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식의 한시한수

자유로운 영혼[이준식의 한시 한 수]〈194〉

bindol 2023. 11. 22. 15:37

자유로운 영혼[이준식의 한시 한 수]〈194〉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입력 2023-01-06 03:00업데이트 2023-01-06 03:16

 

장생불로의 단약(丹藥)도 짓지 않고, 좌선도 하지 않으리

장사도 하지 않고, 밭갈이 또한 하지 않으리

한가로울 때 산수화 그려 팔지니

세상의 때 묻은 돈은 벌지 않으리

不煉金丹不坐禪 불련금단불좌선

不爲商賈不耕田 불위상고불경전

閑來寫就溪山賣 한래사폭단청매

不使人間造孼錢 불사인간조얼전

―‘포부를 말하다(언지·言志)’ 당인(唐寅·1470∼1523)

도사도 승려도 되기 싫고 상인이나 농부가 될 뜻도 없다. 하고 싶지 않거나 할 수 없는 일에 뛰어들지 않겠다는 거다. 재물 욕심으로 사람 사이에 부대끼며 억지를 부리거나 부정도 서슴지 않는 건 헛짓거리일 뿐이다. 무명의 선비인 시인에게 남은 길은 하나, 과거시험이다. 유능한 인재에게 기회가 부여되는 거의 유일한 사회적 통로다. 하지만 당시 시인은 고약한 상황에 휘말렸다. 신동(神童) 소리를 들었던 그가 고향 쑤저우(蘇州)에서의 향시(鄕試)는 통과했지만 중앙의 회시(會試)에서는 탈락했다. 시험 주관자와 결탁하여 부정행위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옥살이까지 했고 관리의 꿈은 물거품이 되었다. 그에게 남은 건 독자 노선. 시서화(詩書畵)의 재능을 살려 프리랜서가 되기로 한다. 산수화를 그려 팔되, 죽어라 그림에만 매달리지는 않는다. 아등바등 ‘세상의 때 묻은 돈은 벌지 않겠다’고 선언한다. ‘않겠다(不)’는 부정을 무려 다섯 번이나 반복한다. 같은 글자의 중복을 피하는 게 한시의 정석인데 이를 과감히 뒤집음으로써 프리랜서로서의 결연한 자신감을 보여준다.

이준식의 한시 한 수

한 해의 끝자락에서〈193〉

본명보다 당백호(唐伯虎)라는 자(字)로 더 잘 알려진 시인은 시서화로 한 시대를 풍미했고 ‘명사대가(明四大家)’의 반열에까지 올랐다. 스스로 ‘평생 그림 그리고 시 지으며, 꽃(花)과 버들(柳) 언저리에 내 종적을 남겼지’(‘감회’)라 고백했듯, 화류계를 떠돌며 풍류를 즐긴 자유로운 영혼이었지만 만년의 삶은 불우했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

불련금단불좌선(不煉金丹不坐禪)

불위상고불경전(不爲商賈不耕田)

한래사폭단청매(閑來寫幅丹靑賣)

불사인간조얼전(不使人間造孼錢)

 

금단을 연성하려고도 하지 않고 좌선도 하지 않네

장사도 하지 않으며, 밭도 갈지 않네

심심하면 글쓰고 그림이나 팔면서

인간세상에서 때묻은 돈은 벌지를 않는다네.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