千字文 工夫

(089) 성궁기계省躬譏誡 총증항극寵增抗極

bindol 2022. 6. 18. 06:17

▶ 현토음독懸吐音讀

성궁기계省躬譏誡하고 총증항극寵增抗極하라

 




▶ 훈음訓音

省 살필 성 / 躬 몸 궁 / 譏 비웃을 기 / 誡 경계할 계
寵 사랑할 총 / 增 더할 증 / 抗 겨룰 항 / 極 극진할 극


▶ 풀이

자신(躬)을 비웃거나(譏) 경계할 것(誡)을 살피고(省)
은총(寵)이 더하면(增) 극도에 이름(極)을 막는다(抗).


▶ 자원字源

省 : 적을 소少와 눈 목目이 결합했다. 작은 부분까지 꼼꼼하게 본다는 데서 '살피다'를 뜻하며 이때는 '성'으로 발음한다. 작은 부분은 생략하고 넘어간다는 데서 '덜다'를 뜻하며 이때는 '생'으로 발음한다.
躬 : 몸 신身과 활 궁弓(굽다 → 공손한 자세)이 결합했다. 몸을 굽어 공손한 자세를 취한 모습을 나타낸 데서 '몸'을 뜻한다.
譏 : 말씀 언言과 몇 기幾(옷감을 짜는 베틀)가 결합했다. 옷감을 짜듯 꼼꼼하게 하는 말이라는 데서 '나무라다', '비웃다' 등을 뜻한다.
誡 : 말씀 언言과 경계할 계戒(창을 양손으로 잡은 모습)가 결합했다. 말로 경계한다는 데서 '경계하다'를 뜻한다.
寵 : 집 면宀과 룡 룡龍(비범한 사람)이 결합했다. 궁 안의 비범한 인재를 각별히 여긴다는 데서 ‘사랑하다’를 뜻한다.
增 : 흙 토土와 일찍 증曾(찜통을 겹쳐놓은 모습)이 결합했다. 흙을 층층이 겹친다는 데서 '더하다'('증'으로 발음) 또는 '겹치다'('층'으로 발음)를 뜻한다.
抗 : 손 수扌와 높을 항亢(나무 위로 오르는 모습 → 오르다)이 결합했다. 손을 높이 들어 올려 대항한다는 데서 ‘겨루다’를 뜻한다.
極 : 나무 목木(기둥)과 빠를 극亟(땅에서 하늘까지 다다름)이 결합했다. 기둥이 땅에서 하늘까지 다다른 모습을 나타낸 데서 ‘다하다’를 뜻한다.


▶ 참고參考

누군가 자신을 비웃거나 경계하지 않는지 항상 살펴 벼슬길에 나가는 것을 어렵게 여기고 물러나기를 쉽게 해야 한다. 임금의 총애가 더하여 직위가 극도에 이를수록 근심해야 하니, 옛사람들이 영화로울수록 위태로움을 생각한 것은 이 때문이었다.

율곡의 <경연일기>에서는 관료들이 자신에 대한 비판이 조금이라도 가해지면 가차 없이 자리에서 물러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물론 율곡도 그 중 한 사람이었다.

조선시대에는 벼슬이 높은 것보다 장원급제 후 고향으로 내려가 교육에 힘쓰는 것을 더욱 높이 쳤다. 그것은 아마 유학이 인민을 교화하는 학문이기 때문일 것이다. <표해록>의 저자로 유명한 최부의 아버지 최택이 그런 인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