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봉의 漢詩 이야기

산영루

bindol 2020. 12. 30. 08:50

김태봉 교수의 한시이야기

▲ 김태봉

산이 가장 아름다운 철은 언제일까?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가을을 꼽는 사람이 가장 많을 것이다.

낙엽이 쌓이고 울긋불긋 단풍이 든 가을 산이야말로 역대로 시인 묵객들을 매료시키기에 충분하였다.

가을 풍광이 좋기로 유명한 산들이 수도 없이 많지만,

서울 북쪽 울타리 노릇을 하는 북한산도 그 중 하나로 지목되어 왔다.

조선(朝鮮)의 시인 이덕무(李德懋)는 20대 초반 젊은 나이에 두 명의 지인(知人)들과

삼 일간 북한산 안에 있는 열두 개의 사찰을 유람하고 돌아왔는데,

그때가 마침 가을이었다. 북한산의 가을 풍광에 매료된 그는 꿈속에 북한산이 나타날 정도였다고 한다.

 

그의 시 `산영루'는 이때의 감흥을 담은 것이다.

 

산영루(山映樓)

寒木深山動九秋(한목심산동구추) 차가운 숲 깊은 산 가을이 서렸는데
石橋東畔得高樓(석교동반득고루) 돌다리 동쪽 언덕 높은 누각 서 있네
漱泉已有翛然意(수천이유소연의) 샘물에 양치질하니 속세를 벗어난 듯
休向人間說此遊(휴향인간설차유) 이 같은 신선놀음 남에게 말하지 마소



음력 9월이면 늦가을이다. 시인은 늦가을에 북한산을 찾은 것이다

산속은 늦가을 찬 기운이 가득하였는데, 산이 깊어질수록 찬 기운이 더욱 심해졌다.

얼마쯤 갔을까? 돌다리가 나타나더니, 그 동쪽 언덕에 높은 누대가 보였는데,

말로만 듣던 산영루(山映樓)라는 누대였다.

누대가 들어서 있는 곳의 풍치는 그야말로 별유천지비인간(別有天地非人間) 그 자체였다.

사람 사는 세계에서는 있을 것 같지 않은 비경(秘境)이 펼쳐져 있었던 것이다.

그곳에 샘이 하나 있었고, 시인은 그 샘물을 떠서 양치하였는데,

이것은 단순한 양치가 아니었다. 그것은 속세의 때를 벗겨 내는 의식처럼 느껴졌다.

양치를 마치고 나자, 시인은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세계에 와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사람 사는 세상이 아닌, 신선이 거처하는 곳에 온 느낌을 받은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감동의 와중에도 시인의 장난기는 사라지지 않았다.

함께 간 일행들에게 신신당부하기를,

이곳 선경(仙境)에서 나가 사람 사는 곳으로 돌아가면 절대 여기서 본 것을 말하지 말라고 하였다.

다른 사람들이 들으면 이곳을 찾아와 보는 것이 싫고, 혼자만 보고 싶다고 너스레를 떤 것이다.

늦가을에는 산에 꼭 가보아야 한다.

낙엽 쌓이고 단풍이 물든 산속은 고단한 현실을 잊게 하고 상처를 치유하는 강력한 힐링 공간이기 때문이다.

/서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김태봉의 漢詩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비 내린 날  (0) 2020.12.31
가을밤 친구에게  (0) 2020.12.30
가을날  (0) 2020.12.30
소나무와 국화  (0) 2020.12.30
낙엽의 시  (0) 2020.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