多 彩
*많을 다(夕-6, 7급)
*빛깔 채(彡-11, 3급)
‘다채한 복장에 농염한 화장을 한 젊은 여인들의 무리’(유진오의 ‘화상보’)의 ‘다채’에는 소리 정보만 있고, 의미 정보는 없다. 뜻을 알려면 의미 정보가 들어 있는 ‘多彩’에 대해 샅샅이 분석해 봐야 한다. 한글은 음을 잘 알게 하고, 한자는 뜻을 잘 알게 하니까!
多자는 갑골문에 등장될 정도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지만, 그 자형 풀이에 대하여는 정설이 없다. 두 글자가 중첩되어 있기에 ‘중첩된’(duplicated)이란 뜻으로 쓰였고, 다시 ‘많다’(plentiful)는 뜻으로도 확대 사용됐다.
彩자는 ‘빛깔’(a color)을 뜻하기 위한 것이었으니 빛 무늬 또는 터럭 무늬를 가리키는 彡(삼)이 의미요소로 쓰였고, 采(캘 채)는 발음요소다. 후에 ‘무늬’(a figure) ‘채색’(coloring; coloration)을 뜻하는 것으로 확대 사용됐다.
多彩는 ‘다양(多樣)한 빛깔[彩]’이 속뜻이기에 ‘여러 색채가 어울려 호화로움’을 이르기도 한다. 세상살이 힘들고 혼란스럽다는 한탄을 많이 듣다 보니, 문득 옛 선현의 말이 떠오른다.
“예로부터
태평할 때는 적었고,
혼란한 때가 많았다.”
自古治時少而亂時多.
자고치시소이란시다
- 송나라 歐陽修구양수.
'전광진의漢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017] 遠征(원정) (0) | 2021.11.12 |
---|---|
전광진의 '하루한자&격언'[1016] 兵役(병역) (0) | 2021.11.09 |
전광진의 '하루한자& 격언'[1014] 語弊(어폐) (0) | 2021.11.06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013] 才幹(재간) (0) | 2021.11.04 |
전광진의 '하루한자와 격언'[1012] 幕間(막간) (0) | 2021.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