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해훈의 고전 속

조해훈의 고전 속 이 문장 <136> 우언(寓言)의 글쓰기로 자녀 훈계한 강희맹

bindol 2022. 6. 1. 05:38

증자는 노둔했기 때문에 그 경지에 올랐다

 

- 曾子竟以魯得之·증자경이로득지



노(魯)나라 백성에게 아들 세 명이 있었다. 갑은 성실했으나 다리를 절고, 을은 기이한 걸 좋아했지만 온전하며, 병은 경솔하고 가볍지만 남보다 민첩하고 용감했다. 집에서 힘쓰는 일은 병이 언제나 으뜸이고 을이 다음이었다. 갑은 열심히 일해야만 겨우 제게 주어진 걸 채워 나태할 수 없었다. … 아버지(노나라 백성)가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런(세 형제가 등산한 것) 일이 있었구나. 자로는 용맹했고, 염구는 재주가 있었지만 끝내 공자의 경지에 도달하지 못했다. 증자는 노둔했기 때문에 그 경지에 올랐다. 너희는 명심해라.”

魯民有子三人焉, 甲沈實而跛, 乙好奇而全, 丙輕浮而捷勇過人, 居常力作, 丙居常最, 而乙次之, 甲辛勤服役, 僅得滿課而無所怠. … 父曰: “信有若等事也. 子路之勇, 冉求之藝, 而竟未達夫子之墻, 曾子竟以魯得之, 小子識之.”(노민유자삼인언, 갑심실이파, 을호기이전, 병경부이첩용과인, 거상력작, 병거상최, 이을차지, 갑신근복역, 근득만과이무소태. … 부왈: “신유약등사야. 자로지용, 염구지예, 이경미달부자지장, 증자경이로득지, 소자식지.”

위 문장은 조선 전기 문신인 강희맹(1424~1483)의 ‘등산설(登山說)’로, 그의 문집인 ‘사숙재집(私淑齋集)’ 권9에 수록된 내용 중 앞부분과 뒷부분이다. 가운데 빠진 내용을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솝 우화’처럼 능력이 떨어지더라도 꾸준히 노력하는 사람이 먼저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삼형제가 중국 태산의 일관봉(日觀峰)에 오르는 내기를 했다. 그런데 다리를 저는 큰 형인 갑이 먼저 봉우리에 올라 일출을 봤다. 딴 곳에 정신을 파는 동생들과 달리 자신의 부족함을 알기에 쉬지 않고 산을 올랐기 때문이었다.

어제 우리나라 최고 대학을 나온 지인이 방문해 차를 한잔 했다. 아들과의 대립적인 다툼과 감정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 아들은 재수해 등위가 낮은 대학에 겨우 들어갔고 졸업한 뒤에도 탄탄한 직장을 구하지 못해 화가 난다고 했다. 위 글을 지은 강희맹도 아들 때문에 걱정이 있었던 모양이다. 그는 직접 야단치지 않고 우언의 글을 통해 교육했다. 부모라도 자식에게 바로 타이르면 감정이 서로 상하고 사이가 틀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시인·고전인문학자·목압서사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