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식의 한시한수

간절한 소망[이준식의 한시 한 수]〈175〉

bindol 2022. 8. 26. 04:56

간절한 소망[이준식의 한시 한 수]〈175〉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입력 2022-08-26 03:00업데이트 2022-08-26 03:19
 

垂鞭信馬行  수편신마행
數里未鷄鳴  수리미계명
林下帶殘夢  임하대잔몽
葉飛時忽驚  엽비시홀경
霜凝孤鶴逈  상응고학형
月曉遠山橫  월효원산횡
僮僕休辭險  동복휴사험
時平路復平  시평로부평

 

채찍 떨군 채 말에게 길 맡겼는데
몇 리를 가도록 닭 울음조차 들리지 않는다
비몽사몽 숲길을 지나다가
날아온 낙엽에 화들짝 놀라 깨니
서리 엉기는 때 저 멀리 홀로 나는 학
희뿌옇게 새벽달이 걸린 먼 산
아이야  길 험하다 불평하지 마라
시절도 태평하고 길 또한 평탄하거늘

―‘새벽길(조행·早行)’ 두목(杜牧·803∼852)

 

새벽의 정적을 가르며 길을 나선 시인. 말에게 길을 맡긴 채 꾸벅꾸벅 졸며 간다.

‘몇 리를 가도록 닭 울음조차 들리지 않으니’ 인가 하나 없는 산길이며 들길을 꿈결처럼 헤매는지도 모른다.

날리는 낙엽에 화들짝 놀라 깬 시인의 눈에 든 것은 저 멀리 날고 있는 학 한 마리와 먼 산에 걸린 새벽달.

여기저기 서리가 엉겨 붙은 이 황량한 새벽길이 얼마나 고달팠을까.

 

시동(侍童)이 투덜투덜 불평을 쏟아낸 모양이다. 선잠을 깨 새벽같이 끌려 나온 것도 못마땅하고,

가도 가도 사람 하나 보이지 않는 적막한 나들이가 힘겹기도 했을 것이다.

한데 스스로를 외로운 학에 견줄 만큼 고독했을 시인이 왜 생뚱스레 ‘시절도 태평하고 길 또한 평탄하다’고 했을까.

시인의 이 위로 아닌 위로가 아이는 의아했을 것이다. 자신을 다독이려고 농담을 던진 것일까.

아니면 ‘시절도 태평하고 길 또한 평탄했으면’ 하는 기대를 혼잣말처럼 내뱉은 것일까.

시는 시인이 병약한 동생을 만나려 휴가를 얻어 장안에서 강남으로 가던 길에 지은 거라고 한다.

자신의 오랜 병구완에도 불구하고 안질로 실명하게 된 동생에 대한 연민.

발걸음이 가벼울 리 없고 사방은 그지없이 스산하지만 곧 삶의 탄탄대로를 맞으리라는

형의 간절한 소망을 되뇐 게 아니었을까.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