과 효상이)변에서 나타나고, 성인의 뜻은 말에서 나타난다.
효상(음양)의 변화에 따라 길흉이 드러나고 괘상(64괘)의 변화에 따라 공업이 드러나고 성인의 뜻은 말에서 나타남을 밝히고 있다.
[本義] 內는 謂 蓍卦之中이오 外는 謂蓍卦之外니라 變은 卽動乎內之變이오 辭는 卽見乎外之辭니라
天地之大德曰生이오 聖人之大寶曰位니 何以守位오 曰仁이오 何以聚人고 曰財니 理財하며 正辭하며 禁民爲非 曰義라 천지의 대덕을 생이라 하고, 성인의 큰 보배를 位라 하니, 무엇으로써 지위를 지키는가, 하니 왈 인이요, 무엇으로 사람을 모으는가, 하니 왈, 재물이다, 하니 재물을 다스리고 말을 바르게 하며 백성의 잘못을 금하는 것을 가로되 義라고 한다.
천지의 큰 덕에 의해 만물이 생한다. 즉 生生之를 말한다. (건 곤 다음 둔괘 : 만물을 생하는 어려움을 설명) 공자는 인예, 맹자는 인의. 여기서 財는 문물제도를 말함 (화천 대유) 괘효를 통해 성인지도를 드러내고 성인지도를 통해 인의를 행함으로써 大同사회를 만드는 것을 말하고 있다.
[本義] 曰人之人을 今本作仁하고 呂氏從古하니 蓋所謂非衆이면 罔與守邦이니라 曰人의 人은 仁으로 여씨의 옛것을 따랐으니, 이른바 여러 사람이 아니면 더불어 나라를 지킬 수 없다. 는 것이다.
右는 第一章이라
[本義] 此章은 言卦爻吉凶과 造化功業하니라 차장은 괘효의 길흉과 조화의 공업을 말한 것이다. ----------------------------------------------------------------------------------- 第二章 하편 1장의 내용이 성인지도(천지지도)가 괘효원리로 드러남을 설명한 것이라면 2장은 괘효를 통해 드러난 성인지도가 어떻게 세상을 이롭게 하는지를 13개의 괘로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인데, 13괘는 건곤괘를 분리하면 13개인데 12달+ 윤달로 13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는 설도 있다.
古者包犧氏之王天下也에 仰則觀象於天하고 俯則觀法於地하며 觀鳥獸之文與地之宜하며 近取諸身하고 遠取諸物하야 於是에 始作八卦하야 以通神命之德하며 以類萬物之情하니 옛날 포희씨가 천하에 왕노릇 할 때에 우러러서는 하늘에 형상을 보고(觀 내면적인 것까지 봄), 구부려서는 땅의 법을 보며, 새와 짐승의 무늬와 땅의 마땅함을 보며, 가까이는 자신에게서 취하고 멀리는 물건에서 취하여, 이에 비로소 팔괘를 만들어 (성인은) 신명의 덕을 통하게 하고 (군자는) 만물의 뜻을 나누니,
설괘편 九章의 近取諸身(乾머리, 坤배, 震발, 巽허벅지, 坎귀, 離눈, 艮손, 兌입) 설괘편 八章의 遠取諸物(乾말, 坤소, 震용, 巽닭, 坎돼지, 離퀑, 艮개, 兌양)
[本義] 王昭素曰 與地之間에 諸本多有天字니라 俯仰遠近이 所取不一하나 然 不過以驗陰陽消息兩端而已니라 神明之德은 如健順動止之性이오 萬物之情은 如雷風山澤之象이니라 왕소소 왈, 與地의 중간에 여러 本에서는 天字가 있는 것이 많다. 굽어보고 우러러보며, 멀고 가까운 곳에서 취한 바가 똑같지 않으나 陰陽의 消息 두 가지를 징험함에 불과할 뿐이다. 신명의 덕은 健 順 動 止와 같은 性이요, 만물의 정은 雷 風 山 澤과 같은 象이다. ------------------------------------------------------------------ 1 作結繩而爲網罟하야 以佃以漁하니 蓋取諸離하고 노끈을 매어 그물을 만들어서 그 그물로 사냥하고 물고기를 잡으니, 대개 이괘에서 취하고, [本義] 兩目相承而物麗焉이니라 두 그물 눈을 서로 이음에 물건이 걸린다.
여기서 단순히 그물을 만들어 조수를 잡는 지혜로 세상을 이롭게 했다고 이해하기 쉬운데, 離괘는 밝음 진리를 의미하므로 사람이 진리의 말씀을 사냥한다는 의미이다. 즉 그물은 조수를 잡는 것이 아니고 진리를 구하는 그물이다. 중화이괘의 뜻을 알기 위해서는 離卦을 풀이한 문왕의 繫辭와 공자의 彖辭 象辭를 먼저 공부해야 한다.
離괘는 어려운 시련에 직면했을 때 어디에 머물고 의지해야 되는 가를 설명하고 있다. 즉 험난함을 극복하는 지혜로움을 말한다. 離는 麗(고울 려, 붙는다. 자리 잡음)이다. 즉 어떤 것에 붙어있는 것이다. 천지간의 만물은 모두 어디엔가 붙어있다. 마음은 우리 몸속에 붙어있고 그 마음이 사람이나 어떤 물건에 붙어서 큰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離卦 는 어떤 괘인가? 문왕이 괘를 보고 풀이한 괘사는 다음과 같다. 離는 利貞하니 亨하니 畜牝牛하면 吉하리라 離는 (진리에 대해) 바르면 이롭다하니, 형통하니 (순종의)암소를 기르면(기르는 듯하면) 길하리라.
공자가 문왕의 괘사를 구체적으로 알기 쉽게 풀이한 것은 다음과 같다. 彖曰 離는 麗也ㅣ니 日月이 麗乎天하며 百穀草木이 麗乎土하니 重明으로 以麗乎正하야 乃化成天下하나니라 柔ㅣ 麗乎中正故로 亨하니 是以畜牝牛吉也ㅣ라 단 왈, 離는 자리 잡는다(걸려있다)는 말이다. 해와 달은 하늘에 자리 잡고(걸리며), 백곡 초목은 땅에 자리 잡는다(걸려 있다). 밝음을 거듭해서 바른 자리에 서서(바르게 걸려) 이에 천하(백성)를 (진리로) 교화하여 풍속을 이룬다(바로 잡았다). 柔는 中正에 자리하는 고로 형통하니. 이런 까닭으로 암소(유순함)를 기르는 것이 길한 것이다.
또 공자가 卦象을 보고 한 말 象曰 明兩이 作離하니 大人이 以하야 繼明하야 照于四方하나니라 상 왈, 밝은 것이 둘이 離卦를 만들었으니 대인이 이로써 밝은 것(진리, 하늘의 뜻)을 계승하여 사방을 비춘다. ------------------------------------------------------------------------------ 2 包犧氏沒커늘 神農氏作하야 斲木爲耜하고 揉木爲耒하야 耒耨之利로 以敎天下하니 蓋取諸益하고 포희씨가 죽거늘 신농씨가 일어나 나무를 깎아 보습을 만들고 나무를 휘어 쟁기를 만들어서, 쟁기와 호미의 이로움으로써 천하를 가르치니, 대개 益卦에서 취하였고, [本義] 二體皆木이오 上入下動하니 天下之益이 莫大於此니라 두 體가 모두 나무이며 위는 들어가고 아래는 動하니, 천하의 유익함이 이보다 더 큼이 없다.
주역에서 나무는 木道인 성인지도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보습과 쟁기는 매우 이로운 기기이므로 하늘이 목도를 가르쳐 매우 이로운 것(진리와 지혜를)를 내려준다는 것으로 비유함
익괘는 어떤 괘인가? 風雷益卦 겸손으로 움직이면 하늘이 익(진리를 알게 함)이 되게 한다. 익괘는 어떤 괘인가? 문왕이 괘상을 보고 풀이하기를 益은 利有攸往하며 利涉大川하니라 익은 갈 데가 있으면 이롭다하며,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롭다 한다.
공자가 문왕의 괘사를 구체적으로 풀이하기를 彖曰 益은 損上益下하니 民說无疆이오 自上下下하니 其道ㅣ 大光이라 利有攸往은 中正하야 有慶이오 利涉大川은 木道ㅣ 乃行이라 益은 動而巽하야 日進无疆하며 天施地生하야 其益이 无方하니 凡益之道ㅣ 與時偕行이니라 단 왈, 익은 위를 덜어서 아래에 더함이니, 백성의 기뻐함이 끝이 없다.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니 그 道가 크게 빛난다. 갈 데가 있으면 이롭다. 는 것은 中道를 바르게 함으로써 경사(성인지도를 알게 하는 경사)가 있다는 것이다.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롭다. 는 것은 나무로 만드는 木道가 행해지는 것이다. 益은 움직임이 順巽해서 날로 나아감이 끝이 없는 것이다. 하늘이 베풀고 땅이 生하여(損上益下) 그 보탬이 方所가(궁함이) 없다. 무릇 益의 道는 때에 맞추어 함께 행하여지는 것이다.
또 공자가 卦象을 보고 말하기를 象曰 風雷ㅣ 益이니 君子ㅣ 以하야 見善則遷하고 有過則改하나니라 상 왈, 바람과 우레가 益이니 군자는 이를 본받아 善을 보면 바로 행하고 허물이 있으면 빨리 고친다.
益卦는 巽卦와 연관이 있다. 巽卦는 損下益上으로 아래를 덜어서 위에 보태는 것인데, 아래를 덜어낸다는 것은 물질적인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자기의 편견, 아집, 고정관념, 독선 등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을 덜어 하늘의 도에 맞춘다는 것이다. 그러면 하늘은 益(損上益下)이 되게 하는데, 이것도 물질적인 것으로 益이 되게 하는 것이 아니고 진리를 깨우치도록 해준다는 것이다. 세속에서 祈禱(자기의 사사로움을 없애는 노력)로 求福(진리를 자각하는 힘을 얻음)을 하는 행위의 本義가 여기에 있음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원시의 求福信仰이 이렇게 발전된 것이다. 불교의 諸行無常, 諸法無我에 모든 움직임에는 고정된 것이 없고 모든 법칙에는 나가 없다는 즉 자기의 집착에서 벗어나야 진리에 도달할 수 있다는 이 말이 바로 損益의 卦辭의 뜻과 일맥상통하는 것이 아닐까요. ---------------------------------------------------------------------------------- 3 日中爲市하야 致天下之民하며 聚天下之貨하야 交易而退하야 各得其所케하니 蓋取諸噬嗑하고 한낮에 저자를 만들어 천하의 백성을 오게 하고, 천하의 재물을 모아서 교역하고 물러가, 각각 자기 살 곳을(원하는 바를) 얻게 하니, 대개 서합괘에서 취하였고, [本義] 日中爲市는 上明而下動이오 又借噬爲市하고 嗑爲合也니라 한낮에 시장을 만들고 위는 밝고 아래는 움직인다. 또 噬를 가차하여 市로 하고, 嗑을 合으로 한 것이다.
진리의 태양이 하늘 위에 있을 때 사람들이 모여서 그 진리를 공유한다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서합괘는 물물교환을 위한 교역사회에 비유하여 각자가 필요한 바를 얻고 있음을 공자가 기록한 것인데, 이것은 단순한 교역이 아닌 진리를 自覺하는 噬嗑의 의미로 파악해야 한다. 離괘는 태양이며, 震괘는 움직임이므로 진리를 상징하는 태양아래 사람들이 분주히 움직임을 상징한다. 그러므로 離卦와 震卦의 상을 취하여 진리를 나누는 물물교환의 시장을 형상화 한 것이다.
火雷噬嗑卦의 의미는? 1. 진리의 자각이 어려움을 방해물이 들어 있는 음식물과 죄인의 교화에 비유한 것이다. 2. 噬嗑은 윗니(上九)와 아랫니(初九)가 깨물어 합치는 것이다. 즉 天人合一이다. 3, 雜卦에서 噬嗑은 먹는 것이다(噬嗑은 食也이오), 噬嗑卦는 山雷頤卦에서 온 것이다. 山雷頤卦는 군자가 부드러운 음식물(자각하기 쉬운 성인지도)를 소화해서 자기는 물론 사람들을 바르게 기르는 養正의 원리를 설명한 것인데, 이 噬嗑卦에는 딱딱한 음식물(94)이 있어 군자가 성인지도를 자각하기 어려움을 비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자각하기 어려운 성인지도를 씹어서 합치게 되면 성인지도와 군자지도가 하나가 되는 즉 하늘과 사람이 하나가 되는 天人合德(一)을 이룸을 비유하고 있다.
문왕이 卦를 해석한 괘사 噬嗑은 亨하니 利用獄하니라 서합은 형통하니(성인지도를 씹어서 천인합일이 이루어지면 만사가 형통), 獄을 쓰는 것이 이롭다(진리를 알기 위해서는 강제성을 쓰는 것이 이롭다). 공자가 문왕의 괘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은 彖曰 頤中有物일새 曰噬嗑이니 噬嗑하야 而亨하니라 剛柔 分하고 動而明하고 雷電이 合而章하고 柔得中而上行하니 雖不當位나 利用獄也니라 단 왈, 물건(음식)이 입 속에 있는 것이 서합이니 씹어 합하면(먹으면) 형통하다. 강유가 나뉘고(震은 양으로 강 離는 음으로 유) 움직이면(震) 밝아지니(離) 우레와 번개가 합하여 빛난다. 柔가 中을을 얻었고 그리고 위로 올라가니 비록 位는 부당(不正)하나 獄을 쓰는 것이 이롭다(진리를 자각하기 위해서는 때로는 아름다운 규제(강제성)가 필요하다).
주역에서 得中은 성인지도 즉 中道를 얻었다는 것이므로 가장 중시되고 다음은 正位이다.
공자가 괘상을 보고 한 말은 象曰 雷電이 噬嗑이니 先王이 以하야 明罰勅法하니라 상 왈, 우레와 번개가 서로 합쳤으니 선왕은 이것으로써(이것을 보고 자각을 하여) 형벌을 밝히고 법을 제정하였다. -------------------------------------------------------------------------- 4 神農氏沒커늘 黃帝堯舜氏作하야 通其變하야 使民不倦하며 神而化之하야 使民宜之하니 易이 窮則變하고 變則通하고 通則久라 是以自天祐之하야 吉无不利니 黃帝堯舜이 垂衣裳而天下治하니니 蓋取諸乾坤하고 신농씨가 죽으니 황제와 요와 순이 일어나서, 그 (음양의)변함을 통하여 백성으로 하여금 게으르지 않게 하며(그 때 그 때 해야 할 일을 하게함), 신묘(하늘의 섭리를 말함)하게 교화하여 백성으로 하여금 마땅하게 행하게之 하였으니, 역은 궁하면(막히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며(음이 변해야 양과 통할 수 있고 밤이 변해야 낮을 만날 수 있음) 통하면 오래함이다. 이러하므로 하늘로부터 도와서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으니, 황제 요 순이 의상(천지지도)을 드리워 천하가 다스려지니 대개 저 건곤(천지)괘에서 취하였다.
[本義] 乾坤은 變化而无爲니라 건곤은 변화하되 함이 없다.
건괘는 어떤 괘인가? 문왕이 풀이한 괘사 乾은 元코 亨코 利코 貞하니라 건은 원하고 형하고 이하고 정하다.
공자가 문왕의 괘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 彖曰 大哉라 乾元이여 萬物이 資始하나니 乃通天이로다 단 왈, 위대하도다. 건원이여! 만물의 시작의 바탕이 된다 하니, 이에 하늘을 통솔하였도다. 雲行雨施하야 品物이 流形하나니라 구름이 움직여서 비가 내리니 만물이(각자의 모습대로) 형체를 갖춰 널리 퍼진다. 大明終始하면 六位時成하나니 時乘六龍하야 以御天하나니라 시작과 끝을 크게 밝히면 육위가 때(시의성)에 맞게 이루어지나니, 때로 여섯용(육위)을 타고서 하늘을 행한다(다스린다). 乾道ㅣ 變化에 各正性命하나니 保合大和하야 乃利貞하니라 건의 도가 변하고 화함에 각기 성명을 바로 하나니 크게 하함을 보전하고 합해서 이에 이롭고 바르니라. 首出庶物애 萬國이 咸寧하나니라 만물 중에서 머리(으뜸)로 나오니 만국이 (이를 본받아) 모두 편안하다.
곤괘는 어떤 괘인가? 坤은 元코 亨코 利코 牝馬之貞이니 君子의 有攸往이니라 곤은 크게 형통하고 암말의 바름으로 하면 이로우니 군자의 갈 바가 있음이니라. 先하면 迷하고 後하면 得하리니 主利하니라 먼저 하면 혼미하고 뒤에 하면 얻는다 하여 이로움을 주장한다. 西南은 得朋이오 東北은 喪朋이니 安貞하야 吉하니라 서남은 벗을 얻음이오, 동북은 벗을 잃을 것이니 바르고 편안하면 길하다.
彖曰 至哉라 坤元이여 萬物이 資生하나니 乃順承天이니 단 왈, 지극하도다. 곤원이여! 만물이 생겨나는 바탕을 이루니, 이에 유순히 하늘을 받드니 坤厚載物이 德合无疆하며 含弘光大하야 品物이 咸亨하나니라 곤의 두터움이 물건을 실음은 덕이 지경이 없음에 합하며, (곤은) 포용하고 너그러우며 빛나고 위대하며 만물이 함께 형통하나니라 牝馬는 地類-니 行地无疆하며 柔順利貞이 君子攸行이라 암말은 땅의 부류이니, 땅 위를 걸어감이 끝이 없으며 유순하고 바름으로 이로우니 군자의 행하는 바이다. 先하면 迷하야 失道하고 後하면 順하야 得常하리니 먼저 하면 혼미하여 도를 잃고 뒤에 하면 순하여 떳떳함을 얻으리니 西南得朋은 乃與類行이오 東北喪朋은 乃終有慶하리니 安貞之吉이 應地无疆이니라 서남은 벗을 얻는다는 것은 동류와 함께 행함이요, 동북은 벗을 잃는다는 것은 마침내 경사(하늘의 뜻을 자각함)가 있다는 것이다. 안정의 길함이 땅의 무한한 덕에 응한다. ------------------------------------------------------------------------- 5 刳木爲舟하고 剡木爲楫하야 舟楫之利로 以濟不通하야 致遠以利天下하니 蓋取諸渙하고 나무를 쪼개어(파서) 배를 만들고 나무를 깎아 노를 만들어, 배와 노(木道)의 이로움으로써 통하지 못하는 곳을 건너 먼 곳에 이름으로써 천하를 이롭게 하니, 대개 渙卦에서 취하였고,
주역에서 나무는 木道로 天道 中道 神道를 의미하므로 천도로 만든 배와 노를 말하며, 풍수환괘는 진리의 확산을 승선사회에 비유하여 말하고 있다. 수렵(離卦) 농경(益卦) 교역(噬嗑卦) 의상(乾坤卦)을 이어서 먼 곳으로 교역통상을 하는 승선사회가 되었다. 배를 만들어 물을 건너는 것을 흩어진다는 풍수환괘에서 취하였다. 사람들이 가지 못하는 곳에 木道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해 주는 것을 진리의 확산, 지혜의 확산에 비유한 것이다. 풍수환괘는 위에는 바람, 아래는 물로, 바람(하늘이 섭리를 의미)이 물위에서 불면 물결이 사방으로 퍼져나가듯이 진리가 사방으로 확산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환괘의 의미 : 渙은 흩어짐이다. 1. 진리의 확산이요, 왕도정치의 배품이며, 환난을 극복하는 지혜이다. 2. 진리와 예악의 흩어짐은 무질서와 환난의 새로운 변화이다. 3. 離散과 聚合의 원리이다.
풍수환괘는 어떤 괘인가. 문왕이 풀이한 괘사 渙은 亨하니 王假有廟며 利涉大川하니 利貞하니라 환은 형통하니 왕이 사당에 이르러는 것이며,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로우니, 곧으면 이롭다.
공자가 문왕의 괘사를 구체적으로 해석 彖曰 渙亨은 剛이 來而不窮하고 柔 得位乎外而上同할새라 王假有廟는 王乃在中也오 利涉大川은 乘木하야 有功也라 단 왈, 환이 형통하는 것은 강(九五)이 와서 궁하지 아니하고, 유(六四)가 자리를 밖에서(上卦) 얻어서 위와(九五) 함께 함이다. 왕이 사당에 이르렀다는 것은 왕이 마침내 중정의 자리에 있기 때문이다.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롭다는 것은 (물을 건너는 데는) 나무에 타야만 공이 있다는 것이다(진리의 확산을 실천했다). (주역에서 功은 실천을 의미함)
공자가 卦象을 보고 한 말 象曰 風行水上이 渙이니 先王이 以하야 享于帝하며 立廟하니라 상 왈, 바람이 물 위로 부는 것이 환이니 선왕은 이것을 보고 상제께 제사를 지내고 사당을 세운다(성인지도를 실천한다는 의미).
[本義] 木在水上也라 致遠以利天下는 疑衍이니라 나무가 물위에 있다. 致遠以利天下는 衍文인 듯하다. -------------------------------------------------------------------------------- 6 服牛乘馬하야 引重致遠하야 以利天下하니 蓋取諸隨하고 소를 길들이고 말을 타서(건도에 순종하여), 무거운 것을 이끌고 먼 곳을 이름으로써(건도를 실천하면) 천하를 이롭게 하니, 대개 수괘에서 취하였고, [本義] 下動上說이니라 아래는 동하고 위는 기뻐한다.
택뇌수괘의 상을 취한 승마사회를 비유한 설명이다. 인력의 한계로 인해 무거운 짐을 싣고, 먼 길은 말을 타고 가는 승마사회에 비유하여 진리에 순종하고 따라가는 수괘의 뜻을 밝히고 있다. 수괘는 성인이 밝힌 천지지도를 군자가 따른다는 것이다. 수괘는 사람이 따르는 道을 말하고 있다. 그 유형에는 사람을 따르는 것, 물건을 따르는 것, 일을 따르는 것, 진리를 따르는 것 등이 있는데, 기쁨으로 움직여 따르는 것이다. 그러나 수괘에서 말하는 隧道란 나를 버리고 진리를 따르는 것이다.(我舍而聖人之道順也) 澤雷隨란 기뻐하며(澤) 움직이는(雷) 상이다.
수괘는 어떤 괘인가? 隨는 元亨하니 利貞이라 无咎리라 彖曰 隨는 剛來而下柔하고 動而說이 隨니 大亨코 貞하야 无咎하야 而天下 隨時하나니 隨時之義ㅣ 大矣哉라 象曰 澤中有雷 隨니 君子 以하야 嚮晦入宴息하나니라
隨는 元亨하나 利貞이라 无咎리라 수는 크게 형통하나 바르게 해야 이롭고 허물이 없다.
彖曰 隨는 剛來而下柔하고 動而說이 隨니 大亨코 貞하야 无咎하야 而天下隨時하나니 隨時之義 大矣哉라 단왈, 수는 강이 와서 유에 아래하고, 동하고 기뻐함이 수니, 크게 형통하고 정하고 허물이 없어 천하가 때(시의성)에 따르나니, 그 수의성의 뜻이 크도다.
象曰(상왈) 澤中有雷 隨 君子 以하야 嚮晦入宴息하나니라 상왈, 못 안에 진동이 있음이 수이니 군자는 이를 법 받아 어둠을 향해 가(날이 저물면 들어가) 편안히 쉰다.
주역에서 음식은 군자의 인격적인 영양소인 성인지도를 의미하며, 宴息이란 잔치를 한다. 즉 성인지도를 자각하면서 편안히 쉰다.
이렇게 해야 하는 근거를 계사상편에서도 찾아 볼 수다. 상편 8장 聖言天下之至賾호대 而不可惡也ㅣ며 言天下之至動호대 而不可亂也ㅣ니 천하의 지극한 심오한 것을 말하되(말했기 때문에) 가히 싫어하지 못하며, 천하의 지극히 동함을 말하되(말했기 때문에) 가히 어지럽힐 수 없으니 擬之而後에 言하고 議之而後에 動이니 擬議하야 以成其變化하니라 (마땅한 이치에) 헤아린 후에 말하고, (괘효사의 말씀에) 의논한 후에 움직이니, 헤아리고 의논한 후에 그 변화를 이룬다. 상편 10장 是以君子ㅣ 將有爲也하며 將有行也애 問焉而以言하거든 其受命也ㅣ 如嚮하야 无有遠近幽深히 遂知來物하나니 非天下之至精이면 其孰能與於此ㅣ리오 그러므로 군자가 장차 일을 함에 있거나 장차 행함에 있어 (역에) 물어서 말하려 하거든 그 명령을 받음이 메아리와 같이 멀고 가까운 것과 그윽하고 깊은 데까지 남김없이 이 일을 알려주는 것이니 마침내 미래의 일을 알게 하니 -------------------------------------------------------------------------- 7 重門擊柝하야 以待暴客하니 蓋取諸豫하고 [本義] 豫備之意니라
뇌지예를 방범사회에 비유하여 우레로써 알림을 말하고 있다. 내호괘 간은 문지기나 간수이다. 상괘를 도전하면 간이 되니 문지기가 문을 안팎으로 돌면서 목탁으로 소리를 내면서 야경을 도는 것이다. 예괘는 미리 준비한다, 알린다는 뜻이 있으니, 그 상과 뜻을 취했다고 볼 수 있다. 주역에서 나무는 木道 즉 하늘의 섭리(성인지도)를 의미하며, 사회가 복잡해져 방범사회가 도래하자 성인지도로 두드려 도둑을 미연에 방지한다. 성인지도로 두드려 세상을 기 쁘게 한다. 즉 성인지도를 미리 알려서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것이다. 豫괘는 어떤 괘인가? 豫는 미리 알린다, 준비한다, 기뻐한다는 뜻이 있다. 上震 下坤의 雷地豫 문왕의 괘사 豫는 利建侯行師하니라. 柔인 육오는 剛인 구사를 제후로 뽑아 나머지 음을 이끌도록 해야 기뻐할 수 있다. (공자의 단사 즉 문왕의 괘사 풀이) -------------------------------------------------------------------------------- 8 斷木爲杵하고 掘地爲臼하야 臼杵之利로 萬民以濟하니 蓋取諸小過하고 세상을 이롭게하는 설명에 나무가 계속 나오는데 [本義] 下止上動이니라
소과괘는 어떤괘인가? 上震 下艮의 雷山小過 互卦가 澤風大過卦로서 大過는 양의 지나침(큰 과실)이고, 小過는 음의 지나침이다. 소과괘에 대한 정이천의 주 [傳] 序卦 有其信者 必行之 故 受之以小過 人之所信則必行 行則過也니 小過所以繼中孚也 爲卦 山上有雷 雷震於高 其聲過常 故 爲小過 又陰居尊位 陽失位而不中 小者過其常也 蓋爲小者過 又爲小事過 又爲過之小 문왕의 풀이 小過는 亨하니 利貞하니 문왕의 글에 정이천의 주 [傳] 過者 過其常也 若矯枉而過正 過 所以就正也 事有時而當然 有待過而後能亨者 故 小過自有亨義 利貞者 過之道利於貞也 不失時宜之謂正 可小事오 不可大事니 飛鳥遺之音에 不宜上이요 宜下면 大吉하리라 [傳] 過 所以求就中也 所過者小事也 事之大者 豈可過也 於大過 論之詳矣 飛鳥遺之音 謂過之不遠也 不宜上宜下 謂宜順也 順則大吉 過以就之 蓋順理也 過而順理 其吉必大 문왕의 글에 주희의 주 [本義] 小 謂陰也 爲卦四陰在外 二陽在內 陰多於陽 小者過也 旣過於陽 可以亨矣 然 必利於守貞 則又不可以不戒也 卦之二五 皆以柔而得中 故 可小事 三四皆以剛失位而不中 故 不可大事 卦體內實外虛 如鳥之飛 其聲下而不上 故 能致飛鳥遺音之應 則宜下而大吉 亦不可大事之類也 문왕의 글에 공자의 해석 彖曰 小過는 小者過而亨也니 공자의 글에 정이천의 주 [傳] 陽大陰小 陰得位 剛失位而不中 是小者過也 故 爲小事過 過之小 小者與小事 有時而當過 過之亦小 故 爲小過 事固有待過而後能亨者 過之所以能亨也 공자의 글에 주희의 주 [本義] 以卦體 釋卦名義與其辭 過以利貞은 與時行也라 지나치되(작은 과실이 있었지만) 올바름으로써 하는 것이 이로운 것은 때에 따라(시의성) 행하기 때문이다. [傳] 過而利於貞 謂與時行也 時當過而過 乃非過也 時之宜也 乃所謂正也 柔得中이라 是以小事吉也오 [本義」 以二五言 2효와 5효로써 말하였다. 剛失位而不中이라 是以不可大事也니라 [本義」 以三四言 有飛鳥之象焉하니라 [傳] 小過之道 於小事 有過則吉者 而彖以卦才言吉義 柔得中 二五居中也 陰柔得位 能致小事吉耳 不能濟大事也 剛失位而不中 是以不可大事 大事 非剛陽之才 不能濟 三 不中 四 失位 是以不可大事 小過之時 自不可大事 而卦才又不堪大事 與時合也 有飛鳥之象焉此一句 不類彖體 蓋解者之辭 誤入彖中 中剛外柔 飛鳥之象 卦有此象 故 就飛鳥爲義 飛鳥遺之音不宜上宜下大吉은 上逆而下順也일새라 [傳] 事有時而當過 所以從宜 然 豈可甚過也 如過恭過哀過儉 大過則不可 所以在小過也 所過當如飛鳥之遺音 飛鳥迅疾 聲出而身已過 然 豈能相遠也 事之當過者亦如是 身不能甚遠於聲 事不可遠過其常 在得宜耳 不宜上宜下 更就鳥音 取宜順之義 過之道 當如飛鳥之遺音 夫聲逆而上則難 順而下則易 故 在高則大 山上有雷 所以爲過也 過之道 順行則吉 如飛鳥之遺音宜順也 所以過者爲順乎宜也 能順乎宜 所以大吉 [本義] 以卦體言 공자가 소과괘상을 보고 한 말 象曰 山上有雷 小過니 君子 以하야 行過乎恭하며 喪過乎哀하며 用過乎儉하니라 공자의 상왈에 대한 정이천의 주 [傳] 雷震於山上 其聲過常 故 爲小過 天下之事 有時當過 而不可過甚 故 爲小過 君子觀小過之象 事之宜過者則勉之 行過乎恭 喪過乎哀 用過乎儉 是也 當過而過 乃其宜也 不當過而過則過矣 공자의 상왈에 대한 주희 주 [本義] 山上有雷 其聲小過 三者之過 皆小者之過 可過於小而不可過於大 可以小過而不可甚過 彖所謂可小事而宜下者也 ------------------------------------------------------------------------------ 9 弦木爲弧하고 剡木爲矢하야 弧矢之利로 以威天下하니 蓋取諸睽하고 성인지도(목도)로 세상에 위엄을 보여서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고 상생과 소통의 길을 모색한다. 화뢰서합괘도 성인지도를 씹어 소화하여 진리를 자각하는 내용인데, 그 자득하는 행위의 어려움을 강한 음식물에 비유하여 설명하면서 利用獄(아름다운 규제)이란 말이 나옴 [本義] 睽乖然後威以服之니라
睽卦는 어떤 卦인가? 上火 下澤의 火澤睽 불은 위로 물은 아래로 서로 가는 길이 다르다. 睽는 小事는 吉하리라 乖離散之時 卦才之善 小事吉, 어긋나고 흩어지는 때이나 괘재가 선하기 때문에 작은 일은 길할 수 있는 것이다. 彖曰 火動而上하고 澤動而下하며 二女同居하나 其志不同行也하니라 說而麗乎明하고 柔進而上行하야 得中而應乎剛할새 是以小吉也니라 천지와 남녀 만물은 비록 다르나 그 이치는 본래 같기 때문에 같게 할 수 있는 것이다. 睽라고 말한 것은 본래 같았던 것이므로 본래 같지 않으면 睽가 아니다. 象曰 上火下澤 睽 君子 以하야 同而異하나니라 같으면서 달리함이 있을 수 있으니, 떳떳한 도리는 같으나, 세속의 일에는 다르게 하지 못하면 치우칠 수 있다. 중용의 和而不流 화하면서도 흐르지 않는다. 가 이것이다. ------------------------------------------------------------------------------- 10 上古에 穴居而野處러니 後世聖人이 易之以宮室하야 上棟下宇하야 以待風雨하니 蓋取諸大壯하고 [本義] 壯固之意니라 어떻게 해야 크게 씩씩하게 움직일 수 있는가? 육체가 아닌 하늘의 뜻으로 움직이는 것이 크게 씩씩하게 움직이는 것이다. 뇌천대장괘(雷天大壯卦)
뇌천대장은 어떤 괘인가? 上震 下乾의 雷天大壯 문왕의 풀이 공자의 설명 象曰 雷在天上 大壯이니 君子 以하야 非禮弗履하나니라 -------------------------------------------------------------------- 11 古之葬者는 厚衣之以薪하야 葬之中野하야 不封不樹하며 喪期无數러니 後世聖人이 易之以棺槨하니 蓋取諸大過하고 옛날 장사는 섶나무로 두텁게 입히고 들 가운데 장사 지내서 봉분을 하지 않고 나무를 심지 않으며 상기가 일정한 일수가 없었는데, 후세 성인이 관곽으로 바꾸니, 대개 대과괘에서 취하였고,
대과를 인간대사인 장례에 비유하여 큰 어려움을 木道에 의지하여 행하면 형통해 진다.
[本義] 送死는 大事而過於厚니라 장례는 대사로서 후함을 과하게 한다. 대과는 어떤 괘인가?
大過는 棟이 橈니 利有攸往하야 亨하니라 대과는 기둥이 흔들림이니 갈 바를 둠이(의지할 바가 있으면) 이롭고 형통하다.
彖曰( 大過는 大者過也오 棟橈는 本末이 弱也라 剛過而中巽而說行이라 利有攸往하야 乃亨하니 大過之時 大矣哉라 단왈, 대과는 큰 것이 지나침이요, 동요는 본말이 약함이다. 강함이 지나치도 중도에 겸손하고 기뻐 행함이니, 갈 바를 둠이(의지할 바가 있으면) 이로워 이에 형통하니 대과의 때가 크도다.
아무리 어려움이 있어도 하늘의 뜻(성인지도)를 따르면 형통하다(계사 상 8장 첫 구절 : 擬議 以成其變化 성인의 말씀을 헤아리고 의논하여 그 변화를 이룸. 이것은 모든 종교에서도 믿으면 형통해진다는 것과 같은 원리). 또는 하늘이 어려움을 주는 것은 형통하게 해주기 위함이다(맹자 告子章句 下 15장 나에게 고통을 주는 것은 나를 크게 쓰고자 함이다). 는 뜻으로 하늘이 어려움을 주는 뜻을 알고 보니 참으로 크다. 고 해석을 할 수 있음.
象曰 澤滅木이 大過(대과)니 君子 以하야 獨立不懼하며 遯世无悶(하나니라 상왈, 연못이 나무를 멸함이 대과이니, 군자는 이를 법 받아 홀로 서도 두려워하지 않으며 세상을 멀리해도 민망하지 아니한다.
아래 巽은 木이고 위는 澤으로 물이므로 澤滅木이 된다. 즉 木道 즉 하늘의 道를 멸했으니 大過이다. 이런 큰 지남침이 있어도 중도(건도)에 믿음을 가지고 홀로서도 두려워하지 말고 세상을 등져도 번민하지 말라는 의미 (호괘가 건괘가 됨) ------------------------------------------------------------------- 12 上古엔 結繩而治러니 後世聖人이 易之以書契하야 百官以治하며 萬民以察하니 蓋取諸夬니라 쾌는 서괘에 더하되 그치지 않으면 반드시 터진다. 그러므로 쾌괘로 받았다. 쾌는 터짐이다. 익이 지극하면 반드시 터진 뒤에 그치니 이치는 항상 더함이 없어서, 더하고 그치지 않으면 끝내 터지니, 쾌가 익괘 다음이 되는 이유이다. 괘가 됨이 태가 위에 있고 건이 아래에 있으니, 두 체로써 말하면 택은 물이 모이는 것인데, 마침내 지극히 높은 곳에 올라가 있으니 무너져 터지는 상이 되고, 효로써 말하자면 다섯 양이 아래에 있어 자라나 장차 극에 오르고, 하나의 음효가 위에 있어 자라서 장차 다하게 되니, 여러 양이 위로 나아가 하나의 음을 결단하여 제거함이, 夬卦가 되는 이치이니, 夬卦는 강결하는 뜻이다. 여러 양이 나아가 하나의 음을 결단제거 하니, 군자의 도는 자라나고 소인은 사라지며 쇠하여 장차 다하게 되는 때인 것이다. 절기로는 3월(청명곡우)에 해당되며 위의 하나의 음효가 한 달만 지나면 양효가 되는 모양이다. 또 5양이 한 음을 결단하는 상이다. 夬는 揚于王庭이니 孚號有厲니라 告自邑이오 不利卽戎이며 利有攸往이니라 5양이 한 음을 심판하는 상황을 설명한 것이다. 彖曰 夬는 決也니 剛決柔也니 健而說하고 決而和하니라 揚于王庭은 柔乘五剛也오 孚號有厲는 其危乃光也오 告自邑不利卽戎은 所尙이 乃窮也오 利有攸往은 剛長이 乃終也리라 象曰 澤上於天이 夬니 君子 以하야 施祿及下하며 居德則忌하니라 상왈, 연못이 하늘에 올라감이 쾌이니, 군자는 이를 법 받아 록을 베풀어 아래에 미치게 하며, 덕에 거하여 꺼림을 법제화 한다. 右는 第二章이라
댓글쓰기 |
是故로 易者는 象也니 象也者는 像也오 이런 까닭으로 역이라 하는 것은 象이니 象은 像이다.
성인이 하늘의 뜻(무형의 象)을 자각하여 상징적으로 형상화 하여 64개의 괘상(유형의 像)으로 기록한 것이 바로 주역이다. 像은 바로 64괘 384효를 말한다. 복희가 괘상을 만들고 문왕이 괘사를 달고 주공이 효사를 달고 공자가 십익으로 그 뜻을 풀이한 것이 오늘날 우리들이 보는 주역이다.
彖者는 材也오 爻也者는 效天下之動者也니 단은 재목이요, 효는 천하의 동함을 본받음이니,
是故로 吉凶 生而悔吝 著也니라 이런 까닭으로 길흉이 생기고 후회와 부끄러움이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인의 도를 따르면 길하고 따르지 안으면 흉하게 된다. 회린은 마음속에 있는 것이고 길흉은 마음이 밖으로 나타난 것이다. 마음이 인색하면 흉하고 마음에 후회가 있으면 길한 것이다. 그러므로 길흉은 자기의 마음에 달려 있다.
右는 第三章이라 ---------------------------------------------------------
4장에서는 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고 있다.
陽卦는 多陰하고 陰卦는 多陽하니 其故는 何也오 陽卦는 奇오 陰卦는 耦일새라 양괘는 음이 많고, 음괘는 양이 많으니, 그 까닭은 어째서인가. 양괘는 홀수이고 음괘는 짝수이기 때문이다.
양괘 음괘는 남녀괘로 구분할 수도 있지만 쉽게 홱을 세어 홀수이면 양괘이고
其德行은 何也오 陽은 一君而二民이니 君子之道也오 陰은 二君而一民이니 小人之道也라 그 덕행은 어떠한가. 양은 한 임금에 두 백성이니 군자의 도요, 음은 두 임금에 한 백성이니 소인의 도이다.
군자의 도와 소인의 도를 밝히고 있다.
右는 第四章이라 -----------------------------------------------------------------
5장에서는 군자의 도와 소인의 도를 설명하고 있다. 즉 진리와 내가 하나가 되면 군자의 도이고 하나가 되지 못하면 소인의 도이다. 계사상 8장 에서도 설명이 있는데 言天下之至賾而不可惡也 言天下之至動而不可亂也 이런 까닭에 군자가 일을 함에 있어 擬之而後言 議之而後動하니 擬議 以成其變化라는 말이 있다. 여기서 군자의 기준은 성인의 도를 헤아리고 의논을 하는 것에 두고 있다. 5장에서의 성인과 군자의 구분은 조금 다르다. 여기서 군자는 진리와 하나가 되어 그 진리 즉 성인의 도를 실천을 하는가 하지 아니하는가에 두고 있다. 주역의 상경과 하경의 구성으로 보면 하경의 첫괘가 함괘인데 함괘는 진리와 내가 하나가 되는 것을 남녀가 하나가 되는 것으로 비유한 것인데 군자의 첫 번째 과제가 바로 진리(성인의 도)와 내가 하나가 되는 것이다.
1 易曰 憧憧往來면 朋從爾思하하니 子曰 天下 何思何慮리오 天下 同歸而殊塗하며 一致而百慮니 天下 何思何慮리오 역왈 자주 자주(그리워하고 그리워하면서) 가고 오면 벗들이 네 생각을 따른다, 하니 공자 왈, (진리와 내가 하나가 되면) 천하가 무엇을 생각하며 무엇을 염려하겠는가? 천하가 돌아가는 곳은 같으나 길이 다르며, 이치는 하나이나 백가지 생각이 있으니, 천하가 무엇을 생각하며 무엇을 근심하겠는가(진리와 내가 하나가 되면 생각할 것도 근심할 것도 없다)?
朋字은 조개 貝字에서 왔는데 고대에는 조개를 화패로 사용할 때에 5개씩 두 묶음으로 한 조로 이용했다 하니 10을 의미한다. 주역에서 10은 하늘을 의미한다. 그렇게 보면 벗들이 너의 생각을 따른다는 것은 하늘의 뜻과 하나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돌아갈 곳은 같고 이치가 하나라는 것도 진리의 말씀 즉 성인의 도를 말한다.
澤山咸卦는 어떤 卦인가? 1. 咸은 感이니 느끼는 것이다. 느낌은 감정이 마음 가운데서 움직이는 것이니 私心이 없어 천도의 자각을 통해 天人合一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2. 함괘는 남녀간의 사랑으로 몸과 마음이 하나 되는 이치에 비유하여 성인의 도와 합일을 설명하고 있다.
咸(함)은亨(형)하니 利貞(이정)하니 取女(취녀)면 吉(길)하리라 함(진리와 내가 함께하면)은 형통하니 정하면 이로우니 여자(군자)를 취하면 길하다.
주역에서 男 夫는 聖人을 女 婦는 군자를 의미한다. 부부지도, 남녀지도는 모두 성인 군자간의 내용을 설명한다.
彖曰 咸은 感也니 柔上而剛下하야 二氣 感應以相與하야 止而說하고 男下女라 是以亨利貞取女吉也니라 天地感而萬物化生하고 聖人感人心而天下和平하나니 觀其所感而天地萬物之情을 可見矣리라 단왈, 함은 느낌이니, 유가 올라가고 강이 내려와 두 기운이 감응하여 서로 더불어, 머물고 기뻐하고, 남자가 여자에 아래 함이라(음은 내려가고 양은 올라가니 두 기운이 합일). 이러므로 형통하고 바르면 이롭고 여자를 취함이 길하다. 천지가 느껴 만물이 화생하고 성인이 인심을 느껴 천하가 화평하나니, 그 느낀 바를 보고 천지만물의 실정을 가히 알 수 있다.
示 물건을 보는 것, 물건을 보이는 것 見 느끼고 자각하는 것, 아는 것 觀 황새가 높이 모든 것을 보는 것, 내면까지 자세히 보는 것 象曰 山上有澤 咸이니 君子 以하야 虛受人하나니라 상왈, 산위에 못이 있음이 함이니 군자는 이를 법 받아 비움으로 사람을 받아들인다.
모든 진리를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자기를 비워야 한다. 화뢰서합괘의 상구 何校滅耳 凶도 항쇄에 귀를 막으니 흉하다는 것도 진리의 말을 듣지 못하니 흉하다는 의미이다. -----------------------------------------------------------------------
동동왕래를 굴신지도에 결부시켜 다시 설명하고 있다. 日往則月來하고 月往則日來하야 日月相推而明生焉하며 寒往則暑來하고 暑往則寒來하야 寒暑相推而歲成焉하니 往者는 屈也오 來者는 信也니 屈信이 相感而利生焉하니라 (하늘에는) 해(양)가 가면 달(음)이 오고, 달이 가면 해가 와서, 해와 달이 서로 밀어서 밝음이 이에 생기며, (땅에는) 추위가 가면 더위가 오고, 더위가 가면 추위가 와서, 추위와 더위가 서로 밀어서 해가 이에 이루어지니, (사람은) 가는 것은 굽힘이요, 오는 것은 펴는 것이니, 굽히고 폄이 서로 느껴서 이로움이 이에 생긴다.
尺蠖之屈은 以求伸也오 龍蛇之蟄은 以存身也오 精義入神은 以致用也오 利用安身은 以崇德也니 자로 재는 듯이 자벌레가 굽히는 것은 폄을 구함이요, 용과 뱀이 칩거함은 몸을 보존함이요, 뜻을 정밀하게 해서 신묘함에 들어감은 쓰임을 이루게(지극히) 함이요, 씀을 이롭게 하여 몸을 편안히 함은 덕을 높임이니,
過此以往은 未之或知也니 窮神知化 德之盛也라 이(精義入神)를 지난 감(말하는 것)은 혹 알지 못함이니, 신을 궁구하고 조화를 아는 것은 덕의 성함이다. ------------------------------------------------------------------------- 2 易曰 困于石하며 據于蒺藜라 入于其宮이라도 不見其妻니 凶이라하니 子曰 非所困而困焉하니 名必辱하고 非所據而據焉하니 身必危하리니 旣辱且危하야 死期將至어니 妻其可得見邪아 역왈, 돌에 곤하며 가시덤불에 앉아 있다. 그 집에 들어가더라도 그 아내를 보지 못하니 흉하다, 하니 공자 왈, 곤할 데가 아닌데 곤하니 이름이 반드시 욕될 것이요, 앉을(의지할) 곳이 아닌데 앉으니(의지하니) 몸이 반드시 위태로울 것이다. 이미 욕되고 또 위태로워 죽을 시기가 장차 이르니 아내를 볼 수 있겠는가.
澤水困卦 육삼의 효사에 관한 내용 困은 木과 口의 합성자인데 여기서 木은 木道이고, 口는 고정관념, 편견, 아집, 독선을 뜻한다. 돌과 가시덤불은 소인의 도를 말하며, 주역에서 女, 婦, 妻는 군자를 상징함, 주역은 성인지도를 바탕으로 한 숙명이 아닌 개척론이다. 곤괘는 고난에 처해있는 상황에서 그 어려움을 헤쳐 나갈 수 있는 지혜를 말하고 있다. 소인의 곤함은 육신의 곤함이요, 군자의 곤함은 진리의 곤함이다. 주역에서 3위는 대체로 흉이 많은 자리이다. 왜나 하면 2위의 중을 지나갔기 때문에 교만하고 남의 말을 잘 듣지 않는다.
澤水困卦는 어떤 卦인가? 澤水困은 물(水)이 연못(澤)아래에 있으니 곤함이고 험난함(水)을 벗어나니 기쁨(澤)이다. 困은 亨코 貞하니 大人이라 吉하고 无咎하니 有言이면 不信하리라 곤은 형통하고 정하니 대인이다. 길하고 허물이 없으니, 말을 하고 믿지 않는다.
고난을 대처하는 자세에는 1. 원망과 탄식, 2. 자신을 반성하면서 벗어나는 방도를 추구, 3. 성현의 말씀에 의지해 실천 등을 들 수 있는데, 대인만이 성현의 말씀에 의지한다는 것이다. 소인은 자신의 방법으로 헤쳐 나가려 하고 성현의 말은 하되 믿질 않는다.
공자는 곤의 뜻, 형통, 정대인길, 유언불신 등 괘사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彖曰 困은 剛揜也니 단왈 곤은 강이 가려진 것이니,
구이의 강은 위 아래 음으로 가려있고 구사 구오의 강은 육삼과 상육의 음에 가려 있다. 즉 군자가 소인들에 가려 있는 모습이다.
險以說하여 困而不失其所亨하니 其唯君子乎인저 험하나 기뻐하여 곤하여도 그 형통한 바를 잃지 않으니, 오직 군자이도다.
험함에 기뻐함은 성인의 도에 의지해야만 가능 한데 오직 성인지도를 실천하려는 군자만이 할 수 있다. 험난함에 빠져 있을 때 성인지도에 의지하면 장차 기뻐할 수 있다.
貞大人吉은 以剛中也오 정대인길은 강으로서 중이기 때문이요,
음으로 가려진 구이와 구오는 군자와 성인을 의미하는데, 곤함에 빠져도 모두 중을 얻었기 때문에 자기들의 임무 즉 성인은 하늘의 뜻을 자각하고 군자는 성인지도(중도)의 실천을 능히 잘 할수 있다는 것이다. 주역은 성인지도(중도)를 근원으로 군자지도(정도)를 실천하는 중정지도이다.
有言不信은 尙口乃窮也라 유언불신(말만 있고 믿지 않는다)은 입(말)만 숭상하면 이에(마침내) 궁해 진다는 것이다.
象曰 澤无水 困이니 君子 以하여 致命遂志하나니라 상왈 연못에 물이 없음이 곤이니, 군자는 이를 법 받아 천명에 이르러(다하여) 뜻을 이루려 한다. ------------------------------------------------------ 3 역왈 공이 높은 담위에서 새를 쏘아 맞추어 얻으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하니 준비를 갖추고 [本義] 括은 結礙也니라 此는 釋解上六爻義니라 雷水解卦는 어떤 卦인가? [傳] 解 序卦 蹇者 難也 物不可以終難 故受之以解 物无終難之理 難極則終散 解者 散也 所以次蹇也 爲卦 震上坎下 震 動也 坎 險也 動乎險外 出乎險也 故爲患難解散之象 又震爲雷 坎爲雨 雷雨之作 蓋陰陽交合 和暢而緩散 故爲解 解者 天下患難解散之時也 解卦의 象을 문왕이 풀이한 卦辭 解는 利西南하니 无所往이라 其來復이 吉하니 有攸往이어든 夙하면 吉하리라 해는 서남이 이로우니(모든 것이 풀린 곳이니) 갈 필요가 없다. 그 되돌아옴이 길하니, 갈 바가 있거든 빨리 해야 길하다. 巽, 離(남), 昆, 兌(서)는 음(획이 짝수)으로 서남인데, 離는 진리 兌는 기쁨으로 서남은 진리로써 기뻐하는 곳이므로 갈 필요가 없다는 의미, 그렇다고 자만이나 방심하지 말고 갈 바가 생기면 빨리 가야한다는 것이다. 彖曰 解는 險而動이니 動而免乎險이 解라 解利西南은 往得重也오 其來復吉은 乃得中也오 有攸往夙吉은 往有功也라 天地解而雷雨作하고 雷雨作而百果草木皆甲拆하나니 解之時 大矣哉라 단 왈, 해는 險하고 動하니, 동하여 험함에서 면함이 해이다. 해리동남은 가서 무리를 얻음이요, 기래복길은 이애 중을 얻음이요, 유유왕숙길은 가서 공이 있음이다. (성인의 도를 실천하여 해결하는 공) 천지가 풀림에 우뢰와 비가 일어나고, 우뢰와 비가 일어남에 백과초목이 모두 갑탁(껍질이 터져서 싹이 나니)하나니, 해의 때가 크도다. 공자가 뇌수해괘의 괘상을 보고 풀이한 것 --------------------------------------------------------------------------
4 子曰 小人은 不恥不仁하며 不畏不義라 不見利면 不勸하며 不威면 不懲하나니 小懲而大誡가 此小人之福也라 易曰屨校하야 滅趾니 无咎라하니 此之謂也라 자왈 소인은 불인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불의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이익을 보지 않으면 권면하지 않으며, 위엄으로 하지 않으면 징계되지 않으니, 조금 징계하여 크게 경계시킴이 소인의 복이다. 역왈, 족쇄로 발꿈치를 멸하니 허물이 없다, 하니 이를 말한 것이다.
[本義] 此는 釋噬嗑初九爻義 니라
善不積이면 不足以成名이오 惡不積이면 不足以滅身이니 小人은 以小善으로 爲无益而弗爲也하며 以小惡으로 爲无傷而弗去也라 故로 惡積而不可掩이며 罪大而不可解니 易曰 何校하야 滅耳니 凶이라하니라 선이 쌓이지 않으면 이름을 이룰 수 없고, 악이 쌓이지 않으면 몸을 멸할 수 없으니, 소인은 작은 선으로써 무익하다 하여 하지 않으며, 작은 악으로써 상함이 없다 하여 버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악이 쌓여서 숨길 수 없고, 죄가 커져서 풀 수가 없으니, 역왈, 항쇄를 메서 귀를 멸하니 흉하다, 하였다.
[本義] 此는 釋噬嗑上九爻義니라 화뢰서합괘는 어떤 괘인가?
화뢰서합괘는 입을 상징하는 산뢰이괘에서 왔으니 진리의 자각이 어려움을 방해물이 들어 있는 음식물(94의 양)과 죄인의 교화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다 모든 방해를 물리치고 합동하는 것이 서합괘의 뜻이다 천지합덕(천지합일, 천인합일)으로 천지지도를 자각하는 것이다
噬嗑은 亨하니 利用獄하니라 서합은 형통하니 옥을 이용함이 이롭다.
彖曰 頥中有物일새 曰噬嗑이니 噬嗑而亨하니라 剛柔分하고 動而明하고 雷電合而章하고 柔得中而上行하니 雖不當位나 利用獄也니라 단왈, 턱 가운데 물건이 있음을 일러 서합이니, 씹어 합하여 형통하다. 강(진괘)과 유(리괘)가 나누어지고, 동하면 밝고, 우뢰와 번개가 합하여 빛나고, 유(62와 65)가 득중하고 위에 올라가니(65) 비록 마땅한 자리(不中)가 아니나 옥을 사용함이 이롭다.
象曰 雷電 噬嗑이니 先王 以하야 明罰勅法하니라 상왈, 우뢰와 번개가 서합이니, 선왕이 이를 법 받아 벌을 밝히고 법을 제정했다. ------------------------------------------------------------------ 5 자왈, 위태할까 염려함은 그 지위를 편안히 하는 것이요, 망할까 염려함은 그 있는 것을 보존하는 것이요, 어지러울까 염려함은 그 다스림이 있는 것이다. 이런 까닭에 군자는 편안해도 위태로움을 잊지 않고, 보존 되여도 망할 것을 잊지 않고, 다스려져도 어지러움을 잊지 않는다. 이 때문에 몸이 편안하고 나라가 보존될 수 있으니, 역 왈, 망할까 망할까하고 두려워해야 뽕나무에 덩굴로 매어놓은 듯 튼튼하다. [本義] 此는 釋否九五爻義니라 천지비괘는 어떤 괘인가. 천지비괘는 천지가 不通 不交하여 만물이 不通된 세상을 말한다. 否之匪人이니 不利君子貞하니 大往小來니라 匪人은 독선 아집 고정관념 편견에 빠진 사람을 칭하며 군자의 말이 먹히지 않는다. 아무리 좋은 말이라도 먹히지 않는다. 彖曰 否之匪人不利君子貞大往小來는 則是天地不交而萬物不通也며 上下不交而天下无邦也라 內陰而外陽하며 內柔而外剛하며 內小人而外하니 小人道長하고 君子道消也라 백이숙제의 경우 녹봉으로 영화롭게 하지 않았다는 것이지 이것을 달리 해석하는 사람이 있음 ---------------------------------------------------------------------------- 6 子曰 德薄而位尊하며 知小而謀大하며 力小而任重하면 鮮不及矣나니 易曰鼎折足하야 覆公餗하니 其形渥이라 凶이라하니 言不勝其任也라 자왈, 덕이 박한데 지위는 높고, 지혜는 적은데 꾀함이 크고, 힘이 적은데 짐이 무거우면, (화가) 미치지 않을 이가 드물다. 역 왈, 솥이 발이 부러져 공의 죽을 뒤집어쓰니 그 얼굴이 젖어 흉하다, 하니 그 임무를 이기지 못함을 말하였다.
[本義] 此는 釋鼎九四爻義니라 화풍정괘는 어떤 괘인가? 序卦에 물건을 변혁함은 가마솥 만함이 없으므로 혁괘 다음으로 정으로써 받는다.(革物者 莫若鼎 故受之以鼎)
鼎은 元吉亨하니라 彖曰 鼎은 象也니 (성인의 도에) 겸손하니 귀와 눈이 총명하고, 유가 나아가 위로 행하고, 중을 얻어 강에 응한다. 이로써 크게 형통하다. 유학에서 말하는 성인은 상황오제부터 공자에 이르는 15성인을 말함. 주역에서 겸손에 관한 괘는 손괘와 겸괘가 있는데, 겸괘는 사람에 대한 겸손(치자의 겸손 稱物平施)이고 손괘는 하늘에 대한 겸손 申命行事이다. 象曰 木上有火 鼎이니 君子 以하야 正位하야 凝命하나니라 음식을 익혀 상제님께 천제를 지내고 성현을 길러 천명을 수행한다. ------------------------------------------------------------------------------ 7 공자 왈, 기미를 앎이 신묘한 것이다. 군자는 위로 사귀되 아첨하지 않고, 아래로 사귀되 함부로 하지 않으니, 그 기미를 알고 있는 것이다. 기미는 동함이 은미한 것으로, 길(흉)이 먼저 나타나는 것이니, 군자는 기미를 보고 일어나서 종일 기다리지 않는다.
주역은 易簡 不易인 동시에 變易이므로 음양의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군자는 변화의 기미를 아는 사람이다. [本義] 此는 釋豫六二爻義니라 漢書에 吉之之間有凶字하니라 雷地豫卦는 어떤 卦인가? 진정한 기쁨이 무엇인가를 설명하고 있다. 문왕의 괘사 문왕 괘사를 공자가 주석한 것 공자가 괘상을 보고 기록한 것 ------------------------------------------------------------------------------------------ 8 공자 왈, 안씨의 아들은 거의 도에 가까울 것이다(여러 가지 기미에 가까이 한다). 불선이 있으면 일찍이 모른 적이 없고, 알면 일찍이 다시 행하지 않았다. 군자는 克己復禮를 하여 조짐만 보고도 선악을 분별하여 그 옳은 것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本義] 殆는 危也니라 庶幾는 近意니 言近道也니라 此는 釋復初九爻義니라 . 地雷復卦는 어떤 卦인가? 양이 사라짐이 지극하다가 다시 돌아옴은 군자의 도가 사라짐이 지극하다가 다시 자라나는 것이다. 절망은 영원한 것이 아니고 문왕이 풀이한 괘사 復은 亨하니 出入에 无疾하야 朋來라아 无咎리라 反復其道하야 七日에 來復하니 利有攸往이니라 복은 형통하니, 출입에 병이 없어서 벗이 와야(와도) 허물이 없다. 그 도를 반복하여 7일이면 돌아오니 갈 바를 둠이 이롭다. ) --> 문왕의 괘사에 공자의 주석 彖曰 復亨은 剛反이니 動而以順行이라 是以出入无疾朋來无咎이니라 反復其道七日來復은 天行也오 利有攸往은 剛長也일새니 復에 其見天地之心乎인저 단 왈, 복형은 강이 돌아오기 때문이니 동하여 순종으로 행하기 때문에, 出入无疾朋來无咎가 된 것이다. 反復其道七日來復은 하늘의 운행이요, 利有攸往은 강이 자라기 때문이니, 復에서 天地의 마음을 볼 수 있는 것이다. ) --> 공자가 풀이한 괘상 象曰 雷在地中이 復이니 先王 以하야 至日에 閉關하야 商旅 不行하며 后不省方하니라 상 왈, 우뢰가 땅 가운데 있음이 복이니, 선왕은 이를 법 받아 동짓날에 관문을 닫아 장사와 여행이 행해지지 않게 하며 임금은 사방을 시찰하지 않는다. ) --> 주공이 풀이한 초구 효사 初九는 不遠復이라 无祗悔니 元吉하니라 초구는 머지않아 회복함이다. 후회에 이름이 없으니 크게 길하다. 공자가 주공의 초구 효사를 풀이한 것 象曰 不遠之吉은 以脩身也라 상 왈, 불원지길은 이로써 몸을 닦는 것이다. ------------------------------------------------------------------------------------------ 9
[출처] 계사전 하 1-2장|작성자 주양일 |
'周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第八章 (0) | 2018.07.15 |
---|---|
[스크랩] 계사상전 第九章~第十二章 (0) | 2018.07.15 |
[스크랩] 계사전 하 3-5장 (0) | 2018.07.15 |
[스크랩] 계사 하편(繫辭 下篇) (0) | 2018.07.15 |
[스크랩] 설괘전(說卦傳) 상 (0) | 2018.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