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 속 한자이야기](18)
유림 76에 무소불위(無所不爲)가 나온다.無는 원래 기구를 가지고 춤추는 무녀(巫女)의 모습을 본 뜬 글자인데,‘없다’라는 뜻으로도 쓰이게 되었다.이에 ‘춤추다’라는 본 뜻을 살리기 위해 無자에 ‘춤추는 두 발을 본뜬 천(舛)’을 넣은 舞(춤출 무)자가 만들어졌다.無자가 들어간 한자는 憮(어루만질 무), (밟을 무) 등과 같이 대부분 음은 ‘무’이며 뜻은 나머지 부분이 된다.所는 ‘∼하는 바,것,곳’을 뜻하는데,所자 다음에는 대체로 소위(所謂),소행(所行)처럼 동사가 놓인다.
不는 나무나 풀의 뿌리를 본뜬 것 또는 아래로 늘어진 한 송이 꽃부리를 본뜬 것이라는 두 설(說)이 있다.흔히 마시는 주량(酒量)이 많은 경우를 주류불사(酒類不辭)라고 잘못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두주불사(斗酒不辭)라 해야 한다.왜냐하면 이는 다음 일화에서 유래된 관용어(慣用語)이기 때문이다.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은 공조 관계였는데,항우는 유방이 자기보다 먼저 진(秦)의 서울 함양을 함락시킨 것에 대해 화가 났다.이에 유방이 항우의 진영을 찾아가 해명하는데,그때 항우의 참모 범증(范增)이 유방을 죽이려 하였다.위급한 상황을 안 유방의 심복 번쾌가 방패와 칼을 들고는 그 자리로 뛰어 들어갔다.항우가 잠시 놀랐으나 유방의 참모임을 알고는 번쾌에게 술을 주도록 하니,번쾌는 한말의 술을 단숨에 마셨고,안주로 돼지 생고기를 방패 위에다 놓고 썰어 먹었다.이 모습에 감탄한 항우가 한잔 더 권하자 번쾌가 ‘죽음도 사양하지 않는 제가 어찌 말술(斗酒)을 사양하겠습니까(不辭),다만 유방이 먼저 입성하여 장군(항우)을 기다리려고 했던 것인데,그런 유방을 해치려 함은 장군답지 않은 처사입니다.’라고 말했던 것이다.
爲는 ‘∼을 하다,∼이 되다,∼을 위하다,∼이라 여기다’라는 뜻으로 쓰인다.진시황제(秦始皇帝)의 신하인 환관(宦官) 조고(趙高)는 진시황이 죽을때 태자(太子)인 부소(扶蘇)를 황제로 계승시키도록 유언하였으나,승상(丞相) 이사(李斯)와 함께 그 유언을 속여 자신들이 다루기 쉬운 진시황 둘째 아들인 어린 호해(胡亥)를 황제로 세웠다.
그 후 조고는 이사 등을 죽이고 모든 것을 좌지우지(左之右之)했는데,어느 날 王에게 사슴(鹿)을 바치며 “이것은 말(馬)입니다(指鹿爲馬 지록위마)”라고 했다.
그러자 王이 웃으며 “사슴(鹿)을 말(馬)이라 합니까”라며 좌우를 둘러보자,신하들 중에 ‘말입니다’라고 말한 자가 있는가 하면 ‘사슴입니다’라고 말한 자가 있었다.이때 조고는 사슴이라고 말한 자들을 기억해 두었다가 훗날 죄를 씌워 모두 죽였다.그래서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행사하는 것을 ‘指鹿爲馬’라 하는데,훗날 그 뜻이 확대되어 모순된 것을 끝까지 우겨 남을 속인다는 뜻으로 쓰기도 한다.
이상으로 볼 때 무소불위(無所不爲)는‘어떠한 일도 하지 못함이 없다.즉 못하는 일이 없다’는 뜻으로 무소불능(無所不能)과 함께 흔히 절대적 권력을 쥔 사람과 연결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박교선 <교육부 연구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