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 없을 무 似: 같을 사 竊: 훔칠 절 부: 도끼 부
사람이 품었던 의심을 풀게 되면 모든 망상이 다 사라진다는 의미로, 의심암귀(疑心暗鬼)와 상대되는 말이다. 잘못된 선입견으로 판단을 그르치지 말라는 경고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열자(列子) 설부(說符) 편에 나온다.
“어떤 사람이 도끼를 잃어버리고는 그 이웃집 아들을 의심했다. 그의 걸음걸이를 보아도 도끼를 훔친 것 같고, 낯빛도 도끼를 훔친 사람 같고, 말씨도 도끼를 훔친 사람 같았다. 동작과 태도가 도끼를 훔친 사람 같았다. 얼마 지나서 골짜기를 파다 그 도끼를 찾았다. 다음 날 다시 그 이웃집 아들을 보니 동작과 태도가 도끼를 훔친 사람 같지 않았다(人有亡부者, 意其(린,인)之子. 視其行步, 竊부也 顔色, 竊부也 言語, 竊부也 動作態度, 無爲而不竊부也. 俄而D其谷而得其부, 他日復見其(린,인)人之子, 動作態度, 無似竊부者).”
사람은 어떤 일에 집착하게 되면 곧 편견을 가지고 모든 일이나 사람을 대하게 된다. 인간의 편견은 일상적으로 존재하는 것이고 피하기 힘든 것이기도 하다. 행동은 같지만 평가가 이처럼 다른 것은 편견이 얼마나 무서운 위력을 갖고 있는지 알려준다. 비슷한 사례는 한비자라는 책의 세난(說難) 편에도 나온다.
송나라에 한 부자가 있었는데 비가 내려 담장이 무너졌다. 아들이 말했다. “담장을 세우지 않으면 반드시 도둑이 들 것입니다.” 이웃의 부로(父老)도 똑같은 말을 했다. 저녁이 되어 정말로 재물을 많이 잃었다. 그러자 집안사람들은 그 아들에 대해선 매우 지혜롭다고 여겼으나, 이웃의 노인에 대해선 도둑이 아닌지 의심했다(宋有富人, 天雨牆壞. 其子曰, 不築, 必將有盜. 其(린,인)人之父亦云. 暮而果大亡其財. 其家甚智其子, 而疑(린,인)人之父).
말로 표현되는 처세의 문제는 특히 군주를 상대하는 유세의 경우 더욱 더 극명한 결과로 도출되기 마련이다. 같은 말이라도 누구의 말이냐에 따라 받아들이는 사람의 판단은 정반대가 되기도 한다. 그러기에 평소에 상대에게 어떤 신뢰를 쌓아두느냐가 관건이 되는 법이다.
김원중 건양대 중국언어문화학과 교수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89>일명경인(一鳴驚人) (0) | 2021.10.30 |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90>변장자호(卞莊刺虎) (0) | 2021.10.30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92>낙화시절(落花時節) (0) | 2021.10.30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93>지려능리(砥려能利) (0) | 2021.10.30 |
[김원중의 한자로 읽는 고전]<94>조절간맹(蚤絶姦萌) (0) | 2021.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