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 謂語助者(위어조자) 焉哉乎也(언재호야) (풍경소리)
謂 이를 위/ 語 말씀 어/ 助 도울 조/ 者 놈 자
■ 謂語助者(위어조자) : 어조사라고 일컫는 것은,
焉 어찌 언/ / 哉 어조사 재/ 乎 어조사 호/ 也 어조사 야
■ 焉哉乎也(언재호야) : 언(焉)· 재(哉)· 호(乎)· 야(也)이다.
125. 謂語助者 焉哉乎也(위어조자 언재호야)
: 문장의 토씨라고 일컫는 焉(언), 哉(재), 乎(호), 也(야)의 구실쯤은 내 천자문이 할 것이다.
유래 및 용례
말의 뜻을 도와 말을 만드는 데 쓰이는, 語助(어조)라고 일컫는 글자에는 焉(언), 哉(재), 乎(호), 也(야) 등이 있다. 어조사는 실질적인 뜻이 없고 다만 다른 글자의 보조로만 쓰이는 것이다. 虛字(허자), 虛辭(허사), 어조사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글귀를 성립시키고 말을 만들어 나가는 데 없어서는 아니 되는 글자들이 곧 언, 재, 호, 야 등의 글자 인 것이다. 이 외에도 於于者則(어우자즉)이나 而耶歟矣(이야여의) 등도 있다.
천자문의 마지막 구절에는 다음과 같은 일화가 전해집니다.
저자가 992개 글자의 문장을 완성했는데, 마지막 구절 8개 글자에서 막혔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깜빡 잠이 들었는데, 꿈속에 한 도인이 "다른 글자를 돕는 글자, 즉 어조사에는 언(焉) 재(哉) 호(乎) 야(也)가 있다"는 귀띔을 해주었다는 겁니다.
그리고, 마지막 구절에 대한 또 다른 해석을 소개합니다.
謂語助者 焉哉乎也 위어조자 언재호야
"나의 말(語)은 하늘이 도와서(助) 이른(謂) 것(者)이니, 이(焉)는 야(也)에서 비롯하니라.(哉)"
저자는 천명의 부름을 받고 가지만, 이 천자문이 훗날 사람들의 공부에 큰 기초가 되기를 바라는 심정을 나타냈다는 해석인바, '신(神)이 내린 문장'이라는 극찬을 받는 천자문이 별 의미 없는 어조사로 끝나는 것이 아니며,
잘 음미해보면 아래와 같은 깊은 뜻이 함축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1) 語는 言+吾로 '나의 말'을 뜻하며,
2) 助는 오복을 다 누리고 탈없이 글을 끝까지 마치게 해준 하늘의 순리와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뜻하고,
3) 천자문의 첫 글자가 天(하늘 천)이고 마지막 글자가 也(야)로서,
즉 글 전체가 "天也(하늘이라)"고 풀이되며, 하늘(天)의 이치가 땅(地)에서 완성되었다는 겁니다. 따라서, 마지막 구절의 깊은 뜻이,
"사람이 나서 천명이 부여해준 소명대로 잘 살았다면, 그 정신은 계속 이어질 것이며, 마치 자연의 사계절이 봄을 시작으로 하여 겨울로 끝나듯이, 끊임없이 순환. 반복한다!" 라는 그럴듯한 해석입니다.
그동안 공부하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螂丸集'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w normal (0) | 2021.09.23 |
---|---|
易 無思也 無爲也 寂然不動 感而遂通天下之故 非天下之至神 其孰能與於此 (0) | 2021.09.21 |
破廉恥漢(파렴치한) (0) | 2021.09.14 |
사주 使嗾, 교사 敎唆 (0) | 2021.09.11 |
夫志는 氣之帥也요 氣는… (0) | 2021.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