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그렇구나

隔靴搔癢

bindol 2022. 3. 18. 10:03

隔靴搔癢

신을 신고 발바닥을 긁는다는 뜻에서, 

필요한 것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해 성에 차지 않음을 이르는 

 

``````````````````````````````````````

격화소양 (隔靴搔痒) 
 
힘써 노력하지만 얻는 성과는 아무 것도 없다. 
 
隔(사이 뜰 격)
靴(신 화)
搔(긁을 소)
痒(가려울 양) 


 
신발을 사이에 둔 채(隔靴) 발바닥의 가려운 곳을 긁으면(搔痒) 시원할 리 없다. 힘써 노력하지만 얻는 성과는 아무 것도 없거나 일이 철저하지 못해서 성에 차지 않을 때 흔히 이 말을 쓴다. 답답한 일이 많았든지 비슷한 속담이 많다. ‘신 신고 발바닥 긁기’, ‘버선 신고 발바닥 긁기’, ‘구두 신고 발등 긁기’, ‘옷 입고 가려운 데 긁기’ 등 숱하다. 정작 본인은 어쩔 수 없이 신발을 긁고 있지만 옆에서 보면 임시로 때우거나 신발 벗는 꾀도 못내는 어리석은 행위로 보인다. 
 
이 말은 불가에서 주로 사용됐다고 한다. ‘방망이를 들어 달을 치고 가죽신을 신고 가려운 곳을 긁는다(捧捧打月 隔靴爬癢/ 봉봉타월 격화파양)’는 말이나 ‘당에 오르니 어떤 사람이 빗자루를 들고 상을 두드리니 정말 가죽신을 신고서 가려운 곳을 긁는 것과 같다’라는 구절이 보인다. 또 ‘시에 제목이 드러나지 않는 것은 가죽신을 신고 가려운 곳을 긁는 것과 다름없다)’라는 말은 ‘詩話總龜(시화총구)’에 있다. 
 
조선 후기의 학자이며, 노론의 영수인 宋時烈(송시열) 같은 대학자도 학문의 미흡함을 隔靴搔痒이라 토로한다. 孟子(맹자)에서 浩然之氣(호연지기)가 나오는 浩然章(호연장)을 500번, 600번 읽으면서도 의미를 알 수 없다고 하면서 안타까워하는 재미있는 내용이 ‘宋子大全(송자대전)’에 나온다. 이 책은 尤庵(우암) 송시열을 孔子(공자), 朱子(주자)에 버금가는 성인으로 존칭하여 송자라 한 데서 비롯한 것이다.

'아 그렇구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望岳 / 杜甫  (0) 2022.03.22
夕陽西下轉依依  (0) 2022.03.21
光化門  (0) 2022.03.08
君子有九思  (0) 2022.03.03
駑馬十駕  (0) 2022.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