蓬生麻中이면 不扶自直이라.
[독음] 봉생마중 불부이직
[출전] 사자소학(四字小學)-교우(交友)
[해석] 쑥이 삼 밭 가운데서 자라면 붙들어주지 않아도 스스로 곧아진다. (교우관계: 마(麻)은 불량학생, 쑥은 그들에 휩쓸리어 타락에 빠짐을 비유)
□字義
•蓬(쑥 봉) 쑥. 높이는 60~120cm
•生(날 생) 자라다
•麻(삼 마) 삼은 높이는 온대에서 3미터, 열대에서는 6미터 정도 자라며 줄기의 껍질은 섬유의 원료로 쓰이는데 줄기에서 나오는 진에는 마취 물질이 들어 있다
•中(가운데 중) 그 속에서
•扶(도울 부) 도와주다 붙들어 주다
•自(스스로 자) ‘스스로, 저절로‘ 부사로 쓰였다.
•直(곧을 직) 휘어지지 않고 일직선으로 자람
▶ [어구풀이]
•蓬生麻中(봉생마중) 삼 밭 속에서 난 쑥, 환경이 미친 영향
=近墨者黑(근묵자흑) 먹을 가까이 하면 검어진다.
•不扶自直(불부자직) 도와주지 않아도 절로 곧게 자란다는 뜻
▣도움말: 실제 환경요인의 중요성이나 벗과의 교제를 경계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어 온 구절이다.
※'삼밭 속의 쑥대'가 맹목적으로 삼을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 쑥이 변화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삼이 조금 양보해서 함께 따뜻한 햇볕 아래에서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이 된다면 그것이 훨씬 가치 있는 건강한 사회가 아닌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