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속의 삶의 智慧

古典名文(28)

bindol 2022. 3. 23. 14:20

尙儉者는 開福之源이요 好奢者는 起貧之兆니라.


[독음] 상검자개복지원 호사자기빈지조
[출전] 위서(魏書)-중국25史의 하나

[해석]검소함을 숭상하는 것은 복을 여는 근원이 되고 사치스러움을 좋아하는 것은 가난함을 일으키는 조짐이다.

□字義
•尙(오히려 상/우러를 상) 마음속으로 공경하여 떠받들다.
•儉(검소할 검) 사치하지 않고 꾸밈없이 수수하다.
•開(열 개) 닫힌 것이 열리다.
•源(근원 원) 사물이 비롯되는 근본이나 원인
•好(좋을 호) 좋은 느낌을 가지다.
•奢(사치할 사) 필요 이상의 돈이나 물건을 쓰거나 분수에 지나친 생활을 함
•起(일어날 기) 어떤 일이 생기다.
•貧(가난할 빈) 살림살이가 넉넉하지 못함
•兆(조짐 조) 나쁜 일이 생길 기미가 보이는 현상.

▶ [어구풀이]
•尙儉者(상검자) 주어이다. 검소함을 강조
•開福之源(개복지원) 결과를 나타냄. 근검절약하기에 복됨이 열리는 것이다.
•好奢者(호사자) 주어이다. 지나친 과시욕에서 생기는 우월감이다.
•起貧之兆(기빈지조) 결과를 나타냄. 가난으로 이어지는 징조다

▣도움말: 지나친 사치는 가난을 앞당긴다.

28.尙儉者는 開福之源이요 好奢者는 起貧之兆니라.
[독음] 상검자개복지원 호사자기빈지조
[출전] 위서(魏書)-중국25史의 하나

[해석]검소함을 숭상하는 것은 복을 여는 근원이 되고 사치스러움을 좋아하는 것은 가난함을 일으키는 조짐이다.

□字義
•尙(오히려 상/우러를 상) 마음속으로 공경하여 떠받들다.
•儉(검소할 검) 사치하지 않고 꾸밈없이 수수하다.
•開(열 개) 닫힌 것이 열리다.
•源(근원 원) 사물이 비롯되는 근본이나 원인
•好(좋을 호) 좋은 느낌을 가지다.
•奢(사치할 사) 필요 이상의 돈이나 물건을 쓰거나 분수에 지나친 생활을 함
•起(일어날 기) 어떤 일이 생기다.
•貧(가난할 빈) 살림살이가 넉넉하지 못함
•兆(조짐 조) 나쁜 일이 생길 기미가 보이는 현상.

▶ [어구풀이]
•尙儉者(상검자) 주어이다. 검소함을 강조
•開福之源(개복지원) 결과를 나타냄. 근검절약하기에 복됨이 열리는 것이다.
•好奢者(호사자) 주어이다. 지나친 과시욕에서 생기는 우월감이다.
•起貧之兆(기빈지조) 결과를 나타냄. 가난으로 이어지는 징조다

▣도움말: 지나친 사치는 가난을 앞당긴다.

'古典속의 삶의 智慧'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古典名文(30)  (0) 2022.03.23
古典名文(29)  (0) 2022.03.23
古典名文(27)  (0) 2022.03.23
古典名文(26)  (0) 2022.03.22
古典名文(24)  (0) 2022.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