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묵의 한시 마중

[이종묵의 ‘한시 마중’]<2>지리산 산골의 가을

bindol 2020. 9. 12. 09:51

조선 전기 사림의 영수로 알려진 김종직(金宗直·1431∼1492)은 경상도 함양(咸陽)의 군수로 있던 1471년 가을 벗들과 지리산을 유람했습니다. 천왕봉을 오르는 도중 의탄 마을이라는 곳에 도착해 이런 시를 지었습니다. 540년도 더 지난 오늘날도 지리산 기슭에 두면 어울릴 듯한 풍경이기에 눈길을 끄는 반가운 작품입니다.

 

늙은 농부가 가을걷이를 한 후 볏단을 정리하여 차곡차곡 쌓아올려 놓으니 초가지붕보다 높다랗습니다. 시골에서는 아이도 그냥 놀 수 없으니, 송아지 키우는 일은 아이들 몫입니다. 아이가 무슨 딴짓을 하느라 한눈을 판 탓에 송아지가 아직 거두지 않은 밭으로 들어갔습니다. 농부는 놀라 아이에게 고함을 칩니다. 이럴 때면 아낙네들은 마루에 모여 앉아 감을 깎아 곶감을 만듭니다. 곶감은 처마에 주렁주렁 매달고, 껍질은 광주리에 담아 개울가 볕이 잘 들고 바람이 잘 통하는 바위 위에 말립니다. 말린 감 껍질조차 한겨울 맛난 먹을거리가 되기 때문입니다. 여름철 큰물이 졌을 때 부서진 나무다리 저편으로 붉은 저녁 햇살이 비스듬히 비칩니다. 잊고 있던 아름다운 풍경입니다.

김종직이 들른 의탄은 산청의 유림에서 천왕봉으로 가는 중간에 있는 산촌 마을인 듯합니다. 김종직은 ‘유두류록(遊頭流錄)’에서 ‘닭과 개, 송아지를 이끌고 들어와서 밭을 개간하고 잡곡을 심으면 무릉도원(武陵桃源)보다 나을 것이다. 그곳에 눌러 살고 싶다’고 했는데 여기서 말한 그곳이 바로 의탄입니다. 그때 김종직은 그곳 바위에다 이름을 새겼다 합니다. 지리산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바위글씨를 한번 찾아볼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