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8) 화피초목化被草木 뢰급만방賴及萬方
▶ 훈음訓音
化 될 화 / 被 입을 피 / 草 풀 초 / 木 나무 목
賴 힘입을 뢰 / 及 미칠 급 / 萬 일만 만 / 方 모 방
▶ 풀이
덕화(化)가 풀(草)과 나무(木)에도 입혀지고(被)
힘입음(賴)이 모든 곳(萬方)에 미친다(及).
▶ 자원字源
化 : 사람 인亻, 비수 비匕(사람 인人의 변형)가 결합했다. 산 사람과 죽은 사람을 함께 그려 윤회輪廻를 나타낸 데서 '되다', '바뀌다' 등을 뜻한다.
被 : 옷 의衤(衣), 가죽 피皮(가리다)가 결합했다. 옷을 입는다는 데서 '입다'를 뜻한다.
草 : 풀 초艹(=艸), 이를 조早(수풀 위로 떠오르는 해, 조→초)가 결합했다. 수풀 위로 떠오르는 해가 풀을 선명히 비치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풀'을 뜻한다.
木 : 땅에 뿌리를 박고 선 나무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나무'를 뜻한다.
賴 : 조개 패貝(재물)와 어그러질 랄剌(다발을 잘라내다, 랄→뢰)가 결합했다. 돈 다발을 푼다는 데서 '힘입다', ‘의뢰하다’ 등을 뜻한다.
及 : 사람의 뒤에 손이 닿은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앞지른 사람을 따라 붙는 데서 ‘미치다’를 뜻한다.
萬 ; 집게나 꼬리를 번쩍 든 전갈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전갈이 알을 많이 낳는 데서 ‘많다’, ‘일만’ 등을 뜻한다.
方 : 양쪽에 손잡이가 달린 쟁기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밭을 갈 때는 소가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때문에 '방향', '모' 등을 뜻한다.
▶ 참고參考
도리가 있는 임금은 인애仁愛와 은덕恩德이 사물에 미쳐서, 봉황과 흰 망아지와 같은 것도 모두 제자리를 얻고 심지어 초목도 모두 교화를 입는다. 이에 힘 입음이 모든 곳에 미쳐서 어떠한 사물이라도 그 은택을 입지 않는 것이 없다. '곡식은 농부의 발자국 소리를 듣고 자란다'는 말이 있다. 이는 농부의 정성이 중요함을 강조한 것이지만, 치인治人의 관점에서 보면 군주가 인민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결국 인민의 생업과 연관되어 있음을 생각해볼 수 있다.
'千字文 工夫'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0) 공유국양恭惟鞠養 기감훼상豈敢毁傷 (0) | 2022.06.07 |
---|---|
(019) 개차신발蓋此身髮 사대오상四大五常 (0) | 2022.06.07 |
(017) 명봉재수鳴鳳在樹 백구식장白駒食場 (0) | 2022.06.07 |
(016) 하이일체遐邇壹體 솔빈귀왕率賓歸王 (0) | 2022.06.07 |
(015) 애육려수愛育黎首 신복융강臣伏戎羌 (0) | 2022.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