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토음독懸吐音讀
숙재남묘俶載南畝하고 아예서직我藝黍稷이라
▶ 훈음訓音
俶 비로소 숙 / 載 실을 재 / 南 남녘 남 / 畝 이랑 묘
我 나 아 / 藝 재주 예 / 黍 기장 서 / 稷 피 직
▶ 풀이
비로소(俶) 앞(南) 이랑(畝)을 일구고(載)
나(我)는 기장(黍)과 피(稷)를 심는다(藝).
▶ 자원字源
俶 : 사람 인亻과 아저씨 숙叔(콩깍지를 줍는 모습)이 결합했다. 어지럽게 흩어진 콩깍지를 정리하기 시작하는 사람이라는 데서 '비로소'를 뜻한다.
載 : 수레 거車와 어조사 재哉(창과 창술)가 결합했다. 수레에 무기를 싣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싣다'를 뜻한다. 짐을 실어야 출발한다는 데서 ‘시행하다’, '(밭을) 일구다' 등의 뜻으로도 쓰이게 됐다. 위 구절에서는 '일구다'의 뜻으로 쓰였다.
南 : 남쪽을 향해 난 출입구를 갖춘 움집이라는 데서 ‘남녘’을 뜻한다. 남쪽은 임금이 바라보는 방향이므로 '앞'을 뜻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조선왕조에서는 경상도의 동쪽을 경상좌도, 서쪽을 경상우도라고 불렀다.
畝 : 돼지해머리두亠(이랑), 밭 전田(고랑), 오랠 구久(밭두둑)가 결합했다. 갈아 놓은 밭의 모습을 나타낸 데서 '이랑', '고랑', '밭두둑', '밭 면적 단위' 등을 뜻한다. 과거에는 ‘무’라 읽다가 근래에 들어 ‘묘’로 바뀌어가고 있다.
我 : 삼지창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서로 같은 무기를 들고 싸웠다는 데서 ‘나’, ‘우리’ 등을 뜻한다.
藝 : 풀 초艹, 재주 예埶(쭈그리고 앉아 나무를 심는 모습), 이를 운云(흙 토土의 변형)이 결합했다. 흙에 초목을 심는 모습을 나타낸 데서 ‘심다’를 뜻하며, 초목을 심어 기르는 것처럼 재주를 기른다는 데서 ‘재주’를 뜻한다.
黍 : 벼 화禾와 물 수氺(열매가 산발적으로 맺힌 모습, 수→서)가 결합했다. 벼보다 산발적으로 열매가 맺히는 곡물이라는 데서 ‘기장’을 뜻한다. 참고로 기장은 마른 땅에서 잘 자라는 볏과 식물이다.
稷 : 벼 화禾와 날카로울 측畟(측→직)이 결합했다. 열매 껍질이 뾰족하게 솟아있는 곡물이라는 데서 ‘피’를 뜻한다.
▶ 참고參考
광주천자문과 석봉천자문에서는 위 구절의 남녘 남南이 ‘앞’을 뜻한다고 해석했다. 임금이 어좌御座에 앉아서 바라보는 방향이 남쪽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동쪽은 왼쪽, 서쪽은 오른쪽으로도 표현했다. 예를 들어 경상도의 동쪽을 경상좌도, 서쪽을 경상우도라고 했다.
'千字文 工夫'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5) 맹가돈소孟軻敦素 사어병직史魚秉直 (0) | 2022.06.18 |
---|---|
(084) 세숙공신稅熟貢新 권상출척勸賞黜陟 (0) | 2022.06.18 |
(082) 광원면막曠遠綿邈 암수묘명巖岫杳冥 (0) | 2022.06.17 |
(081) 치본어농治本於農 무자가색務玆稼穡 (0) | 2022.06.17 |
(080) 곤지갈석昆池碣石 거야동정鉅野洞庭 (0) | 2022.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