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유림) 한자이야기

[儒林 속 한자이야기](12)

bindol 2020. 9. 12. 08:02


[儒林 속 한자이야기](12)

 

유림 49에 혼미(昏迷)가 나온다.

昏(날저물 혼,어두울 혼)은 해가 저문 저녁을 뜻하는데,昏자가 들어간 한자는 (혼미할 혼), (눈어두울 혼), (흐릴 혼) 등과 같이 거의가‘혼(昏)’이라 읽고 나머지 부분이 주로 뜻을 결정한다.

婚(혼인할 혼)자도 마찬가지인데 昏이 들어 간 이유는 옛날에는 혼례를 해가 진 후(昏) 신부집에서 했기 때문이다.고구려 때에는 신랑이 저녁에 신부집 밖에서 예를 갖추어 신부의 방에 들어갈 수 있도록 간청하면 장인·장모될 사람은 못이기는 척하며 방으로 들어가도록 허락하는 형식이었다.그래서‘장가(杖家)든다.’는 말이 나왔다.

 

‘장가와 시집’이라는 말은 입장에 따라 남자 쪽에서는‘장가(杖家)간다.’또는 ‘시집(媤 시집 시+家 집 가)온다.’로,여자 쪽에서는 시부모가 될 사람이 있는 집으로 가는 것이기에 ‘시집간다.’,또는 고구려 때처럼 신랑 될 사람이 일단 자기(여자)집으로 왔기에 ‘장가온다.’로 표현할 수 있다.

부모를 섬기는 도리의 하나로 혼정신성(昏定晨省)이 있다.이는 저녁(昏)이 되면 부모(父母)님의 잠자리를 보아드리며(定),새벽(晨)이 되면 부모님께서 안녕히 주무셨는지 여쭙고 안색을 살피는(省) 것이다.이와 같은 뜻의 말로는 겨울에는 따뜻하게(溫),여름에는 시원하게(淸) 해드리고,밤에는 이부자리를 펴드리며(定),아침에는 안녕히 주무셨는지 살핀다(省)는 뜻의 ‘온청정성(溫淸定省)’과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시원하게 한다는 뜻의 ‘동온하청(冬溫夏淸)’이 있다.

昏은 迷(미혹할 미)와 결합되어 ‘사리에 어둡고 마음이 흐리멍덩하거나 마음이 어지러워 희미하다.’로 쓰인다.

迷는 (쉬엄쉬엄갈 착)자와 米(쌀 미)가 합해진 글자다. 이 들어간 한자는 遠(멀 원),近(가까울 근),返(돌아올 반),逢(만날 봉)과 같이 대부분 자가 그 한자의 뜻을 나타내고 나머지 부분은 음이 된다.

과거 가난할 때는 쌀(米)이 없어 거친 음식을 먹고 생활한 경우가 많았다.그래서 이에 비유하여 생긴 말도 많은데,다음은 그 중의 하나이다.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에게 과부가 된 누나 호양공주(湖陽公主)가 있었다.그런데 광무제는 그의 누이가 유부남(有婦男)인 대사공(大司空) 송홍(宋弘)에게 마음이 있음을 알고는 고민에 빠졌다.그러다가 하루는 미리 옆방에 호양공주를 있게 하고는 송홍을 불러 ‘富(부자 부)해져서는 벗을 바꾸고,貴(귀할 귀)해져서는 아내를 바꾼다고들 하는데 당신은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오.’라며 송홍의 속마음을 떠 보았다.그랬더니 송홍은 광무제가 그의 누이를 염두에 두고 한 말임을 알고는 ‘가난할 때 사귄 친구는 잊지 말고(빈천지교불가망 貧賤之交不可忘),가난할 때 술지게미나 쌀겨 같은 거친 음식을 먹어가며 고생을 같이 한 아내는 집에서 내쫓지 아니한다(조강지처불하당 糟糠之妻不下堂).’라고 말해 자신의 뜻을 분명히 했다.이로부터 糟糠之妻가 쓰이게 된 것이다.

사람의 삶을 아침 이슬에 비유하여 조로인생(朝露人生)이라 한다.인생이란 해가 뜨면 곧바로 사라지는 아침 이슬처럼 덧없이 짧다는 뜻이다.인간은 이토록 짧은 세월을 사는데 동고동락(同苦同樂 괴로움과 즐거움을 같이 함)한 사람을 배반하면서 과연 무엇을 얼마나 성취할 것이며,그것으로 인해 얼마나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지 생각해야 할 것이다.˝


'儒林(유림) 한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儒林 속 한자이야기](14)  (0) 2020.09.12
[儒林 속 한자이야기](13)  (0) 2020.09.12
[儒林 속 한자이야기](11)  (0) 2020.09.12
[儒林 속 한자이야기](10)  (0) 2020.09.12
[儒林 속 한자이야기](9)  (0) 2020.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