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살만
입력 2022.11.22 00:46
이경희 이노베이션랩장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37)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짧은 방한 기간 강력한 인상과 선물을 남기고 갔다. 빈 살만 왕세자는 시가총액이 약 2조 달러에 달하는 사우디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대주주다. 애플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기업이다. 그를 접견한 한국 재계 총수들의 자산 총액을 합쳐도 그에 미치지 못한다는 걸 보여주는 사진이 인터넷에 퍼졌다. 이번 방한 기념으로 한국 기업과 총 300억 달러 규모의 사업 계약 및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빈 살만은 ‘살만의 아들’이라는 뜻이다. 이름을 풀이하면 ‘알사우드 가문, 살만의 아들 무함마드’다. 아버지 살만 국왕은 2015년 형 나예프 국왕의 뒤를 이어 즉위한다. 2017년엔 왕세자였던 조카 무함마드 빈 나예프를 폐위시키고 아들을 왕세자로 격상시킨다. 지난 9월엔 국왕이 총리를 겸직하는 관례를 뒤엎고 왕세자를 총리에 임명한다. 살만 부자는 형제 상속으로 왕위가 이어지던 사우디 왕실의 전통을 깨고 부자상속 시대를 열었다.
빈 살만은 개혁가다. 여성의 운전, 공연과 스포츠 관람을 가능케 하는 등 인권 신장에 앞장섰다. 원유생산국인 사우디는 세계 탄소배출량의 4%를 차지함에도 그린 에너지 전환에는 미온적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빈 살만은 사막 한가운데에 친환경 스마트도시를 짓는다는 ‘네옴(NEOM)’ 시티 프로젝트로 승부수를 던졌다.
그는 피의 숙청으로 권력을 다진 인물이기도 하다. 부패 청산 명목으로 권력에 위협이 되는 이들을 체포하고, 석방 조건으로 재산의 70%를 헌납하도록 했다. 사촌 동생 만수르 빈 무크린은 의문의 헬기 사고로 사망했다. 미국 국가정보국(DNI)은 워싱턴포스트 기자 자말 카슈끄지 암살 배후로 빈 살만을 지목하기도 했다. 카슈끄지는 사우디 왕정 독재를 비판하던 언론인으로, 2018년 잔인하게 살해됐다.
이에 분개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당시 빈 살만을 ‘국제적 왕따’로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고유가로 고군분투하던 지난 7월, 빈 살만을 만나 주먹 악수를 나눴다. 미 행정부는 최근 카슈끄지 암살 관련 소송에서 빈 살만에게 국가 원수에게 부여되는 면책 특권을 적용했다. 국제 관계에서 명분은 실리를 위한 포장일 뿐임을 시사하는 장면이다.
17일 오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오른쪽부터)빈 살만 왕세자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회장,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등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 SPA 캡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22년 7월15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 도착해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주먹 인사를 하고 있다. [AP/SPA=연합뉴스]
이경희 이노베이션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