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 속 한자이야기](19)
유림 89에 庶弟가 나오는데 庶는 ‘많다,여럿,서자’등의 뜻으로 쓰인다.庶처럼 (집 엄)이 들어간 한자는 대체로 (부엌 포),府(곳집 부),廳(관청 청)처럼 뜻은 과 관련되며,음은 나머지 부분이 된다.첩(妾첩)의 자식을 서자라 하는데,단군신화(檀君神話)에서처럼 고대(古代)에는 제후(諸侯)의 세자(世子)를 적자(適子),기타의 아들을 서자라 하였다. |
'儒林(유림) 한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儒林 속 한자이야기](21) (0) | 2020.09.13 |
---|---|
[儒林 속 한자이야기](20) (0) | 2020.09.13 |
[儒林 속 한자이야기](18) (0) | 2020.09.13 |
[儒林 속 한자이야기](17) (0) | 2020.09.13 |
[儒林 속 한자이야기](16) (0) | 2020.09.13 |