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 속 한자이야기](15)
유림 57에 ‘짐승의 가죽으로 여러 가지 물건을 만드는 사람’이라는 말인 피색장(皮色匠)이 나온다.
피(皮)는 피골상접(皮骨相接:살가죽과 뼈가 서로 붙을 정도로 몹시 마름),피리양추(皮裏陽秋:사람마다 피부 속,즉 마음에는 속셈과 분별력이 있음)처럼 ‘가죽 또는 겉’이라는 뜻으로 쓰인다.수치심을 모르는 뻔뻔한 얼굴을 철면피(鐵面皮)라 하는데 유래는 다음과 같다.
옛날 왕광원(王光遠)이라는 사람이 학문과 재능에 뛰어나 진사(進士)까지 되었다.출세욕이 강한 그는 관리나 권세가의 시(詩)를 보면 그 사람 앞에서 ‘저로서는 도저히 이런 시를 쓸 수 없거니와 이태백(李太白)도 못 쓸 것입니다.’라고 말하는 등 아첨을 다하였다.한번은 술취한 관리가 광원이 어쩌나 보려고 채찍으로 광원의 등을 때렸는데 광원은 빙긋이 웃으며 ‘각하(閣下)의 매는 시원합니다.’라며 아부의 말만 계속하였다.옆에 있던 친구가 나무라자 광원은 ‘여보게,그 사람에게 잘 보여둬야 할 것 아닌가.’라며 태연하였다.그때 사람들은 광원을 가리켜 ‘얼굴 두께가 열겹 철갑(鐵甲) 같다.’고 하였는데,여기서 철면피라는 말이 나온 것이다.
상대방이 좋아하도록 말을 교묘하게 잘하며 비위를 맞추고 얼굴색(色·빛깔 색)을 좋게 하는 것을 교언영색(巧言令色)이라 한다.공자(孔子)는 이들을 미워하여 ‘교언영색(巧言令色)하는 자 중에는 어진 사람(仁者)이 거의 없다.’고 했다.
또한 아무런 이유없이 얼굴 빛을 좋게하며 아부하는 것을 무고호아(無故好阿)라 한다.옛날에 갈가마귀 한 마리가 고깃덩이를 물고 나뭇가지에 앉아 있었다.그 아래를 지나던 여우가 ‘목소리가 매우 고와 노래를 아주 잘 한다던데,노래 한 곡 불러 준다면 나에게는 큰 영광일 텐데,한 번 불러 줄래?’라고 하였다.여우의 말을 사실로 착각한 갈가마귀가 노래를 부르려고 입을 열자 입에 있던 고깃덩이는 땅에 떨어졌다.이에 여우는 ‘이 어리석은 갈가마귀야,네 목소리가 뭐 아름답냐. 앞으로는 이유없이 너에게 아부하기를 좋아하는 자가 있거든 조심해.’라고 하며 고깃덩이를 물고 사라졌다.
공자의 말이나 이 일화에서 보듯 교언영색하는 사람은 경계해야 할 것이다.오늘날은 직업에 귀천(貴賤)이 없지만 옛날에는 피색장(皮色匠)과 같이 물건 만드는 장인(匠人) 또는 장색(匠色)은 천한 신분이었다.중요한 것은 장자(莊子)의 일화처럼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는 것이 아닐까. 옛날 위(魏)나라에 포정(·푸줏간 포,丁·백정 정)이라는 명요리사가 혜왕(惠王) 앞에서 소를 잡는데,순식간에 완벽하게 뼈와 고기를 분리하였다.그 모습에 혜왕이 감탄하자,포정은 자기가 처음 이 일을 시작했을 때는 소를 보면 소의 외형만 보였으며,3년쯤 지나자 뼈와 근육이 보였으나,19년이 된 지금은 소를 정신(혼)으로 대하여 눈 감고도 소의 몸에 생긴 틈바구니를 자연의 섭리에 따라 칼질하기에 칼날이 뼈와 부딪히지 않고도 가죽 및 고기를 모두 도려낼 수 있었기에 19년 동안 칼을 한번도 갈지 않았다고 했다.포정의 말이 끝나자 혜왕은 ‘나는 포정의 말을 듣고 양생(養生:참되게 사는 것)의 도(道)를 터득했다.’고 감탄했다.포정의 예술적인 칼솜씨는 인생을 무리없이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던 것이다.이래서 신묘(神妙)한 기술이나,달인(達人)의 경지를 말할 때 포정해우(丁解牛)에 비유하기도 한다.
박교선 교육부 연구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