命: 목숨 명 世: 인간 세 之: 어조사 지 才: 재주 재
‘명세재(命世才)’라며 위나라를 창업한 난세의 영웅 조조를 품평한 교현(橋玄)의 말이다. “천하는 장차 혼란에 빠질 것인데 세상을 구할 만한 재목이 아니면 이를 구제할 수 없을 것이오. 그리고 천하를 안정시키는 일은 아마도 그대에게 달려 있을 것인저(天下將亂,非命世之才不能濟也,能安之者,其在君乎)(‘무제기(武帝紀)’편).” 교현은 조정에서 삼공(三公)을 지낸 관료였는데, 그가 무명(無名)인 조조에게 이런 평가를 내린 것은 조조의 앞날에 큰 보탬이 되었다. 어린 시절 끝도 없이 놀면서 숙부를 거짓말쟁이로 놀려주기도 한 조조. 그는 누구인가?
조조는 성(姓)은 조(曹)이고 휘(諱:고인이 된 제왕의 이름을 직접 부르지 않고 앞에 붙여 존경의 뜻을 표시하는 말)가 조(操)이며, 자(字)는 맹덕(孟德)이다. 한나라 때 상국(相國)을 지낸 조참(曹參)의 후예이고 조부 조등(曹騰) 역시 환관이었고 그의 아버지 조숭(曹嵩)도 환관이다. 어려서 눈치가 빠르고 권모술수와 임협방탕(任俠放蕩·사내다움을 뽐내며 멋대로 논다는 의미)의 기질이 강한 그를 알아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러나 교현의 이 말은 사실로 입증되었다. 나이 스물에 낭(郞)이 되었고 황건적의 난이 일어나자 기도위(騎都尉)에 임명되어 영천(潁川)의 황건적을 토벌했고, 이 일로 승진하여 제남국(濟南國)의 상(相·지방장관)이 되었다. 북방을 장악하고 있던 원소와의 관도대전을 승리로 이끌고, 능력 위주의 인재등용과 냉철한 국가 경영 지침을 견지하였기에 천하를 장악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는 임종하면서 “천하가 아직 안정되지 않았는데 또 고대의 규정에 따라 장례를 치를 수는 없다. 매장이 끝나면 모두 상복을 벗으라. 병사를 통솔하며 수비지에 주둔하는 자가 부서를 떠나는 일은 허락하지 않는다. 담당 관리는 각자 자신의 직무를 다하라. 시신을 쌀 때는 평상복을 사용하고, 금은보화를 묘에 넣지 말라”(무제기)는 영을 내렸으니, 진수의 총평처럼 조조야말로 “비범한 인물이며 시대를 초월한 영웅”이 아니겠는가. 잠룡 3인방들 중에 과연 누가 명세지재의 그릇을 가지고 있는가. 판단은 국민의 몫이다.
김원중 건양대 중국언어문화학과 교수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37>왕좌지재(王佐之才) (0) | 2021.10.29 |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38>이죄수주 인불원상(以罪受誅, 人不怨上) (0) | 2021.10.29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0>남귤북지(南橘北枳) (0) | 2021.10.29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1>교결호협(交結豪俠) (0) | 2021.10.28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142>세이(洗耳) (0) | 2021.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