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에서 나오면 날마다 봄옷 저당 잡히고
매일 강가로 나가 잔뜩 취해 돌아온다
가는 곳마다 으레 술빚이 깔리는 건
인생 일흔 살기가 예부터 드물어서지
꽃밭 속 오가는 호랑나비 다문다문 보이고
물 위 스치며 잠자리들 느릿느릿 난다
봄날의 풍광이여, 나와 함께 흐르자꾸나
잠시나마 서로 즐기며 외면하지 말고
朝回日日典春衣
每日江頭盡醉歸
酒債尋常行處有
人生七十古來稀
穿花(겹,협)蝶深深見
點水청(전,정)款款飛
傳語風光共流轉
暫時相賞莫相違
―‘곡강(曲江)’ 두보(杜甫·712∼770)
조회가 끝나는 대로 강가로 나가 술에 젖는다. 무일푼이 되면 입은 옷을 저당 잡히고라도 마신다. 급기야 외상술로 이어지니 도처에 술빚이 깔리는 건 예사. 왜 이토록 음주에 목매는가. 시인은 ‘인생 일흔 살기가 예부터 드물었다’는 핑계로 술빚의 당위성을 강변한다. 길지 않은 인생, 삶의 신고(辛苦)에 시달리는 마당에 술빚 걱정까지 하며 살 수는 없지 않느냐고 한탄한다. 두보의 험난한 인생 경로를 되짚어 보면 자포자기 같은 이 고백이 영 생뚱스럽지만은 않다. 취한 시인의 시야에 잡힌 건 나비와 잠자리. 저들의 아름다운 자유가 바야흐로 봄 풍광에 녹아들고 있다. 잠깐 동안의 즐거움, 잠깐 동안의 탐닉일망정 서로 외면하지 말자는 시인의 소망은 그래서 더 간곡하다.
시인의 조부와 부친이 모두 예순 무렵에 세상을 떴고, 당대 묘지명에 새겨진 5000여 명의 평균 나이가 59.3세라는 기록도 있으니 ‘고희(古稀)’란 말이 결코 과장은 아니다. 이 말이 괜히 성어로 통용되었겠는가. 그렇더라도 당시 조정의 특별 예우를 받으려면 여든은 넘겨야 했다. 여든부터는 곡식과 비단이 내려졌고, 열 살 단위로 종6품에서 종3품에 이르는 명예 관직까지 부여되었으니 말이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
曲江(곡강) - 杜甫(두보)
朝回日日典春衣 조회일일전춘의 : 조정서 퇴청 할 때면 날마다 봄옷 전당 잡혀
每日江頭盡醉歸 매일강두진취귀 : 곡강가에서 술 마시고는 취해서 돌아온다네
酒債尋常行處有 주채심상행처유 : 외상술 마시는 것 어디에나 다 있는 일인데
人生七十古來稀 이생칠십고래희 : 사람이 칠십 살기 드무니 술이나 마셔야지
穿花蛺蝶深深見 천화협접심심견 : 꽃 속에 꿀을 빠는 호랑나비 꽃 깊숙이 보이고
點水蜻蜓款款飛 점수청정관관비 : 강물에 꼬리 담그며 잠자리 유유히 날고 있네
傳語風光共流轉 전어풍광공류전 : 풍광에 전하리 나와 함께 흘러 흘러가자고
暫時相賞莫相違 잠시상상막상위 : 잠시나 서로 잘 지내 외면하는 일 없도록 하세나
☞ 杜甫
중국 唐나라 盛唐 때 李白과 함께
詩聖으로 일컬어져 온 너무나 유명한 詩人이다.
자는 子美, 호는 少陵, 과거에 낙방한 뒤 30대 중반까지는
방랑생활을 하면서 李白. 高適과 친하게 지냈다.
44세 때 안록산의 난을 겪은 후에 숙종에게 가서
좌습유라는 벼슬을 하게 되었으나,
너무나 강직하고 정직 한 성품 때문에
다른 대신들의 질시를 받아 지방 관리로 좌천되어
고난에 찬 생활을 하게 되었다.
이 "曲江" 은 두보가 47세 되던 758년에 지은 것으로써,
이글에서
그 유명한 "人生七十古來稀" (인생칠십고래희)라는 말을 남겼다.
'이준식의 한시한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인과 도적[이준식의 한시 한 수]〈169〉 (0) | 2022.07.15 |
---|---|
뭉클한 우애[이준식의 한시 한 수]〈168〉 (0) | 2022.07.08 |
무욕의 에고이즘[이준식의 한시 한 수]〈166〉 (0) | 2022.06.24 |
초여름의 정취[이준식의 한시 한 수]〈165〉 (0) | 2022.06.17 |
가슴앓이[이준식의 한시 한 수]〈164〉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